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511호 2018.10.21 
글쓴이 장재봉 신부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 월평성당 주임 gajbong@hanmail.net
 

  성경을 처음 접하면 충분히 그런 느낌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을 읽고 또 읽고 새겨 읽다 보면 이 모두가 우리를 너무나 사랑하신 결과임을 깨닫게 됩니다. 하느님은 아버지이시기에 자녀인 우리를 사랑하시기에 훈계하신다는 걸 알게 되니까요. 세상의 어느 부모님이 자식이 잘못될 때 꾸중하지 않겠습니까? 달래기도 하고 어르기도 하며 더러 언성을 높여 야단도 치십니다. 모두 자녀가 잘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꾸짖고 벌을 줘서라도, 잘못된 길을 갈 때, 바로 잡아주는 게 부모의 도리며 의무이니까요. 하느님께서도 똑같으십니다. 당신의 자녀인 우리를 결코 방관하지 않으십니다. 때문에 혼내고 으름장을 놓기도 하시며 애간장을 태우시며 끝내 당신 사랑의 성심을 숨기지 못하고 드러내 보이십니다.
   성경에서 느닷없이 여겨지는 위로와 희망과 사랑의 표현이야말로 하느님의 감출 수 없는 속마음인 것입니다. 그러기에 매일을 말씀으로 살고 주님 사랑에 젖어 지내려는 다짐을 몹시 기뻐하십니다. 행복을 살아가도록 이끌어주시는 아버지께 의탁하는 것만으로 갖은 축복을 주십니다. 복된 삶을 살도록 ‘시시콜콜’ 함께 하시는 하느님 사랑을 오해하지 마세요. 하느님의 사랑은 감당키 힘들만큼 벅찬 것임을 믿고 거푸 성경을 읽으면 귀한 일깨움을 주실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 2430호 2017.04.16  하느님의 말씀을 들으며 마음의 위로를 얻지만, 이웃을 사랑하고 보살피시라는 말씀에는 죄책감이 들기도 합니다. 저는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상처도 쉽게 받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기 위해서는 혼자만의 시간이 많이 필요한데, 이런 제 모습이 이기적인 것 같아 죄책감이 듭니다. 홍성민 신부  283
15 2435호 2017.05.21  화를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납니다. 운전할 때, TV를 보다 마음에 안 드는 정치인이 나왔을 때, 제가 생각해도 지나치다 싶을 만큼 화가 납니다. 가끔은 제가 놀랄 정도의 말이나 행동을 합니다. 그리고 화를 내고 나면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홍성민 신부  209
14 2440호 2017.06.25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나를 비난한 사람 때문에 마음이 너무나 괴롭습니다. 제가 잘못한 것도 없고, 상처를 준 것도 없는데 저한테 왜 그랬을까요? 그렇다면 저는 어떻게 해야 이 마음이 풀릴까요? 홍성민 신부  214
13 2445호 2017.07.30  세례받으신 지도 오래되셨고, 성당에서 봉사활동도 많이 하는 분인데, 하시는 말씀이나 행동에서 인격적인 성숙함이 부족해 보이는 분을 종종 봅니다. 그럴 때마다 신앙생활을 해도 소용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열심히 하는 신앙생활이 인격적인 성장으로 연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홍성민 신부  254
12 2450호 2017.09.03  요즘 일에 대한 스트레스가 점점 더 커집니다. 그런데 일을 내려놓고 쉬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어떤 일은 꼭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일도 아닌데, 이상하게도 그 일을 놓기가 힘이 들고, 불안한 기분이 들 때도 있습니다. 홍성민 신부  96
11 2455호 2017.10.08  술 때문에 요즘 제 삶에 많은 문제가 일어납니다. 사실 술을 끊고 싶다는 생각도 합니다. 그런데 마음이 괴롭고 힘들어서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견딜 수가 없습니다. 술을 좀 쉽게 끊는 방법이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04
10 2460호 2017.11.12  제가 아는 8살 아이가 불치의 병에 걸려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 어린아이가 무슨 죄가 있어 이런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202
9 2465호 2017.12.17  예전부터 두통이 있거나, 몸살이 오면 진통제를 먹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약 없이 못 살 것 같아서 불안합니다. 안 먹어보려고도 했는데, 그러면 통증 때문에 견디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좀 더 쉽게 끊는 방법은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32
8 2472호 2018.01.21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222
7 2478호 2018.03.04  죄가 있는 상태에서 성체를 모시면, 모령성체라는 말을 듣고 불안해서 인터넷을 찾아보니, 성체를 모독한 죄는 고해성사로도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보고 더 불안해졌습니다. 사실 미사 전에 고해성사를 볼 시간이 없어서, 그냥 성체를 영한 적도 많기 때문에 벌 받을까 봐 두렵습니다. 홍성민 신부  319
6 2484호 2018.04.15  저는 알코올 중독자는 아닙니다만, 술을 좋아해서 가끔 건강이 염려됩니다. 배도 점점 나오고, 술 마신 다음 날은 많이 피곤합니다.‘술을 좀 줄여야 하나?’라는 생각이 드는데, 금단현상 같은 것은 없지만,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려워질까 봐 그러지를 못합니다. 홍성민 신부  122
5 2490호 2018.05.27  아이에게 평소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지만, 제가 다른 사람들을 만나거나, 일해야 할 때는 스마트폰을 주곤 하였는데 후회하고 있습니다. 점점 빠져드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125
4 2496호 2018.07.08  제가 ‘일 중독’인 듯합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일에 과도하게 애착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안다고 해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딱히 일 말고는 관심 있는 일이 없고, 일을 유능하게 해낼 때의 성취감이 가장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건강에 여러 문제가 생기고, 인간관계에도 어려움이 많아 스트레스도 받습니다. 홍성민 신부  108
3 2503호 2018년 8월 26일  저는 지금 어떤 직업을 선택해서 앞으로 살아야 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직업을 두고 고민하다 보면, 그 직업이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부분이나, 비윤리적인 부분이 보여서 고민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홍성민 신부  95
2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6
1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