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34호 2013.09.15 
글쓴이 권순호 신부 

저는 오랫동안 주일 학교에서 교사로 봉사 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의 봉사와 희생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저의 삶에 아무 이익이 되지 않는 시간 낭비였다는 회의가 옵니다.

권순호 신부(남산성당 부주임) albkw93@hotmail.com

‘노동의 소외’라는 말을 들어 보았습니까? 철학자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비판하면서 만든 개념이 ‘노동의 소외’입니다. 노동의 결과물을 노동자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가져가며,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에 대한 자율권을 상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동의 소외’라는 개념을 그리스도의 관점에 더욱 깊게 묵상하신 분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이십니다. 마르크스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은 노동을 먹고 살기 위해 해야 하는 필요악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교황 요한 바로오 2세는 진정한 소외는 노동 자체를 천시하는데 온다고 말합니다. 노동은 나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창조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며, 그 자체로 고귀하고 가치 있고 좋은 것입니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얻기 위해 신앙생활을 한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것을 ‘신앙생활의 소외’라 부를 수 있습니다. 성당에서 봉사하고, 기도하고, 미사 참례하는 것은 괴로운 일이지만 이후에 보상이 있기 때문에 참고 견뎌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신앙생활은 그 자체로 좋은 것이고 가치 있는 일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랑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사랑은 다른 이익을 보지 않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기 위해서 자녀들이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를 바라는 것은 사랑이 아닙니다. 나는 내 아이들 자체를 보지 못하고 나의 자랑을 위한 수단으로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랑은 목적과 수단이 분리되지 않습니다. 사랑은 소외가 일어나지 않고 그 자체로 좋고 기쁜 것이 되어야 합니다. 내 삶에 사랑 자체이신 하느님을 본다면 아무도 몰라줘도 기쁘지 않습니까?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234호 2013.09.15  저는 오랫동안 주일 학교에서 교사로 봉사 활동을 하였습니다. 저의 봉사와 희생이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저의 삶에 아무 이익이 되지 않는 시간 낭비였다는 회의가 옵니다. 권순호 신부  123
55 2239호 2013.10.13  ‘진리는 말로 표현될 수 없다’라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하는데,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의 말로 표현될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142
54 2243호 2013.11.10  초등부 주일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들은 간식이 무엇이 나올까만 관심이 있지, 딱딱한 교리나 미사 참례에는 무관심한 것 같습니다. 오히려 성인이 되어서 신앙 교육을 받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315
53 2247호 2013.12.08  요즘에 남편의 사업이 잘 되지 않아서 많이 힘듭니다. 남편 이름으로 미사를 봉헌하거나 남편에게 팔찌 묵주를 차게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44
52 2253호 2014.01.05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등의 통신 수단이 발달하면서 신앙생활에도 많은 편리함을 줍니다. 요즘처럼 바쁜 사회에서 굳이 성당에 가지 않고 인터넷이나 전화로 고해성사를 받거나, 텔레비전으로도 미사에 참례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참 좋을 듯합니다. 권순호 신부  96
51 2258호 2014.02.02  저는 같은 레지오에서 활동했던 어느 자매님의 나쁜 모습에 크게 실망하고 더이상 성당에 가지 않습니다. 집에서 묵주기도도 하고, 성경도 읽고, 기도도 하고 있습니다. 혼자서 하느님과 만날 수 있는데, 굳이 상처받고 실망하며 성당에 갈 이유를 못 느낍니다. 권순호 신부  244
50 2262호 2014.03.0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입니다. 개신교에서는 제사를 우상숭배로 금지하는 데 천주교에서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권순호 신부  486
49 2266호 2014.03.30  성당에 어느 날 저는 한 자매와 심하게 다투었습니다. 그 이후에 고해성사를 보고 용서를 하려고 그 자매에게 다가갔지만, 오히려 저를 매정하게 뿌리치는 것입니다. 그 이후로 그 자매에 대한 미움만 더 커졌습니다. 그 자매는 저와 상관없이 성당도 잘 다니고 있는데, 저만 힘든 것 같고 저만 억울한 것 같습니다. 신부님께서는 용서하라고만 하십니다. 상대방이 죄를 뉘우치지도 않는데 어떻게 용서를 할 수 있습니까? 권순호 신부  172
