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72호 2018.01.21 
글쓴이 홍성민 신부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parvus@hanmail.net
 

  결혼하면 부부가 되고, 아이를 낳고 나면 저절로 부모가 되지만, 부부로서 또 부모로서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그렇게 되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은 상대가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나아가 내 마음대로 다 되지 않아도 괜찮다는 사실을 깨닫는 과정입니다. 다른 사람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이미 알고 있는 상식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진 상처나 갈등 대부분은 그 당연한 사실을 진심으로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배우자나 자녀에 대해서는 사랑이나 관심이라는 이름으로 상대를 내 마음대로 이끌고 가고 싶어 합니다. 내 마음대로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내가 가진 불안 때문입니다. 그 불안은 내 삶에 대해 믿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삶에 대해 믿어주질 못하고, 나아가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믿음이 없어서입니다. 참된 믿음은 내가 바라고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리라는 믿음이 아닙니다. 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아도 괜찮다는 믿음입니다. 내가 자녀를 사랑하는 것보다 하느님의 사랑은 더 크십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믿고, 내 자녀의 삶이 그 사랑 안에 있다는 것을 믿는다면, 내가 바라는 것에 앞서서 상대가 바라는 것을 놓치거나 무시하는 일은 조금씩 줄어들 수 있을 것입니다. 상대방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진실로 믿어줄 수 있는 사랑을 키워가는 것이, 부부가 되어가고, 부모가 되어가는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472호 2018.01.21  아이를 키우다 보면 힘들 때가 많습니다. 계속 고집을 피우거나 말을 안 들을 때는 화가 나서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죄책감이 들 때도 있고, 내 성격이 이랬나 싶어서 자괴감이 들기도 합니다. 홍성민 신부  222
115 2356호 2015.11.29  결혼하려고 생각하는 여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녀에게 생명에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유전적인 장애가 있습니다. 2세를 생각하여 그녀와 결혼을 하지 말라고 부모님은 말씀하십니다. 어쩌면 좋겠습니까? 솔직히 그녀를 사랑하지만, 부모님 말씀에 망설여집니다. 권순호 신부  223
114 2367호 2016.01.31  청소년기에 접어든 자녀들과의 관계가 서먹서먹해져서 힘이 듭니다. 대화상대자가 되는 좋은 부모이고 싶은데 그 길을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29
113 2174호 2012.08.15  우리 조상의 부엌 신, 뒷방 신 등을 모시는 것과 가톨릭에서 직업의 주보 성인이나 본당 성인을 정하여 공경하는 일이 어떻게 다른가요? 장재봉 신부  230
112 2392호 2016.07.24  성당에 가면 늘‘기뻐하라’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솔직히 말해서 내 삶이 그리 기쁘지도 않고, 또 그리스도인이라면 왜 기뻐해야 하는지 그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231
111 2352호 2015.11.01  하느님은 왜 선악과나무를 심어 사람이 유혹에 빠지게 하셨을까요? 아담과 하와는 왜 선악과나무 열매를 따 먹어 죄가 세상에 들어오게 했을까요? 염철호 신부  232
110 2394호 2016.08.07  창세기에서 야곱은 이사악을 속이고 하느님의 축복을 가로채는데, 이 이야기를 읽다 보면 에사오가 좀 측은해 보입니다. 염철호 신부  232
109 2265호 2014.03.23  십자가에 대해 묻습니다. 십자가를 두고 어떨 땐 희생이라고 하고, 어떨 땐 무거운 짐이라고도 하고, 또 어떨 땐 구원, 어떨 땐 영광이라고 합니다. 헷갈립니다. 홍경완 신부  233
108 2423호 2017.02.26  성경에는 자신이 가진 것을 모두 버리고, 예수님을 따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요즘 같은 시대에 예수님을 믿고 따르려 해도 돈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성당에 신축 기금을 내려고 해도, 주일 헌금을 내려고 해도 돈이 필요합니다. 돈을 무조건 나쁘게 봐야 하는 것일까요? 권순호 신부  233
107 2246호 2013.12.01  부부 사이가 금이 갔습니다. 그런데 배우자는 이것도 하느님의 뜻이니 받아들이자고 합니다. 반감이 생깁니다. 어디까지가 과연 하느님의 뜻인가요? 홍경완 신부  234
106 2177호 2012.09.02  손녀가 생후 22개월째에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그후 매일 위령기도를 바치고 있는데, 사람들이 어린이들은 하늘나라에서 천사가 되어 있을 건데 위령기도를 바친다는 것이 좀 그렇다고 합니다. 위령기도를 계속해서 바치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다른 기도를 해야 하는지요? 홍성민 신부  238
105 2154호 2012.04.01  길을 찾는 그대에게 장재봉 신부  240
104 2200호 2013.01.27  개신교 복지관에서는 매일 기도 모임을 갖고 매달 전 직원이 공동예배를 드립니다. 가톨릭 신자로서 그 모임과 예배에 참석은 하지만 따로 기도합니다. 제가 직장을 잘못 선택했나요? 장재봉 신부  240
103 2192호 2012.12.16  점을 보러 가면 안 된다고 하는데, 솔직히 철학관 같은 데에서는 저의 미래의 진로 또는 삶의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명확한 해답을 즉시 얻습니다. 성당에서도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지 말고 명확한 해답을 주었으면 합니다. 권순호 신부  241
102 2447호 2017.08.13  중요한 선택을 앞둔 젊은이입니다. 여러 가능성이 제 앞에 놓여 있습니다. 무엇이 그 기준이어야 할까요? 홍경완 신부  241
101 2278호 2014.06.2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인데요. 천주교에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너무나 강조하는 것 같아 어떨 때는 마음이 불편합니다. 솔직히 성모 마리아에 대한 천주교의 가르침은 성경에도 거의 나오지 않는데, 후에 사람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됩니다. 권순호 신부  243
100 2258호 2014.02.02  저는 같은 레지오에서 활동했던 어느 자매님의 나쁜 모습에 크게 실망하고 더이상 성당에 가지 않습니다. 집에서 묵주기도도 하고, 성경도 읽고, 기도도 하고 있습니다. 혼자서 하느님과 만날 수 있는데, 굳이 상처받고 실망하며 성당에 갈 이유를 못 느낍니다. 권순호 신부  244
99 2198호 2013.01.13  하느님은 어디에도 다 계시고 모든 것을 다 보신다고 하시는데, 하느님이 저를 항상 지켜보신다고 생각하니 조금 섬뜩합니다. 하느님은 스토커도 아니고, 조금 특이한 취미를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권순호 신부  245
98 2237호 2013.09.29  성경을 효율적으로 읽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에는 어떤 성경을 선택하면 좋을까요? 신부님께서 기쁠 때와 슬플 때 용기가 필요할 때에 읽고 도움을 얻는 성경도 알고 싶습니다. 장재봉 신부  246
97 2370호 2016.02.21  성찬의 예식에서“스스로 원하신 수난이 다가오자”라는 사제의 기도가 머리에서 계속 맴돕니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스스로 원하셨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면서,‘하느님께서는 왜 이들을 도와주지 않으실까?’라는 의문이 들곤 하였는데,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이 그러셨듯이 우리도 고통을 스스로 원해서 겪기를 바라시는 것입니까? 홍성민 신부  24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