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329호 2015.05.24 
글쓴이 홍성민 신부 

아이 둘을 키우는데, 남자아이들이라서 그런지 욕을 너무 많이 합니다. 특히 컴퓨터로 게임을 하거나, 자기들끼리 이야기 할 때 욕을 많이 하는데, 마치 감탄사처럼 계속해서 욕을 내뱉습니다. 야단을 치는데도 잘 고쳐지지 않아 걱정입니다.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아이들은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친구들이 쓰는 말을 따라 하는데, 이것이 욕을 많이 쓰게 되는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 또한, 사춘기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스트레스에 민감하여 화나 짜증을 많이 느끼는데 그것을 푸는 방식으로 욕을 쓰기도 합니다. 친구끼리 친숙함의 표현으로 쓰는 정도라면 크게 문제가 될 것이 없겠지만, 언어습관으로 굳어지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튀어나오는 일이 생겨 곤란함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다른 중독과 마찬가지로 욕도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 사용하는 욕의 빈도와 강도는 점점 더 세질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가 욕하는 것을 고치기 위해 욕을 할 때마다 야단을 치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본인이 스스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머니 말씀대로 잘 고쳐지지 않습니다. 야단을 치거나 화를 내기보다, 아이가 욕을 쓰는 모습을 보면 어머니로서 어떤 마음이 드시는지 아이에게 잘 말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또 욕을 많이 하게 되는 다른 이유는 없는지 잘 살펴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욕도 하나의 표현이기 때문에 아이가 의식하지 못하는 분노나 우울, 불안이 욕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만약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욕을 하는 것인데, 그 욕만 문제시하고, 못하게만 막아버린다면 오히려 아이와의 소통은 더 어려워질 것입니다. 아이가 쓰는 욕을 문제시하기보다, 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아이의 마음이 무엇인지 궁금해하고 그것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면, 아마 욕의 사용도 더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329호 2015.05.24  아이 둘을 키우는데, 남자아이들이라서 그런지 욕을 너무 많이 합니다. 특히 컴퓨터로 게임을 하거나, 자기들끼리 이야기 할 때 욕을 많이 하는데, 마치 감탄사처럼 계속해서 욕을 내뱉습니다. 야단을 치는데도 잘 고쳐지지 않아 걱정입니다. 홍성민 신부  186
35 2334호 2015.06.28  화를 내면 참아주고, 항상 먼저 양보해주었더니 그것을 사람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습니다. 가끔은 저도 화가 나는데, 싸우기가 싫어서 그냥 혼자 분을 삭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제 안에서 화가 점점 치밀어 올라 참기가 힘이 든다는 것입니다. 홍성민 신부  46
34 2339호 2015.08.02  술에 취하면 버릇처럼 여성 도우미가 있는 업소를 찾아가게 됩니다. 다음날이 되면 늘 후회를 하고 다시는 그러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는 제 모습이 이제는 한심하게 느껴집니다. 홍성민 신부  267
33 2343호 2015.08.30  성당에서 아는 자매가 별 뜻 없이 한 말인데 저는 그런 말에 너무 신경이 쓰입니다. 이러다 보니 늘 저 혼자 상처를 받습니다. 상대방의 반응이 조금만 제 예상과 달라도‘내가 뭘 잘못했나?’라는 걱정이 들고,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하려다가도 혹시 사람들이 나를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 않을까 하는 불안한 생각이 들어 자꾸 더 눈치를 보게 됩니다. 홍성민 신부  142
32 2348호 2015.10.04  세상에는 나쁜 사람이 성공하고 착한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 일들이 많은데, 하느님께서는 왜 그냥 내버려두시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을 믿고 살면 구원을 받는다고 하지만, 죽은 후에 삶만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에는 하느님의 힘에 의지할 수 없는 건가요? 홍성민 신부  207
31 2353호 2015.11.08  평소에 커피 때문에 잠을 못자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하는 문제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제게 커피는 하나의 휴식이고, 삶의 기쁨입니다. 그런데 건강 때문에 의사가 커피를 줄이라고 합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줄여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저 자신이 못마땅합니다. 제가 커피 중독인가요? 홍성민 신부  197