48 2270호 2014.04.27  주말에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주일을 못 지키는 신자가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에 여가 시간을 보내느라 주일에 미사 시간을 내지 않으려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신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주일 미사 시간을 좀 다양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권순호 신부  163
47 2274호 2014.05.25  성경을 읽어보면 예수님은 십자가에서 죽음을 맞이할 것임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걸어가셨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죽는 줄 뻔히 알면서 그 길을 피하지 않고 계속 가셨다면, 그것은 간접적인 자살행위가 아닙니까? 제가 알기로는 교회는 자살을 금지하고 있는데,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은 간접적 자살로 교회의 가르침과 상반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202
46 2278호 2014.06.2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243
45 2282호 2014.07.20  흔히들 개신교 신자들에게 천주교는 성모님을 믿는 종교라는 오해를 받곤 합니다. 그런데 제가 봐도 지나치다 싶을 만치 과도하게 성모신심에 빠져 있는 신자들을 보면, 그런 오해도 살만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천주교는 다른 성인들과 다를 바 없는 인간인 마리아를 너무 신격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권순호 신부  193
44 2290호 2014.09.07  저는 매일 양심성찰을 통해 자신이 죄인임을 잊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래서 항상 회개의 삶을 살려고 노력합니다. 그런데 양심 성찰 중에 어떤 잘못이 떠오르면 그것에 대한 후회 때문에 나 자신이 완전히 형편없는 사람 같아서 잠을 못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회개의 삶이 오히려 저를 더 우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38
43 2294호 2014.10.05.  어떤 신부님들은 왜 경제나 가난이나 정치 문제에 대해 발언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정치, 경제 문제는 정치인이나 경제인들에게 맡기고, 교회는 그저 기도와 신앙, 십계명과 같은 종교에 관한 것만을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21
42 2298호 2014.11.02  예수님이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신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과학이 실제로 우리 인간의 무병장수의 꿈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결국 예수님이 아니라 과학 기술이 영원한 생명을 인간에 가져다주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41 2302호 2014.11.30  미사 등 천주교의 전례는 정말 지루하면서 시대에 뒤떨어진 것 같습니다. 천주교 예식에 언제나 반복되는 형식적인 것은 버리고, 좀 더 흥미롭고 재미있고 감동적인 내용을 더 한다면 젊은 세대가 더 많이 천주교에 오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75
40 2307호 2014.12.28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40대의 사람입니다. 결혼 초기엔 부부가 서로 없으면 죽고 못 살 것 같았는데, 살면 살수록 서로 갈등과 미움만 심해지는 듯합니다. 요즘엔 이렇게 고통스럽게 함께 살 바에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권순호 신부  156
39 2312호 2015.01.25  성령 묵상회에 갔다 왔는데 성령을 받으면 어떨 땐 악마가 보인다고 하는데 저에게 악마가 보일까 무섭습니다. 그리고 간혹 잘못될 경우, 성령이 내리기는커녕 악마에게 씌기도 한다고 하던데요. 교회에 구마경이라는 것이 있다던데 필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197
38 2317호 2015.03.01  성경을 한 번 다 읽어본 예비 신자입니다. 구약성경에는 하느님의 존재가 무시무시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제 기억에는 이민족의 여자와 아이까지 모조리 죽이라고 명령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하느님은 사랑의 하느님이라고 생각하는데 지나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권순호 신부  174
37 2322호 2015.04.05  미사 전에 기도하려고 일찍 성당에 가면 시끄럽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을 보면 마음 속에 화가 치밀어 올라 미사 내내 분심이 듭니다. 식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등 공중도덕을 지키지 않는 모습을 봐도 화가 납니다. 그런데 주위 사람들은 저의 이런 모습을 갑갑해 합니다. 제가 잘못된 걸까요? 권순호 신부  21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