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19호 2015.03.15 
글쓴이 홍성민 신부 

예수님께서 마귀들이 당신을 알아보자 그들의 입을 막으셨다는 성경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저는 이 마귀와 예수님의 행동, 둘 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마귀라면 마땅히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요!”라고 예수님의 존재를 부정해야 맞지 않나요? 그리고 틀린 말도 아닌데 예수님께서는 왜 그들의 입을 막으셨나요?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말씀하신 대로 이 장면은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신학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설명해볼 수 있겠지만, 글자 수가 제한되어 있기에 이번에는 제 묵상에서 가장 크게 와 닿은 것만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마귀들은 예수님께“당신은 하느님의 아들이십니다.”라고 고백합니다. (마르 5, 7; 마태 8, 29; 루카 8, 28) 그런데 그 뒤에 바로 이어오는 말이 있습니다.“그것이 저희와 무슨 상관입니까?”무엇이 선이고 악인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압니다. 하지만 자신이 원하고 바라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알고도 악을 선택합니다.
어떤 것이 사랑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도 압니다. 하지만 또 다시“그것이 나와 무슨 상관인가?”라고 생각하며 하느님이 아닌 나의 뜻을 따라 삽니다.
예수님께서 마귀의 입을 막으신 것은 마귀의 말이 틀려서가 아니라, 그 옳은 말을 한 자신이 스스로 그 말과 자신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다른 이들과의 관계에서 논리와 이치를 따지기보다, 나는 정말 사랑하려고 하는 사람인지, 지금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 과연 하느님의 뜻인지, 그것부터 살펴보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319호 2015.03.15  예수님께서 마귀들이 당신을 알아보자 그들의 입을 막으셨다는 성경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저는 이 마귀와 예수님의 행동, 둘 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마귀라면 마땅히 “이 사람은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요!”라고 예수님의 존재를 부정해야 맞지 않나요? 그리고 틀린 말도 아닌데 예수님께서는 왜 그들의 입을 막으셨나요? 홍성민 신부  153
195 2168호 2012.07.08  저는 화가 치밀면 주체할 수 없어, 주위 사람들이 피해를 주게 되고, 나중에 후회하곤 합니다. 저의 분노를 다스릴 방법은 없을까요? 권순호 신부  155
194 2182호 2012.10.07  조배실 입구에 “비회원의 출입을 금하니 성전에서 감실조배를 하라”는 인쇄물이 붙어 있어 돌아섰습니다. 조배실은 회원만 출입하는 곳인가요? 장재봉 신부  155
193 2307호 2014.12.28  저는 결혼한 지 10년이 지난 40대의 사람입니다. 결혼 초기엔 부부가 서로 없으면 죽고 못 살 것 같았는데, 살면 살수록 서로 갈등과 미움만 심해지는 듯합니다. 요즘엔 이렇게 고통스럽게 함께 살 바에 차라리 헤어지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권순호 신부  156
192 2417호 2017.01.15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하겠다 하니 그냥 믿으라고 합니다. 그게 쉽지 않습니다. 무조건 받아들이는 태도 아래서만 신앙이 가능한 것인가요? 홍경완 신부  156
191 2494호 2018.06.24  예수님께서 우리에게ㅤ매일ㅤ십자가를ㅤ져야ㅤ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십자가의ㅤ고통을ㅤ받아들이는 것은ㅤ무슨ㅤ의미인가요?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고통을 피하려고 하는데, 예수님의 말씀을 따른다면, 고통 자체를 즐기라는 것인가요? 권순호 신부  159
190 2470호 2018.01.07  성경에 보면, 하느님께 청하면 다 들어 주신다고 했는데, 저는 하느님께 아무리 청해도 원하는 것은 하나도 들어 주시지 않고 권순호 신부  160
189 2214호 2013.05.05  창세기에 보면, 자녀를 낳고 번성하는 것은 하느님의 명이자 축복이라고 배웠습니다. 신부님들이 독신으로 살면서 아이도 낳지 않는 것은, 하느님의 명과 축복을 그리고 본성을 거부하는 것이 아닙니까? 권순호 신부  161
188 2495호 2018.07.01  창세 18,2에 아브라함을 찾아온 세 분의 천사가 하느님으로 밝혀지는데, 주님께서 삼위일체 하느님의 모습으로 찾아오신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염철호 신부  161
187 2270호 2014.04.27  주말에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주일을 못 지키는 신자가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에 여가 시간을 보내느라 주일에 미사 시간을 내지 않으려는 사람들도 많아졌습니다. 신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주일 미사 시간을 좀 다양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권순호 신부  163
186 2415호 2017.01.01  새해를 맞이해서 술도 좀 줄이고, 담배도 끊고 싶은데, 며칠 만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면 어쩌나하는 걱정이 듭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63
185 215호 2012.08.19  두 아이의 엄마입니다. 아이들을 잘 키우고 싶다는 생각에, 내 꿈과 아이들의 꿈을 섞어버려, 내 꿈이 곧 아이들의 꿈인 것처럼 착각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고민입니다. 홍경완 신부  164
184 2179호 2012.09.16  동료로부터 가톨릭은 미사 전례를 비롯한 모든 기도가 지나치게 형식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는데, 제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아 대꾸조차 못했습니다. 홍경완 신부  164
183 2188호 2012.11.18  본당 신부님이 강론에서 내가 바라는 기도는 하지 말고 하느님이 원하시는 기도를 하라고 하시던데 제가 바라는 기도를 하면 안 되는지요? 어떤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권순호 신부  164
182 2487호 2018.05.06  불안한 미래 때문에 두렵습니다. 아무 것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 더 그렇습니다. 홍경완 신부  164
181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5
180 2160호 2012.05.13.  지옥과 죄는 결국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줬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면, 왜 하느님은 인간에게 자유 의지를 주어서 우리를 이렇게 고생시키는가요? 권순호 신부  166
179 2479호 2018.03.11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아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임성근 신부  167
178 2464호 2017.12.10  무거운 고통이 주어질 때 욥처럼 하느님께 온전히 의탁하며 참을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요? 현실적이지 못한 말씀인 듯합니다. 참으면 복이 온다는 식의 이야기는 아니겠지요? 염철호 신부  169
177 2492호 2018.06.10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장재봉 신부  17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