30 2358호 2015.12.13  마음이 불안해서 견디기가 힘듭니다. 머리로는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마음은 여전히 불안해서 잠도 잘 자지 못하고, 해야 하는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이런 불안함을 어떻게 해야 없앨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273
29 2365호 2016.01.17  짜증이 너무나 많이 납니다. 자연히 술, 담배도 늘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짜증이 없어질까요? 홍성민 신부  126
28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46
27 2375호 2016.03.27  삼위일체 교리가 이해하기 너무나 어렵습니다. 머리로 알아듣는 교리가 아니라 마음으로 믿는 교리라고 배웠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알아듣고 싶습니다. 홍성민 신부  165
26 2380호 2016.05.01  성사를 볼 때마다 찝찝한 의무감에 성사를 봅니다. 저 자신이 완벽한 것은 분명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회개’해야 할 만큼 큰 죄가 있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이런 제가 교만하다고 느껴지지만, 회개해야 한다면 저 자신의 어떤 점을 뉘우쳐야 하는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347
25 2385호 2016.06.05  성령 강림 대축일에 신부님께서 강론으로 성령은 우리 안에 일치를 이루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사람과 하나가 되어주는 것이 성령의 뜻인가요? 만약 서로 의견이 맞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서 누구의 편도 될 수 없다면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49
24 2390호 2016.07.10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 때, 무엇이 더 좋은 선택일지 몰라 불안합니다. 기도도 하지만 여전히 답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어떤 마음으로 기도해야 마음이 평화로울 수 있을까요? 홍성민 신부  141
23 2395호 2016.08.14  아이와 이야기하다 보면 저한테 짜증을 내고 화를 내어서 싸울까 봐 대화를 피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점점 더 서로를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듯합니다. 이야기하자니 싸울 것 같고…, 하지 않자니 더 나빠지는 것 같고…,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홍성민 신부  274
22 2400호 2016.09.18  감사드리며 살고자 하지만 요즘 제 삶에는 감사드릴 만한 일이 없습니다. 하는 일마다 잘 안 되고, 가족간에도 크고 작은 갈등이 늘 있어 괴롭습니다. 하루를 시작하면 제발 오늘 하루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기를 더 바라는 저에게 감사는 사치같이 느껴집니다. 홍성민 신부  399
21 2405호 2016.10.23  미사 시작 때마다 하는 고백의 기도도 그렇고, 훈계 같은 신부님의 강론을 들으면 제 마음에서 죄책감과 수치감이 듭니다. 요즘 TV에서 하는 강연에서는 위로나 격려의 메시지가 많은데, 성당에서는 오히려 우리 죄와 부족함을 더 강조하는 듯합니다. 홍성민 신부  289
20 2410호 2016.11.27  성경에 나오는 부정직한 집사에 대한 비유는 요즘 우리 사회를 혼란으로 빠트린 사건과 비슷해 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주인이 그 불의한 종을 오히려 칭찬했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이런 비유를 드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홍성민 신부  215
19 2415호 2017.01.01  새해를 맞이해서 술도 좀 줄이고, 담배도 끊고 싶은데, 며칠 만에 다시 원래대로 돌아가면 어쩌나하는 걱정이 듭니다. 좋은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홍성민 신부  163
18 2420호 2017.02.05  미사나 기도 중에 분심이 많이 듭니다. 저는 정말 집중해서 기도하고 싶은데, 자꾸만 쓸데없는 생각들이 들어서 속상합니다. 어떤 때는 죄책감마저 들어 고해성사를 본 적도 있는데, 그래도 여전히 여러 가지 분심에 늘 시달립니다. 홍성민 신부  289
17 2425호 2017.03.12  요즘 제 모습이 못난이 같아 속상합니다. 일도 마음대로 안 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꾸 못난 모습이 드러나 우울합니다.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기도도 하지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49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