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16호 2017.01.08 
글쓴이 장재봉 신부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부탁을 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 선교사목국장 gajbong@hanmail.net

  부모님께서 소중히 생각하여 지어준 이름을 미신적인 생각으로 작명을 했던 것을 회개하고 새롭게 살고자 하는 의지가 무척 아름답습니다. 그럼에도 새로운 시작을 할 때마다 모조리 뒤집어 엎어내야 속이 편한 칼칼한 성격이 문제인 것 같군요.^^ 이름 때문에 주님 사랑이 이랬다저랬다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잘못되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에는 이름도 사주팔자도 상관없습니다. 미련하고 우직하게 그분의 명령을 살아내는 일이 제일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시대의 유행이나 조류에 흔들릴 까닭이 없는 이유이지요. 좋은 환경에다가 더 좋은 이름까지 얹어주면 더 돈을 벌어서 더 떵떵거리고 살아갈 것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기 바랍니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그 어떤 악한 힘도 미치지 못하는 은혜의 영역으로 보호된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하느님의 뜻은 한결같습니다. 신앙을 더욱더 야무지게 챙기기 바랍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416호 2017.01.08  사실 이번이 처음 개명이 아닙니다. 첫 이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순간적으로 앞뒤 구분 없이 무속인에게 작명을 받아서 개명을 하였지요. 마음에 들지 않는 이름을 벗어버리고 새 삶을 살아간다고 생각하니 마냥 미래가 밝고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미신을 믿고 내 소중한 이름을 바꾼 것도 모자라 그 이름으로 성당을 다니고 일상생활을 하려 했던 제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더군요. 하루빨리 이 이름을 떨쳐 버려야겠단 마음에 신부님께 장재봉 신부  370
175 2421호 2017.02.12  그럴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 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장재봉 신부  645
174 2426호 2017.03.19  마음 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 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647
173 2431호 2017.04.23  미사 중에 바치는 신앙고백(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혹은 사도신경)은 어떤 의미의 기도인가요? 주일미사에서 신경을 뺄 수도 있습니까? 사제에게 선택의 고유 권한이 있는 겁니까? 장재봉 신부  291
172 2436호 2017.05.28  성전에 비치하는 것은 몰라도 성수를 가정에 두는 것은 왠지 기복적인 느낌이 듭니다. 장재봉 신부  459
171 2441호 2017.07.02  세례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477
170 2446호 2017.08.06  미사에서 초를 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장재봉 신부  387
169 2451호 2017.09.10  노아는 방주에 날짐승과 들짐승을 쌍 맞추어 태웠는데, 바다의 고기 이야기는 없습니다. 어떻게 되었나요? 홍수에 다 죽었다면 다시 번성할 수 없었을 텐데… 궁금합니다. 장재봉 신부  366
168 2456호 2017.10.15  복사도 하고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중학생이 된 후에는“왜 종교를 강요하느냐?”며 따집니다. 무어라 답을 해야 좋을지 모르겠고 속상합니다. 도와주세요. 장재봉 신부  417
167 2461호 2017.11.19  “성경에 명시되지 않은 미사를 거행하는 것은 이단이 아니냐?”는 개신교 신자의 말에 곤혹스러웠습니다. 장재봉 신부  369
166 2466호 2017.12.24  본당에서 직책을 피하려는 추세에 사목위원을 맡는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군림하려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장재봉 신부  390
165 2474호 2018.02.04  천주교는 기도 끝에“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656
164 2480호 2018.03.18  백성을 멸하려고 했던 불 뱀이 인류 구원자이신 예수님의 예표라는 논리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방식이 너무 모순적으로 다가옵니다. 장재봉 신부  199
163 2486호 2018.04.29  레지오 회합에서 묵주기도를 바치면서 구원송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까? 장재봉 신부  427
162 2492호 2018.06.10  어머니, 여동생과 갈등과 불화를 겪고 있습니다. 가족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저를 주님은 제 치부를 들추지 않고 괜찮다고, 사랑한다고 안아주셨습니다. 그래서 성당에서는 너무 행복하고 평화롭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여전히 죄인이고 분노의 대상입니다. 장재봉 신부  171
161 2498호 2018.07.22  인간들이 자유를 잘못 사용할 때마다 하느님이 바로잡아 주면, 죄를 짓지 않을 테고 죄로 인한 고통도 당하지 않을 텐데 왜 그렇게 하지 않나요? 장재봉 신부  127
160 2505호 2018.09.09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장재봉 신부  105
159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8
158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5
157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56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