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뉴스
매체명 한겨레 / PBC평화방송 / 조선일보(A25면) / 경향신문(A10면) 
게재 일자 2019.02.21. 2면 (한겨레) 

한국 천주교 100년만의 참회 "민족의 고통 외면했던 과거 반성"
 

일제강점기 '잘못' 구체적으로 짚으며 공개적으로 사과하기는 처음
"정교분리 내걸어 독립운동 금지하고 침략전쟁, 신사참배까지 권고" 적시
"한반도 참평화 위해 힘쓸 것" 다짐도

당시 천주교 수장 뮈텔 주교
안중근 신자 자격 박탈 등 친일 행적



한국 천주교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과거사를 참회하고 사과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는 20일 발표한 3·1운동 100주년 기념 담화를 통해 “백년 전에 많은 종교인이 독립운동에 나선 역사적 사실을 우리는 기억한다”며 “그러나 그 역사의 현장에서 천주교회가 제구실을 다 하지 못했음을 고백한다”고 밝혔다.

김 대주교는 “한국 천주교회는 시대의 징표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 채 민족의 고통과 아픔을 외면하고 저버린 잘못을 부끄러운 마음으로 성찰하며 반성한다”고 말했다.

한국 천주교가 일제 강점기의 천주교 잘못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공개적으로 사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천주교는 2000년 ‘쇄신과 화해’라는 과거사 반성문을 발표했지만 포괄적인 형식을 취했다.


 

news_1.png news_2.png

1919년 3·1운동
(출처 : 부산가톨릭평화방송 영상 캡처)


천주교는 1919년 당시 3·1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다. 민족대표 33명은 천도교(15명), 기독교(16명), 불교(2명) 인사들만으로 구성됐다.

김 대주교는 “외국 선교사들로 이뤄진 한국 천주교 지도부는 일제의 강제 병합에 따른 민족의 고통과 아픔에도, 교회를 보존하고 신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정교분리 정책을 내세워 해방을 선포해야 할 사명을 외면한 채 신자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금지했다”며 “나중에는 신자들에게 일제의 침략 전쟁에 참여할 것과 신사 참배를 권고하기까지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함께 “당시 교회 지도자들의 침묵과 제재에도, 개인의 양심과 정의에 따라 그리스도인의 이름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천주교인들도 기억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나 “이는 한국 천주교회의 지난 잘못을 덮으려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아픔과 좌절에도 쓰러지지 않고 빛과 소금의 역할을 했던 그들을 본받고 따르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김 대주교는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우리는 3·1 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서로의 다름이 차별과 배척이 아닌 대화의 출발점이 되는 세상, 전쟁의 부재를 넘어 진정한 참회와 용서로써 화해를 이루는 세상을 만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천주교회는 과거를 반성하고 신앙의 선조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후손이 되어, 한반도에 참평화를 이루고, 더 나아가 아시아와 세계 평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기도하며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news_3.png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 (사진 우측)
(출처 : 부산가톨릭평화방송 영상 캡처)


구한말과 일제시대 때 43년간 한국 가톨릭 수장이었던 프랑스 선교사 뮈텔 주교(1854~1933)는 1919년 3·1운동 직후 서울 용산 대신학생들을 만나고 난 뒤 쓴 일기에서 “한국 학생들은 나를 붙잡고 그들의 나라가 이렇게 학대받는 것을 보고 가만히 있을 수 없음을 설명하려 했다. 어떤 학생들은 울기도 하고 발을 구르기도 하고 정말로 무서운 모습이었다. 마침내 그들에게 질서를 지키도록 간청했고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차라리 신학교를 떠나라고 했다.”고 적었다. 뮈텔은 또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 보고한 문서에서 “선의의 소수 애국자를 제외하면 자칭 ‘의병’들의 대부분은 약탈자이거나 산적들인 것이 틀림없다”고 적었다.

이 때문에 3·1운동 뒤 상해임시정부에선 내무총장 이동녕의 명의로 천주교인들에게만 보내는 ‘천주교 동포여’라는 공포문에서 “전 한족이 다 일어나 피를 흘리며 자유를 부르짖을 때 어찌 30만 천주교 동포의 소리는 없느냐”고 참여를 호소하기도 했다.

뮈텔은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의 천주교 신자 자격을 박탈해 종부성사(죽기 전에 주는 천주교 의식)마저 거부하고, 안중근의 동생 안명근이 데라우치 총독 암살을 꾀하고 있는 사실을 일제 아카보 장군에게 밀고(1911년 1월11일 일기)하는 등의 친일 행적을 보였다. 2010년 ‘안중근의사 순국 100돌 추모 미사’에서 정진석 추기경은 뮈텔주교의 안중근 관련 행위를 옹호하는 발언을 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69 [사회교리 아카데미] 대한민국 청년에게 없는 것 file 2016.02.04 59
68 이웃 위하는 마음으로 살아갈 것 다짐 file 2016.01.29 141
67 [복음생각] 나의 예언적 사명은 / 염철호 신부 file 2016.01.29 162
66 [사회교리 아카데미] 소비사회 file 2016.01.29 70
65 [부산 종교지도자 신년대담] 1. 황철수 천주교 부산교구장 file 2016.01.22 245
64 어쩌다 마주친 모든 것들이 당신의 이끄심 덕이었군요 file 2016.01.22 124
63 부산교구 새 사제 3명 탄생, 3000여 명 축하 file 2016.01.11 421
62 하 안토니오 몬시뇰, 국민훈장 모란장 수상 file 2016.01.09 274
61 부산교구 주교들, 소외 청소년들과 예수님 맞이 file 2016.01.09 280
60 [복음생각] 언제나 예수님처럼 / 염철호 신부 file 2016.01.09 137
59 천주교 부산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file 2016.01.04 722
58 2015년 사제 및 부제 서품식 file 2016.01.04 199
57 연말의 어느 오후, 순교 성지를 거닐며 차분한 '나홀로 송년회' file 2015.12.28 263
56 창문 뚫고 들어오는 '성탄빛' file 2015.12.28 207
55 전수홍 신부의 생활의 발견 <12> 용서에 대하여 file 2015.12.21 215
54 [복음생각] 우리 역시 성모님처럼 / 염철호 신부 file 2015.12.18 211
53 [사회교리 아카데미] 시민사회의 우선성 file 2015.12.18 78
52 부산 사회사목국 ‘사랑의 김장 축제’ file 2015.12.18 170
51 나와 세상을 바꾸는 삶의 신비 자비 慈悲 file 2015.12.18 137
50 남천성당 '자비의 희년' 예식 file 2015.12.14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