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715호 2022. 7. 24 
글쓴이 프란치스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2차 조부모와 노인의 날 담화(요약)
“늙어서도 열매 맺으리라”(시편 92[91],15)
 
  
   사랑하는 여러분,?
 “늙어서도 열매 맺으리라.”(시편 92[91],15) 시편 저자의 이 말은 기쁜 소식, 곧 제2차 조부모와 노인의 날을 맞이하여 우리가 모든 이에게 선포할 수 있는 참된 ‘복음’입니다. 이 말은, 삶의 이 단계에 대하여 세상이 가지는 생각은 물론, 우리 노인들 가운데 미래에 대한 어떤 기대도 품고 있지 않은 일부가 보여 주는 암울한 체념의 태도와는 상반되는 말입니다.
 
   많은 이들이 나이 드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사람들은 나이 드는 것을, 피하면 좋을 일종의 질병으로 치부합니다. 사람들은, 노인들이 결코 자신들의 관심 대상도 아니고, 자신들이 노인들의 문제를 뒤치다꺼리하지 않도록 노인들을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요양원이나 시설에 따로 떨어뜨려 두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버리는 문화’의 사고방식입니다. 성경의 관점은 다릅니다. 성경이 가르쳐 주는 것처럼 오래도록 사는 것은 축복입니다. 그리고 노인들은 꺼려야 할 버림받은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충만한 생명을 주시는 하느님의 선하심을 드러내는 살아 있는 징표입니다. 행복하여라, 노인과 함께 사는 집! 행복하여라, 노인을 공경하는 가정!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나이 들고 머리가 하얗게 세어도 끊임없이 생명의 선물을 주시고, 악에 굴복하지 않게 해 주십니다. 우리는 나이 드는 것이 육체의 자연스러운 쇠함이나 피할 수 없는 세월이 아니라, 장수를 누리는 선물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나이 드는 것은 형벌이 아니라 축복입니다!
 
   이러한 까닭에 우리는 노년에도 우리 자신을 돌보고 활동적으로 생활하여야 합니다. 또한 이는 영성적 관점에서도 그러합니다. 우리는 하느님 말씀을 열심히 읽고, 날마다 기도하며, 성사를 받고 전례에 참여하면서 우리 내면의 삶을 가꾸어야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과 맺는 관계와 더불어 다른 이들과 맺는 관계도 돈독히 하려고 애써야 합니다. 
 
   노년은 항해를 포기하고 돛을 접어야 하는 때가 아니라 여전히 열매 맺는 시기입니다. 새로운 사명이 우리를 기다리며 미래를 바라보라고 부릅니다. 이는 “온유함의 혁명”, 곧 영적이고 비폭력적인 혁명을 위한 우리 노인들 나름의 헌신이 될 것입니다. 사랑하는 조부모와 노인 여러분, 이러한 혁명 안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해 주십시오.
 
   우리가 맺으라고 부름받은 열매는 세상을 보호하는 일입니다. 이제 우리가, 실질적인 지원이나 기도만으로라도, 우리 손주들뿐 아니라 만난 적은 없지만 전쟁 때문에 피난길에 오르거나 전쟁의 영향으로 고통받고 있는 겁에 질린 손주 같은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우리 무릎을 내어줄 때입니다. 사랑이 넘치고 관심이 많은 아버지였던 요셉 성인처럼 우리도 우크라이나, 아프가니스탄, 남수단 등에 있는 어린이들을 우리 마음으로 지켜줍시다.
 
   사랑하는 조부모와 노인 여러분, 우리는 이 세상에서 온유함의 혁명을 이루는 장인이 되라고 부름받았습니다! 우리가 지닌 가장 소중한 도구이며 참으로 우리 나이에 가장 어울리는 일인 기도를 더욱더 자주 언제나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배움으로써 이 혁명을 이루어 갑시다.
 
   조부모와 노인의 날은, 성경 말씀처럼 주님께서 ‘장수를 누리게’ 해 주신 모든 이와 더불어 경축하고자 하는 교회의 바람을 다시 한번 기쁘게 선포하는 기회입니다. 이날을 함께 경축합시다! 집에서든 요양원에서든 사무치는 외로움 안에 살고 계신 연로하신 분들을 찾아갑시다. 그 누구도 이날에 외롭다고 느끼지 않도록 합시다. 첫 만남부터 새로운 우정이 피어날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 방문은 우리 시대에 이루어지는 자비의 활동입니다!
 
   우리가 함께 이 세상을 고독의 그늘과 전쟁의 마수에서 해방시킬 수 있도록, 온유한 사랑의 어머니이신 성모님께 우리 모두를 온유함의 혁명을 이루는 장인이 되게 해 달라고 청합시다.
 
   여러분 모두와 여러분의 소중한 이들에게 저의 사랑 어린 친밀함의 약속과 함께 교황 강복을 전합니다. 여러분도 부디 저를 위한 기도를 잊지 말아 주십시오!
 
로마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11 2716호 2022. 7. 31  [컬러링] 주님과 함께 시원하고 건강한 여름 보내세요! file 가톨릭부산  14
310 2715호 2022. 7. 24  부산교구 젊은이의 날 (Diocese Busan Youth Day, BYD) file 손삼석 주교  237
» 2715호 2022. 7. 24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제2차 조부모와 노인의 날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2
308 2714호 2022. 7. 17  우리 농촌 살리기 운동(우리농), 이것이 궁금해요! file 가톨릭부산  7
307 2705호 2022. 5. 15  <부산교구 군종후원회 창립 50년사 -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사랑> file 강인구 신부  16
306 2703호 2022. 5. 1  “『찬미받으소서』와 함께하는 생태영성” 사회교리학교에 초대합니다. 정의평화위원회  21
305 2701호 2022. 4. 17  시노드 정신을 살아가는 여성연합회 배미자 데레사  9
304 2697호 2022. 3. 20  수정성당 시노달리타스 체험담 조정원 파트리치오  26
303 2695호 2022. 3. 6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2022년 사순 시기 담화(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7
302 2693호 2022. 2. 20  ‘나는 지금 시노달리타스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최재석 사도요한  51
301 2691호 2022. 2. 6  어서 오세요, 여기는 신학원입니다! 장재봉 신부  25
300 2688호 2022. 1. 16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두 번째 이야기 노우재 신부  42
299 2685호 2022. 1. 1  2022년 부산교구 사제·부제 서품식 file 가톨릭부산  22
298 2685호 2022. 1. 1  제55차 세계 평화의 날 담화 (요약) 프란치스코 교황  6
297 2684호 2021. 12. 26  주보 표지 공모전 가톨릭부산  16
296 2683호 2021. 12. 25  비대면 ME주말 체험의 기적 김창수, 황정숙 부부  19
295 2681호 2021. 12. 12  “시노달리타스”의 여정 노우재 신부  64
294 2680호 2021. 12. 05  부산교구 역사 자료 수집 및 기증과 기탁 부산교회사연구소  8
293 2678호 2021. 11. 21  학교법인 성모학원 산하 고등학교 - 데레사, 성모, 지산 file 가톨릭부산  15
292 2676호 2021. 11. 7  대양고등학교 - 인성과 기술을 겸비한 명문 특성화고 file 대양고등학교  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