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85호 2018.04.22 
글쓴이 임성근 신부 

제게 성소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임성근 신부 / 우동성당 부주임 pantaleon@naver.com
 

  성소에 대한 질문의 출발점은‘‘내’가 무슨 선택을 하는가?’가 아니라‘‘하느님’께서 나를 부르시는가?’입니다. 성소는 단 한 번의 결단이라기보다 오랜 시간을 두고 식별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성소를 식별할 때 세 가지를 꼽아봅시다. 우선 본인 자신의 결단과 의지가 있어야 합니다. 거기에 맞갖는 실력과 자질도 겸비해야 하는데 곧,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는 인성과 사회성, 학업을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지성, 내적인 생활과 성덕을 닦을 수 있는 영성, 그리고 타인을 돌볼 수 있는 사목적 자질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로 신앙 공동체입니다. 성소는 자기가 속한 신앙 공동체 안에서 시작되고 양육됩니다. 그런 면에서 자신의 성소는 소속 본당이나 공동체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것입니다. 성소에 있어서 신앙 공동체의 중요성은 사제 서품식 경문에도 드러납니다.“거룩한 어머니이신 교회는 주교님께서 여기 있는 이 부제들을 사제로 서품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라고 합니다.‘제가 하고 싶으니까 저를 서품해주세요’라고 하지 않고‘신앙 공동체가 원하니까 이 후보자를 서품해주세요’라고 표현합니다.
  셋째는 가정의 역할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은‘당신의 가정은 성소친화적입니까?’라고 물으셨습니다. 가정은‘최초의 신학교’가 되어 어린이들이“어려서부터 신앙과 기도가 무엇인지, 교회에 대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현대의 사제양성 41항) 물론 이 말은 가정이 완벽해야 성소가 생긴다는 뜻은 아닐 것입니다. 오히려 가정에서 겪은 기쁨과 슬픔, 행복과 위기 모두가 사제 성소의 밑거름이 된다는 의미일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56 2522호 2018.12.30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 시작한 일이었는데, 상처도 받고 어려움도 겪다 보니 그만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시작할 때는 하느님의 뜻이라고 생각하고는 제멋대로 그만두어도 되는지 걱정이 됩니다. 홍성민 신부  264
355 2520호 2018.12.23  예수님께서는 돌아가시면서 “저의 하느님, 저의 하느님, 어찌하여 저를 버리셨습니까?”(마르 15,34; 마태 27,46)라고 외칩니다. 스스로 원하신 수난인데 왜 이렇게 외치셨을까요? 하느님을 원망하며 인간적 약점을 드러낸 말인지요? 염철호 신부  127
354 2519호 2018.12.16  예수님께서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원수를 미워하지 않기도 어려운데 사랑까지 하라니 힘든 계명입니다. 이 계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실천할 수 있을까요? 권순호 신부  122
353 2518호 2018.12.09  무슨 일이든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가득 차 있습니다. 놀면 죄 짓는 것 같고,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가만히 있으면 괜히 두렵기도 합니다. 홍경완 신부  94
352 2517호 2018.12.2  왜 미사예물을 따로 바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210
351 2516호 2018.11.25  어떻게 하면 하느님과 가까워질 수 있을까요? 임성근 신부  93
350 2515호 2018.11.18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가난한 마음이 다른 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을 비움’(空)과 비슷해 보이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홍성민 신부  64
349 2514호 2018.11.11  최근 들어 자신들이 하느님인양 죽지 않는다고 믿는 이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염철호 신부  51
348 2513호 2018.11.04  어느 신문에서 외국의 가톨릭 성직자들이 아동 성추행 사건을 일으키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아마도 이런 문제들도 가톨릭 성직자들이 자연의 본성에 반해서 독신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제 성직자의 독신제에 다시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26
347 2512호 2018.10.28  주일에 일하지 말고 쉬라는 파공의무가 여전히 유효한지요? 하는 일에 따라 밤낮이 따로 없고, 평일과 휴일의 구분도 모호해진지 오래라서 던지는 질문입니다. 홍경완 신부  70
346 2511호 2018.10.21  구약성경을 읽으면 하느님의 뜻이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죄송한 표현이지만 ‘변덕쟁이’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117
345 2510호 2018.10.14  자녀에게 신앙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임성근 신부  94
344 2508호 2018.09.30  하느님의 아들들과 사람의 딸들이 사이에서 태어난 나필족(창세 6,4)이 하늘에서 떨어진 타락한 천사들이라는데, 정말인가요? 염철호 신부  324
343 2506호 2018.09.16  ‘아버지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도록 기도는 매일 합니다만, 실은 어떤 것이 내 뜻이고 어떤 것이 하느님의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홍경완 신부  190
342 2505호 2018.09.09  악한 사람을 “동물 같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만입니다. 제가 키우는 강아지는 너무나 착하고 예쁜데 어떻게 그런 표현을 사용할까요? 장재봉 신부  104
341 2504호 2018.09.02  어릴 적 성당을 잘 다니던 아들이 커서는 신을 믿지 않겠다고 합니다. 임성근 신부  96
340 2503호 2018년 8월 26일  저는 지금 어떤 직업을 선택해서 앞으로 살아야 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직업을 두고 고민하다 보면, 그 직업이 사회적으로 악용되는 부분이나, 비윤리적인 부분이 보여서 고민입니다.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가기 위해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홍성민 신부  94
339 2502호 2018.08.19  여러 책에서 아마겟돈에서 인류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의미인가요? 염철호 신부  108
338 2501호 2018.08.12  저는 항상 돈을 엄청 많이 벌기를 기도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는 것이 틀렸는가요? 돈이 많아야 남들에게 베풀 수도 있고 성당에 헌금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권순호 신부  132
337 2499호 2018.07.29  미사나 기도할 때 손을 꼭 모아야 하나요? 홍경완 신부  20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