호수 2303호 2014.12.07 
글쓴이 홍성민 신부 

저 자신의 모습이 못나 보여서 우울한 기분이 듭니다. 주위의 사람들이 잘되면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싶은데, 제 처지랑 비교하다 보니 오히려 배가 아픕니다. 그리고 이런 제 모습이 더 못나 보여서 더 우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내 것이 더 좋아 보이면 기쁘고 행복하겠지만, 반대로 내 것이 못한 것 같이 느껴진다면 슬프고 불행합니다. 하지만 이 불행은 내가 가진 것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남과 비교하여 내 행복을 확인하려 했기 때문입니다.
비교는 사람을 비참하게 만듭니다. 돈이 많은 사람도 자기보다 더 많이 가진 사람을 만나면 위축이 되고, 미모가 뛰어난 사람도 남과 자꾸 비교하다 보면 자신의 모습에 자신감을 갖기 어려워집니다.
성경에 탈렌트의 비유가 있습니다. 다섯 탈렌트를 받은 사람은 자신이 받은 것으로 다섯 탈렌트를 더 벌었고, 두 탈렌트를 받은 사람 역시 자신이 받은 것을 잘 활용하여 두 탈렌트를 더 벌었습니다. 그런데 한 탈렌트를 받은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마저 빼앗길까봐 땅에 묻어 두었습니다. 나중에 주인은 화를 내며 그 사람에게 맡긴 한 탈렌트를 빼앗아 열 탈렌트를 가진 사람에게 줍니다.(마태 25, 14∼30 탈렌트의 비유)
처음부터 똑같이 주지 왜 마음 상하게 누구는 많이 주고, 누구는 적게 주었느냐고 물을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복음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하느님께서는 누구에게나 무엇인가를 주셨다는 겁니다. 그리고 우리의 몫은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이든 그것의 가치를 발견하고 소중한 마음으로 잘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남과 비교하여 내 것이 작거나 모자란다고 생각하는 것, 그 생각이 불행을 가져옵니다. 생명이 선물로 주어졌고, 시간이 선물로 주어졌습니다. 먼저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지 천천히 살피고 그것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86
15 2262호 2014.03.0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입니다. 개신교에서는 제사를 우상숭배로 금지하는 데 천주교에서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권순호 신부  486
14 2386호 2016.06.12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몰라 문을 두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489
13 2425호 2017.03.12  요즘 제 모습이 못난이 같아 속상합니다. 일도 마음대로 안 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꾸 못난 모습이 드러나 우울합니다.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기도도 하지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492
12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11 2228호 2013.08.11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514
10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9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559
8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4
7 2406호 2016.10.30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장재봉 신부  565
6 2381호 2016.05.08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저런 분들을 겪으면서 이제는“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 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지 않을까요? 장재봉 신부  578
5 2349호 2015.10.11  그 뜻이‘크게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580
4 2421호 2017.02.12  그럴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 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장재봉 신부  645
3 2426호 2017.03.19  마음 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 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647
2 2474호 2018.02.04  천주교는 기도 끝에“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656
1 2238호 2013.10.06  흔히 기복신앙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약하고 부족한 인간이라면 살아가면서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걸 왜 잘못되었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홍경완 신부  143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