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이 아예 없다?

가톨릭부산 2015.10.07 06:18 조회 수 : 147

호수 2013호 2009.09.24 
글쓴이 이부현 

 임진강에서 6명 희생. 북측에 책임이 있지만, 우리 쪽의 무인경보시스템의 작동중지. 범람을 발견한 군부대의 무대책. 민간인의 신고에도 2시간이 지나서야 대피방송. 나사가 빠진 탓이다. 게다가 연일 ‘여교사 꼬시기’ 동영상으로 시끄럽다. 돈과 쾌락만을 목표로 하는 사회 분위기의 반영일 것이다. 이쯤 되면 ‘개념 없는’ 사회가 아니겠는가.

죽임의 반대말은 살림이다. 남자든 여자든 사람을 살리는 사람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밥통 공동체인 가정이 잠만 자는 공간으로 바꿨다. 살림은 아예 딴 전. 그 덕을 보는 것은 우후죽순처럼 자라나는 외식 산업. 한마디로 개념 없는 집안이다. 대학이 없다면, 돈 안 되는 수학ㆍ물리학ㆍ생물학ㆍ철학ㆍ신학ㆍ문학ㆍ역사를 누가 공부할 것인가. 학문을 하는 까닭은 사회의 기초를 놓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제 대학은 실용적 교과를 훈련하는 기관으로 둔갑했다. 취업률 제고 때문이다. 인간 교육 이념이 앞서지 않는 직업 교육을 훈련이라 한다. 누가 삶의 기준을 제시할 것인가. 대학인은 과연 개념을 갖고 살까.

나는 하느님을 내 아버지가 그러했듯이, 계속 나를 도와주는 아버지로만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물론 힘세고 마음 좋은 아버지가 항상 내편이라고 믿고 산다면, 마음 편하게 살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그리스도의 정신에 따라 사는 것이 아닐까. ‘그리스도의 정신없는 그리스도에 대한 맹목적 신앙’ 또한 개념 없는 것은 아닌가. 개념 없이 사는 우리 자신을 반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인문고전대학 6기' 3개의 강좌를 연다. 주제는‘미학 가로지르기’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과 20세기 현대 철학’ ‘동양미학과 불교 예술’등이다. 이 강좌들은 인간의 자유와 성숙을 목표로 진행될 것이다.

부산시민을 위한 제 6기 '인문 고전 대학'
10.13∼12.17(10주간, 매주 화, 수, 목) 18:50∼21:15
장소 : 가톨릭센터
수강료 : 1강좌 5만원, 2강좌 8만원, 3강좌 10만원
접수 : 9.28∼10.12, 09:00∼18:00
문의 : 510-0816(연구소)
자세한 사항은 부산가톨릭대학교 홈페이지 참조

매주 화 : 미학 가로지르기, 김종기(부산가톨릭대학교, 서양현대철학)
매주 수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과 20세기 현대철학의 쟁점, 전봉주(부산가톨릭대학교, 서양근대철학)
매주 목 : 동양미학과 불교예술, 이찬훈(인제대학교, 불교철학)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 인문학연구소장))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2013호 2009.09.24  개념이 아예 없다? 이부현  147
230 2637호 2021.02.07  베드로 형제님, 초대합니다! file 이동화 신부  2088
229 2581호 2020.01.26  “우리에게 말씀하실 때, 우리 마음이 타오르지 않았던가!”(루카 24,32) 이동화 신부  27
228 2489호 2018.05.20  꽃이 아름다운 건 뿌리가 튼튼하기 때문에 이동화 신부  62
227 2471호 2018.01.14  “주님, 저희에게도 기도하는 것을 가르쳐 주십시오.” 이동화 신부  64
226 2420호 2017.02.05  “내게 가까이 오너라. 내 배움의 집에 묵어라.”(집회 51, 23) 이동화 신부  97
225 2366호 2016.01.24  “내게 가까이 오너라. 내 배움의 집에 묵어라.”(집회 51,23) 이동화 신부  179
224 2632호 2021.01.03  위로의 샘이 되어 주실래요? 이동욱 신부  17
223 2413호 2016.12.18  예비신학교 독서감상문 『세 신학생 이야기』 이동민 라파엘  58
222 2572호 2019.12.08  해양사목? 그게 뭔가요? 이균태 신부  23
221 2295호 2014.10.12  가슴 설레는 이 느낌 이광훈 시몬  83
220 1983호 2009.03.08  하늘이 내려 주신 동아줄 이경자 크리스티나  38
219 2035호 2010.02.07  그들과 함께 사는 세상에서 이경선 안젤라  45
218 2595호 2020.05.03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이건호 요셉  16
217 2038호 2010.02.28  마리아를 따라서 이 프란치스카 수녀  115
216 2613호 2020.09.06  최초의 신앙 선포자인 부모 윤정현 신부  6
215 2584호 2020.02.16  2020 청소년 사목국의 제안 윤정현 신부  25
214 2305호 2014/12/21  문화 복음화와 미디어 밥상 윤기성 신부  40
213 2242호 2013.11.03  ‘함께’ 한다는 것의 의미 유희정 이레네  110
212 2275호 2014.06.01  주님의 집에 가자할 때 나는 몹시 기뻤노라 유상하 광렬요한  38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