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28호 2017.04.02 
글쓴이 권순호 신부 

호흡을 이용하는 불교의 참선(參禪) 기도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합니다. 교회가 가르치는 기도 방법보다 분심을 다스리고 평온한 마음을 얻는 데 더 적합한 듯합니다. 다른 종교의 기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나쁜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그리스도교의 전통 안에도 마음의 기도, 향심기도,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는 기도 등 불교의 선(禪)과 비슷한 관상 기도 방법들이 있습니다. 생각의 분심을 다루는 데에 특히 간단한 성구를 반복적으로 되뇌이거나, 호흡 등의 몸을 이용하여 기도하는 것은 대부분의 종교 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단지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을 기도의 최종 목적으로 여기고 기도의 성패를 분심 없이 평온함을 유지했느냐에 따라 평가하려 합니다. 소위 뉴에이지 영성가는 심지어 약물을 통해 평온한 마음을 얻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기도의 목적은 단지 평온한 마음이 아니라 사랑의 마음임을 가르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주 산에 오르시어 기도하십니다. 겟세마니 산에서 피땀을 흘리시며 기도하시는 장면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뜻을 내려놓고 십자가를 통해 사랑의 희생을 실천하라는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이며 번뇌 속에 기도하십니다. 이것은 흔히 모든 정념을 벗어난 평온한 상태의 기도와는 거리가 멉니다. 사랑을 위해서 번뇌와 분심마저도 받아들이고 견디어 내는 것이 바로 기도의 최고 단계임을 예수님은 가르치시는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불교는 일본 군인들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적을 가차 없이 죽일 수 있는 평온한 마음을 선(禪) 기도 방법을 통해 얻도록 가르쳤다고 합니다. 사랑과 관계없이 그저 평온함 그 자체가 목적이 된 기도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86
15 2262호 2014.03.0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입니다. 개신교에서는 제사를 우상숭배로 금지하는 데 천주교에서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권순호 신부  486
14 2386호 2016.06.12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몰라 문을 두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489
13 2425호 2017.03.12  요즘 제 모습이 못난이 같아 속상합니다. 일도 마음대로 안 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꾸 못난 모습이 드러나 우울합니다.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기도도 하지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492
12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11 2228호 2013.08.11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514
10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9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559
8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4
7 2406호 2016.10.30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장재봉 신부  565
6 2381호 2016.05.08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저런 분들을 겪으면서 이제는“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 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지 않을까요? 장재봉 신부  578
5 2349호 2015.10.11  그 뜻이‘크게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580
4 2421호 2017.02.12  그럴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 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장재봉 신부  645
3 2426호 2017.03.19  마음 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 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647
2 2474호 2018.02.04  천주교는 기도 끝에“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656
1 2238호 2013.10.06  흔히 기복신앙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약하고 부족한 인간이라면 살아가면서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걸 왜 잘못되었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홍경완 신부  143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