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님 승천 대축일(2일)과 성령 강림 대축일(9일) 의미 승천은 부활의 완성… 성령 강림으로 교회 창립 가톨릭신문 발행일 2019-06-02 [제3147호, 3면] 가톨릭교회 전례력에 의하면 6월에는 4가지 큰 대축일들이 몰려 있다. 주님 승천 대축일, 성령 강림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 그리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이 그것들이다. 피에르 루이 크레티, 그리스도의 승천, Pierre Louis Cretey, Ascension of Christ, 1684, Template;Huile sur enduit, 265 cm, Museum of Fine Arts of Lyon. 프랑스 리용 미술관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3/Louis-Cretey_LAscension-du-Christ-InvH2404.jpg ■ 주님 승천 대축일
교회는 주님 부활 대축일로부터 40일째 되는 부활 제6주간 목요일에 주님 승천 대축일을 지낸다. 한국은 주님 승천 대축일이 의무축일이 아니기에 이를 부활 제7주일로 옮겨 지낸다. 이 날은 말 그대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늘로 승천함을 기념하는 날이다. 교회 문헌상 주님 승천 대축일은 5세기 초 이후부터 줄곧 등장하지만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이미 사도시대부터 주님의 승천일을 대축일로 기념해 왔다고 주장한다. 또한 요한 크리소스토모 성인이나 니사의 그레고리오 성인 역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주님 승천의 기념은 교회사 안에서 매우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약성경에 예수 승천에 대한 묘사는 두 구절에 불과하다. 루카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부활 후 제자들을 “강복하시며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라가셨다. 그들은 예수님께 경배하고 나서 크게 기뻐하며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줄곧 성전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며 지냈다.”(루카 24,51-53) 사도행전은 예수가 그들(사도들)이 보는 앞에서 하늘로 오르셨고 구름에 감싸여 그들의 시야에서 사라지셨다고 설명했다.(사도 1,9-11) 복음은 승천을 이처럼 가시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예수가 가장 낮아진 후 다시 하느님의 권능으로 돌아갔음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승천은 곧 재림의 시작이며, 결국 강생과 부활, 승천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은 예수의 승천으로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게 됐다. 쥬스토 디 메나부오이, 성령 강림, Giusto de' Menabuoi, 14th century, fresco, Descent of the Holy Spirit, Battistero di Padova. 이탈리아 파도바 세례당 ■ 성령 강림 대축일
성령 강림 대축일은 부활로부터 50일째 되는 날인 오순절에 성령이 사도들과 동정 마리아에게 내려옴을 기념하는 날이다. 교회는 예수 승천 후 9일 기도를 바치며 성령 강림을 기다린다. 부활 후 50일, 이 50일의 의미는 희년과 죄의 용서라는 개념과 관련된다. 구약성경에 의하면 매 7년의 주기 다음, 곧 50년째 되는 해를 희년으로 지내는데, 이때 모든 죄가 사해지고 노예들은 해방됐다. 그래서 50이라는 숫자는 죄의 용서를 의미한다. 따라서, 성령 강림 대축일은 죄의 용서와 부활로 인한 새 생명의 의미를 갖는다. 성령 강림을 전례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한 것은 2세기 이후부터다. 성령 강림 대축일은 부활 시기의 마지막 주일이며 이후 연중 시기가 다시 시작된다. 사도들에게 내려온 성령은 세례와 견진성사를 통해 오늘날 우리들과 함께한다. 교회는 특히 성령 강림으로 인해 우리가 성령의 7가지 은총과 9가지의 열매를 받는다고 가르친다. 성령이 주시는 이러한 은총과 믿음의 열매를 우리는 깊이 간직하고 충실히 삶으로 드러내도록 해야 할 소명을 받았다. Copyright © 2016 CATHOLIC TIMES All rights reserved.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3084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