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28호 2017.04.02 
글쓴이 권순호 신부 

호흡을 이용하는 불교의 참선(參禪) 기도 방법을 사용하여 기도를 합니다. 교회가 가르치는 기도 방법보다 분심을 다스리고 평온한 마음을 얻는 데 더 적합한 듯합니다. 다른 종교의 기도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나쁜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 주례성당 주임 albkw93@hotmail.com

  그리스도교의 전통 안에도 마음의 기도, 향심기도,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는 기도 등 불교의 선(禪)과 비슷한 관상 기도 방법들이 있습니다. 생각의 분심을 다루는 데에 특히 간단한 성구를 반복적으로 되뇌이거나, 호흡 등의 몸을 이용하여 기도하는 것은 대부분의 종교 안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단지 마음의 평화를 얻는 것을 기도의 최종 목적으로 여기고 기도의 성패를 분심 없이 평온함을 유지했느냐에 따라 평가하려 합니다. 소위 뉴에이지 영성가는 심지어 약물을 통해 평온한 마음을 얻으려고 합니다. 하지만, 예수님은 기도의 목적은 단지 평온한 마음이 아니라 사랑의 마음임을 가르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주 산에 오르시어 기도하십니다. 겟세마니 산에서 피땀을 흘리시며 기도하시는 장면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예수님은 자신의 뜻을 내려놓고 십자가를 통해 사랑의 희생을 실천하라는 하느님의 뜻을 받아들이며 번뇌 속에 기도하십니다. 이것은 흔히 모든 정념을 벗어난 평온한 상태의 기도와는 거리가 멉니다. 사랑을 위해서 번뇌와 분심마저도 받아들이고 견디어 내는 것이 바로 기도의 최고 단계임을 예수님은 가르치시는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불교는 일본 군인들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적을 가차 없이 죽일 수 있는 평온한 마음을 선(禪) 기도 방법을 통해 얻도록 가르쳤다고 합니다. 사랑과 관계없이 그저 평온함 그 자체가 목적이 된 기도가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504호 2018.09.02  어릴 적 성당을 잘 다니던 아들이 커서는 신을 믿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성근 신부  99
15 2505호 2018.09.09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장재봉 신부  105
14 2506호 2018.09.16  ‘아버지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기도는 매일 합니다만, 실은 어떤 것이 내 뜻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91
13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6
12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5
11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8
10 2512호 2018.10.28  주일에 일하지 말고 쉬라는 파공의무가 여전히 유효한지요? 하는 일에 따라 밤낮이 따로 없고, 평일과 휴일의 구분도 모호해진지 오래라서 던지는 질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1
9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7
8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2
7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6
6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5
5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5
4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7
3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5
2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30
1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