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약속

가톨릭부산 2015.11.06 05:28 조회 수 : 152

호수 2343호 2015.08.30 
글쓴이 도용희 T.아퀴나스 

위대한 약속

도용희 토마스 아퀴나스 / 교구평협 부회장 yhdotho@hanmail.net

“좋은 집에서 말다툼보다 작은 집에 행복 느끼며, 좋은 옷 입고 불편한 것보다 소박함에 살고 싶습니다. (중략) 하나도 모르면서 둘을 알려고 하다 사랑도 믿음도 떠나가죠. 세상 살면서 힘이야 들겠지만 사랑하며 살고 싶습니다.”

최근 SNS에 자주 오르는‘위대한 약속’이라는 노랫말입니다. 음률도 좋지만 꾸밈없는 가사 내용에 공감이 갑니다. 지극히 평범한 일상 안에서 소중한 가족 사랑과 소박한 삶에 대한 바람이 느껴집니다.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부르면 참 좋을 곡이라 생각됩니다. 가정의 행복은 물질적인 풍요로움보다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데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우리는 대개 큰 집과 좋은 옷으로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하느님의 마음이나 평가보다는 사람들로부터 받는 칭찬과 박수에 더 익숙하고 기뻐합니다. 

내가 얼마나 마음과 목숨과 힘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였는지를 생각하지 않고,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 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 때가 많습니다. 

나의 가장 가까운 배우자에게서 발견하는 사소한 습관들을 짜증내며 지적하지 않았는지, 나의 자녀에게 칭찬보다는 질책만 하지 않았는지, 나의 이웃들의 허물에 대해 무심코 뒷담화 하지 않았는지 오늘 새삼 돌아보게 됩니다. 

내 곁의 가장 가까운 이를 사랑하지도 못하면서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을 지켰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회당에서 소리치며 기도하는 바리사이와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에서도 예수님께서는 이사야 예언서“이 백성이 입으로는 나에게 다가오고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고...”(이사 29, 13)를 들어 유대 조상들이 보였던 위선을 지적하십니다.

신앙인으로 사는 우리가 가장 경계해야 할 것 중 하나가 위선(僞善)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선은 안과 밖이 다른 우리의 일그러진 모습입니다. 저 또한 머리와 입으로는 하느님의 영광을 찬미하고 손과 발은 이웃을 도우려 애쓰지만, 사실은 가슴 안에 하느님 사랑이 빠진 위선일 때가 많았음을 고백합니다. 모든 일에 있어 우리의 마음이 하느님께로 온전히 모아질 때 하나도 모르면서 둘을 보여주려는 위선을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힘든 일상 속에서도 사랑하며 살겠다는 이‘위대한 약속’을 지킬 수 있는 힘은 사랑이신 하느님께 늘 기도하고 의지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느님께서 기뻐하시는 그 안에 우리가 추구하는 참 행복이 있지 않을까요?

호수 제목 글쓴이
2343호 2015.08.30  위대한 약속 도용희 T.아퀴나스 
2418호 2017.01.22  미사 안내를 하고 나서 박주영 첼레스티노 
2099호 2011.04.03  침묵피정 떠나실래요? [1] 김양희 레지나 
2426호 2017.03.19  “의로움의 열매는 평화를 이루는 이들을 위하여 평화 속에서 심어집니다.”(야고 3, 18) 차광준 신부 
2348호 2015.10.04  너 어디 있느냐? 이종인 디오니시오 
2499호 2018.07.29  초심을 잊지 말아야 하느님을 신뢰 할 수 있다 김상원 요셉 
2398호 2016.09.04  미국이 부러운 이유 김상진 요한 
2304호 2014.12.14  성당 문 열어놓기 김기영 신부 
2354호 2015.11.15  당신의 도구로 살기까지 김기영 신부 
2363호 2016.01.03  마음의 수분크림 탁은수 베드로 
2471호 2018.01.14  바티칸 라디오(RADIO VATICANA) 김수환 신부 
2407호 2016.11.6  온누리에 햇살 고루 나누어 주시는 주님 공복자 유스티나 
2374호 2016.03.20  성지가지를 바라보면서 류명선 스테파노 
2371호 2016.02.28  사람아, 흙으로 다시 돌아갈 것을 생각하여라! 변미정 모니카 
2375호 2016.03.27  특집 -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 - ‘기초공동체 복음화의 해’를 맞는 평신도의 역할 도용희 토마스 아퀴나스 
2277호 2014.06.15  앗쑴! 히로시마 김기영 신부 
2236호 2013.09.22  별이 되고 꽃이 되고 박옥위 데레사 
2384호 2016.05.29  주일학교 단상(斷想) 전영주 바오로 
2397호 2016.08.28  한 개의 빵은 어디에? 정재분 아가다 
2267호 2014.04.06  진주 운석은 하느님의 편지 김상진 요한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