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84호 2016.05.29 
글쓴이 염철호 신부 

성경에는 족보 이야기가 많은데 너무 지루해요. 꼭 읽어야 하나요?

염철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jubo@catb.kr

  성경에서 족보는 하느님의 축복이 누구를 통해 전해지는지를 말합니다.‘창세기’라는 말도 그리스어“족보”에서 나온 말인데, 성경에서 족보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신약성경도 족보로 시작하는데, 예수님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시작됩니다. 이런 족보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러 의미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 족보에서는 예수님이 다윗의 후손 메시아이심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 족보는 다윗에게서 시작되며, 자주 언급되는 14라는 숫자도 히브리어‘다윗’을 숫자로 환산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시 사람들은 아라비아 숫자가 아니라 알파벳으로 숫자를 표기했는데 다윗이라는 이름의 알파벳을 더하면 14가 나옵니다. 이 족보 안에는 또한 타마르, 라합, 룻, 마리아라는 네 여인들 이름도 언급되는데, 성경을 보면 모두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축복의 자녀를 낳은 여인들입니다. 구원 역사 안에서 이 여인들의 역할이 부각되는 대목입니다. 또 다른 족보를 말씀드리면 노아의 아들 가운데 셈의 족보(창세 11, 10∼32)와 노아가 숨을 거둔 나이(950년, 창세 9, 29)를 비교하면 아브라함이 태어날 때 노아가 살아있었음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는 하느님과 노아가 맺은 약속이 아브라함에게로 이어지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사실, 성경을 읽다 보면 지루한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들도 중요하니 성경에 담겨 있다고 생각하며 인내심 있게 읽다 보면 쉽게 읽히는 대목들보다 더 중요한 의미들을 담고 있음을 알게 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384호 2016.05.29  성경에는 족보 이야기가 많은데 너무 지루해요. 꼭 읽어야 하나요? 염철호 신부  133
235 2443호 2017.07.16.  성경을 읽어 보면, 예수님께서 천국을 아침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점심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저녁에 와서 일한 사람이나 다 똑같은 임금을 주시는 주인으로 묘사하던데요. 요즘에 정의롭지 못한 정치인들이 비판을 많이 받는데, 하느님 또한 이들과 무엇이 다릅니까? 권순호 신부  133
234 2501호 2018.08.12  저는 항상 돈을 엄청 많이 벌기를 기도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는 것이 틀렸는가요? 돈이 많아야 남들에게 베풀 수도 있고 성당에 헌금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33
233 2164호 2012.06.10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느님께서 왜 사람들에게 특히 무죄한 사람들에게 고통을 허락하시는가요? 권순호 신부  134
232 2437호 2017.06.04  ‘복음을 살아라’는 말씀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너무 막연해서 내용이 잘 잡히지 않습니다. 어떤 삶이 복음을 사는 것인지요? 홍경완 신부  134
231 2204호 2013.02.24  세상을 살아가는 데 유혹이 없을 수가 있나요? 어찌해야 좋을지 난감합니다. 장재봉 신부  135
230 2337호 2015.07.19  세상을 보면 테러와 전쟁과 학살, 온갖 비리와 불의가 만연합니다. 나만 올바르게 살면 무엇합니까? 결국 이런 거대한 악의 굴레 속에 나 자신마저 빨려들어 가는 것 같고, 나에게 자유란 정말 없는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136
229 2261호 2014.02.23  사제를 꿈꾸던 한 예비신학생이 성적 미달로 신학교 입학이 좌절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속이 상했습니다. 소중한 성소를 이렇게 성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요? 홍경완 신부  137
228 2183호 2012.10.14  ‘성당 다니는 사람이 어쩌면 그럴 수 있니?’라며 실망하는 말을 주변에서 자주 듣습니다. 그럴 때마다 어떤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38
227 2346호 2015.09.20  평생 다녔던 직장에서 은퇴하여, 집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마음에 공허감이 들고, 아무 이유 없이 아내와도 다투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권순호 신부  140
226 2429호 2017.04.09  하느님은 인간을 당신 모습에 따라 창조하셨다고 말하면서(창세 1, 27 참조), 왜 당신처럼 완전무결하게 만들지 않으셨는지 궁금합니다. 염철호 신부  140
225 2485호 2018.04.22  제게 성소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임성근 신부  140
224 2176호 2012.08.26  대부분의 사람은 하느님이 보시기에 죄인이기 때문에 죽으면 연옥에서 벌을 받고 난 후에야 천국에 갈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하느님이 자비로운 분이시라면 우리를 굳이 무서운 연옥 벌을 받게 하지 않고 바로 천국으로 보내는 것이 더 맞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41
223 2390호 2016.07.10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 때, 무엇이 더 좋은 선택일지 몰라 불안합니다. 기도도 하지만 여전히 답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마음으로 기도해야 마음이 평화로울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41
222 2454호 2017.10.01  욥기를 읽다 보면 친구들이 하는 말이 얄밉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왜 욥의 친구들을 야단치실까요? 염철호 신부  141
221 2239호 2013.10.13  ‘진리는 말로 표현될 수 없다’라고 들었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하는데,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의 말로 표현될 수 있나요? 권순호 신부  142
220 2259호 2014.02.09  저는 상담 일을 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저에게 “신(神)이 정말 있다면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납니까?”라는 질문을 종종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 ‘사랑이신 하느님’, ‘우리와 함께하시는 하느님’, ‘우리를 보호해 주시고 이끌어주시는 하느님’을 이야기한다면 오히려 더 큰 분노만 줄 것 같아 대답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뭐라고 답해야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142
219 2343호 2015.08.30  성당에서 아는 자매가 별 뜻 없이 한 말인데 저는 그런 말에 너무 신경이 쓰입니다. 이러다 보니 늘 저 혼자 상처를 받습니다. 상대방의 반응이 조금만 제 예상과 달라도‘내가 뭘 잘못했나?’라는 걱정이 들고,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하려다가도 혹시 사람들이 나를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 않을까 하는 불안한 생각이 들어 자꾸 더 눈치를 보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142
218 2166호 2012.06.24  교무금과 간헐적으로 내는 건축기금과 특별봉헌금등을 모두 합산해서 수입의 십 분의 일이 되면 십일조가 됩니까? 십일조를 못하는 처지를 스스로 위로하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143
217 2241호 2013.10.27  방송에서 어느 스님이 선과 악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하던데요. 이순신 장군의 위장전술이 우리에게는 선이지만 일본인에게는 악이라는 예를 들더군요. 그런 어이없는 주장에 관하여 꼭 집어서 반박하도록 가르쳐 주십시오. 장재봉 신부  14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