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29호 2013.08.15 
글쓴이 홍경완 신부 

주일 미사참례가 부담됩니다. 꼭 해야 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핑계 대지 않고 열심히 신앙생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청합니다.

홍경완 신부(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학장) mederico@cup.ac.kr

내가 주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 물어보시는 것이 주일을 거르지 않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삐 움직이는 현대의 도시인들에게 주일은 그저 쉬는 날로 되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주 5일제 근무가 정착되어 가는 요즘엔 더욱 그렇습니다. 토요일은 한 주를 마치는 노는 날이고, 주일은 새로운 한 주를 준비하기 위해 쉬는 날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일요일은 그냥 주간의 마지막 쉬는 날이 아니라, 주님의 날이고 주간의 첫날입니다. 그 처음에 대해 생각해 보았으면 합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은 모든 것의 처음, 곧 맏배를 가장 먼저 하느님께 바쳐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땅의 소출인 곡식도 그렇고 짐승도 그렇고, 우리에게 허락된 시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것들 모두는 하느님께서 주신 것이기에, 주인이신 분께 먼저 드리고 나서 그 나머지를 우리 인간이 사용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라 생각했었습니다. 이런 생각이 주일에 대한 가르침에도 숨어 있습니다. 주일은 한 주간의 맏배입니다. 교회는 이 맏배를 제일 먼저 주님께 바치고 나머지 엿새를 자신과 가족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라고 가르칩니다. 미사참례와 주일파공(罷工)은 그 당연함의 작은 실천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229호 2013.08.15  주일 미사참례가 부담됩니다. 꼭 해야 하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핑계 대지 않고 열심히 신앙생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청합니다. 홍경완 신부  101
295 2203호 2013.02.17  세례받은 지 10년이 지났습니다. 주일미사는 거의 빠지지 않고 참석하고 있고, 신자의 의무도 성실히 지키는 편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 신앙에 자신이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보다 더 강한 신앙을 가질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02
294 2220호 2013.06.16  착하게 살면 되지, 굳이 성당을 가야 하는 형식적 신앙의 강요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장재봉 신부  102
293 2271호 2014.05.04  제가 쇼핑중독이 아닌지 걱정됩니다. 사는 물건이 예전보다 점점 많아진다는 것을 느낍니다. 쇼핑으로 쓴 돈도 아깝지만, 더 큰 문제는 가격조건을 비교하느라, 인터넷을 뒤지는 시간이 늘어서 제가 해야 할 다른 일에 소홀해진다는 것입니다. 홍성민 신부  103
292 2455호 2017.10.08  술 때문에 요즘 제 삶에 많은 문제가 일어납니다. 사실 술을 끊고 싶다는 생각도 합니다. 그런데 마음이 괴롭고 힘들어서 술이라도 마시지 않으면 견딜 수가 없습니다. 술을 좀 쉽게 끊는 방법이 없을까요? 홍성민 신부  104
291 2457호 2017.10.22  지난번에 언급한‘초월적 가치’란 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습니다. 홍경완 신부  105
290 2505호 2018.09.09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장재봉 신부  105
289 2476호 2018.02.18  요즘에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화해 분위기가 한창 조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신앙인으로서 자유 민주주의 국가인 우리나라가 무신론을 신봉하는 공산주의의 국가와 한 팀으로 경기하는 것은 반대입니다. 하느님은 당연히 한국 편이지, 북한 편은 아니지 않습니까? 권순호 신부  106
288 2496호 2018.07.08  제가 ‘일 중독’인 듯합니다. 어릴 때부터 부모님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일에 과도하게 애착을 갖게 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원인을 안다고 해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딱히 일 말고는 관심 있는 일이 없고, 일을 유능하게 해낼 때의 성취감이 가장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건강에 여러 문제가 생기고, 인간관계에도 어려움이 많아 스트레스도 받습니다. 홍성민 신부  108
287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08
286 1890호 2007.07.08  성모님의 보호를 비는 마음으로 차에 묵주를 걸어 놓았습니다. 잘못된 것입니까? 장재봉 신부  108
285 2300호 2014.11.16  제 말을 귓등으로 흘리는 아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은데 도무지 응해주지를 않습니다. 대화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장재봉 신부  110
284 2427호 2017.03.26  사순절에 더 자주 듣는 말이 회개하라는 요청입니다. 회개가 죄와 연관되어서 그런지, 뉘우치라 하는데 그게 힘들어서인지 모르겠지만 이 말이 점점 더 싫어집니다. 홍경완 신부  110
283 2158호 2012.04.29  성모님이 예수님의 어머니이기는 하지만 하느님의 어머니로 불리는 일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교리시간에도 창조주를 낳으신 분이 계시다면 그분이 곧 하느님이라고 하시던데요. 장재봉 신부  111
282 2488호 2018.05.13  성경을 보면 예수님은 가장 작은 계명이라도 어기면 하늘나라에서 가장 작은 이가 될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런 예수님의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작은 계명에 집착하는 것은 좀생이의 마음이 아닐까요? 권순호 신부  111
281 2197호 2013.01.06  예수님께서 당시 사회지도자들을 꾸짖는 장면을 복음서에서 자주 만납니다. 그분께서는 지금의 우리 사회와는 다른 사회를 바라신 듯합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꿈꾸신 인간사회란 어떤 사회일까요? 홍경완 신부  112
280 2324호 2015.04.19  알코올에 빠졌다가 회복 중인 사람입니다. 부활 대축일 미사를 봉헌하면서 제 삶도 다시 부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술에 찌든 이 육신을 다시 갖고 싶지 않고, 그때의 기억도 모두 지우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12
279 2325호 2015.04.26  시어머니의 행동 때문에 정말 힘이 듭니다. 모두가 잘못된 행동이라고 수군대는데도 당신만 모르시니 심히 딱합니다. 그래서 만류하면 호통이 떨어지니 더욱 난감합니다. 주위에서는“몰라서 하시는 행동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라”고 합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자식 된 도리일까요? 장재봉 신부  112
278 2489호 2018.05.20  창세기 1장 26절에 하느님께서 직접 주님 스스로를 칭하시며“우리”라는 표현을 사용하셨는데, 이 구절을 삼위일체 하느님에 대한 주님의 계시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염철호 신부  113
277 2493호 2018.06.17  아들과 관계가 점점 힘이 들더니 이젠 아예 틀어졌습니다. 아무리 애써도 그 녀석의 사고방식과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1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