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복음묵상
오늘 복음은 세리들과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가까이 모여 드는 것을 보고 “저 사람은 죄인들을 받아들이고 또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군.” 하고 투덜대던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에게 들려준 비유입니다. 이렇게 보면 비유 속 첫째 아들은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을 상징하고, 아버지 가산을 탕진하고 후회하며 돌아오는 둘째 아들은 세리와 죄인들을 상징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세리와 죄인들을 너무나 싫어했습니다. 그들과 함께 밥을 먹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 자체가 죄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런 세리와 죄인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그분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자,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기꺼이 맞아들이시어 그들과 음식을 드시며 잔치를 벌이십니다. 이런 예수님의 모습을 보며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은 못마땅해 합니다. 
비유 속 큰아들의 대사는 그들의 생각을 대변합니다. “저는 여러 해 동안 종처럼 아버지를 섬기며, 아버지의 명을 한 번도 어기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저에게 아버지는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한 마리 주신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 아버지의 가산을 들어먹은 저 아들이 오니까, 살진 송아지를 잡아 주시는군요.” 
그들을 향하여 예수님께서는 아버지를 대신해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고 내 것이 다 네 것이다. 너의 저 아우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다. 그러니 즐기고 기뻐해야 한다.” 이 말을 듣고 큰아들인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은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복음서는 큰아들의 반응을 언급하지 않습니다. 이는 일종의 열린 결론입니다. 바로, 독자인 우리가 큰아들이라면 과연 어떤 반응을 보였을지 한번 생각해 보라는 일종의 초대입니다. (염철호 요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