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탁동시(啐啄同時)

가톨릭부산 2015.11.05 08:39 조회 수 : 11

호수 2209호 2013.03.31 
글쓴이 김광돈 요셉 

줄탁동시(啐啄同時)

김광돈 요셉 / 노동사목 사무국장

‘부활을 축하합니다.’ 서로 인사를 건네며 선물로 주고받는 부활달걀(Easter egg)은 그리스도께서 죽음을 물리치고 새로운 생명으로 나타나신 돌무덤의 상징으로, 그리스도의 부활을 축하하고, 그 영광에 참여하며, 부활의 기쁜 소식을 널리 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먹을 것이 귀한 시절에는 달걀은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었지만 현대 생활에서는 흔한 먹을거리다. 그래도 부활절에 주고받는 달걀은 잔칫상의 산해진미(?)처럼 특별하고 맛있다. 

달걀 속의 병아리가 껍질을 깨뜨리고 나오기 위하여 껍질 안에서 쪼는 것을 ‘줄’이라 하고, 어미 닭이 밖에서 쪼아 깨뜨리는 것을 ‘탁’이라 한다. 이 두 가지가 동시에 행하여지므로 사제지간이 될 연분(延紛)이 서로 무르익음의 비유로 쓰인다. 또한 줄탁동시는 ‘참나’를 찾기 위한 여정에서 잃어버린 자신을 발견하는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을 본 제자들은 예수님의 제자라는 사실이 발각되면 죽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으로 어떤 집에 숨어 있다가 홀연히 나타난 예수님에게 평화의 인사를 받는다. ‘너희에게 평화가 있기를’ 그 후 제자들은 용기를 내어 마음을 에워싸고 있던 두려움의 문을 열고 곳곳에 기쁨을 전한다.

관계에서 어렵고 지치게 하는 누구를 만날 때 내적 평화가 없으면 우리는 숨어 지내던 제자들처럼 자주(또는 가끔) 움츠리고 힘들어하며 마음의 문을 닫는다. 때로는 환경을 탓하거나, 때로는 상대방을 탓하며 불신과 분노의 꺼풀로 자신을 겹겹이 쌓고 한 발짝 물러난다. 

이 땅에 평화가 넘쳐나는 아버지의 나라가 오기를 바라는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좀 더 자유롭고 친밀한 나이고 우리이기 위해 이번 부활기간 동안 그리스도와 ‘연분 쌓기’, 늘 우리 곁에서 사람(나)과 세상을 쪼아 깨뜨리고 계신 그리스도의 ‘탁’과 맞물려 가정과 사회에서 자신도 모르게 잃어버린 참나를 찾기 위한 나의 ‘줄’은 어떤 것이 있는지, 일상에서 제자 되기 위한 나의 ‘줄’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참나’를 발견하는 노력을 해보면 어떨까? 

약점과 상처까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하고, 세상의 아픈 소리에 응답할 때 비로소 주님의 평화 안에 머물 수 있지 않을까?

호수 제목 글쓴이
2641호 2021.03.07  오후 5시 한옥선 율리아 
2209호 2013.03.31  줄탁동시(啐啄同時) 김광돈 요셉 
2205호 2013.03.03  고된 삶의 사람들 박주미 막달레나 
2113호 2011.07.10  어디에서 근절시킬까? 박주미 
2040호 2010.03.14  말씀 안에 치유 정순남 막달라마리아 
2025호 2009.12.13  나눔과 기다림 박주미 막달레나 
1991호 2009.05.03  내적 여정 박주미 막달레나 
2764호 2023. 7. 2  진로 선택과 삶의 방향 잡기 file 김지영 마틸다 
2751호 2023. 4. 2  “나는 한국 사람인데.” 이영훈 신부 
2750호 2023. 3. 26  부활을 꿈꾸는 나에게 박선정 헬레나 
2746호 2023. 3. 5  [젊은이에게 보내는 편지] 기성세대와 신세대와의 관계 노태윤 미카엘 
2659호 2021.07.11  바다의 별 file 박준철 스테파노 
2651호 2021.05.16  “평화가 너희와 함께”(요한 20,19) 부산가톨릭평화방송 
2582호 2020.02.20  [이콘 읽기] 주님 성전 봉헌 file 이인숙 안젤라 
2058호 2010.07.18  우선적 선택 박주미 
2022호 2009.11.22  많은 것이 달라요 김 루시아 수녀 
2008호 2009.08.23  어떻게 할 것인가? 박주미 
2813호 2024. 5. 19  인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이영훈 신부 
2795호 2024. 1. 21  연중의 삶 속에서 강은희 헬레나 
2749호 2023. 3. 19  교회 안에서 자신의 고유한 사명을 찾는 여정 손숙경 프란치스카 로마나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