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415호 2017.01.01 
글쓴이 가톨릭부산 

『교구 30년사』에 나오는  교구 자선아파트의 역사

『교구 30년사』363~364쪽 발췌
부산교구사 편찬 위원회, 한국교회사연구소

  천주교회의 사회 사업은 예비 선교(豫備宣敎)의 성격을 띤 것으로 일반 사회 사업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그러므로 한국 천주교회에서도 이미 박해시대부터 사회 사업을 실천에 옮겨 왔고, 이것이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토대의 하나가 되었다. 부산 지역 교회에서도 이와 같은 사회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미 교구 설립 이전부터 그 실천에 노력해 왔다. 그중에서도 의료 사업, 교육 사업, 자선 사업 등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역 사회에 많은 도움을 준 것이었다.


  교구 설립 후 부산교구 안에서 가장 활발히 전개된 것은‘자선 사업’이었다. 사회 복지 사업과 사랑의 나눔의 실천 운동, 복음의 전파 활동을 겸해 실행된 이 사업은 교구에서 특히 역점을 둔 것으로, 당시 한국 교회 안에서도 눈에 띄는 결과를 낳을 수 있었다. 그중“빈민 주택 사업”은 무의촌 진료 사업, 이재민 구호 사업과 함께 사회 복지 사업의 일환으로 1960년부터 시작되었다. 부산교구의 부주교이며 중앙 본당 주임으로 있던 장병화 몬시뇰은‘6·25 사변 후 집을 잃고 판자집이나 천막촌에 살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집을 마련해 줄 수 있을까?’하는 생각을 오랫동안 품어 오던 중, 1959년 가을 무렵 같은 생각을 갖고 있던 루디(徐基湖) 신부를 알게 되었다. 루디 신부는 오스트리아 사람으로 한국에 귀화한 후 대구교구 소속으로 있었는데, 장병화 몬시뇰의 뜻을 알고는『오스트리아 가톨릭 부인회』를 소개시켜 주었다. 당시 이 부인회는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 국민들로부터 매년 사순절마다 헌금을 모금하여 외국의 사회 복지 기금으로 전달해 오고 있었다.1)


  장 몬시뇰은 이 사실을 알고는 즉시『오스트리아 가톨릭 부인회』에 연락을 취하여, 약 6개월 후인 1960년 3월에 그 부인회로부터‘부산의 난민 주택 건립 사업을 후원하기로 결정했다’는 회답을 받게 되었다. 당시 이 부인회에서 1차로 전해 온 기금은 7만불이었다. 장 몬시뇰은 기금을 얻자마자 부산 시내 남부민동(南富民洞)에 대지 3,457평을 매입하고, 1960년 7월 14일 기공식을 가진 다음 약 6개월 여 만에 난민 주택 50동을 건립하였다.2)  그 후 장병화 몬시뇰은 1966년까지 여덟 차례나 주택(또는 아파트)을 건립하여 총 198세대의 무주택 서민에게 보금자리를 마련해 줄 수 있었다. 이때까지 오스트리아의 부인회가 부산교구에 지원해 준 건립 기금은 약 31만불에 달했다. 이처럼 1966년까지 부산교구에서 건립한 빈민 주택 내용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다.3)

부산교구의 빈민 주택 사업 현황(1960~1966)

차수

연 도

종 류

세대수

소용 비용

위치

1차

1960

단독 주택

50

7만불

남부민동

2차

1961

단독 주택

6

1만 5천불

영주동

3차

1962

아파트

30

4만불

남부민동

4차

1963

아파트

30

4만불

아미동

5차

1964

아파트

35

5만 5천불

해운대

6차

1965

단독 주택

16

2만불

대청동

7차

1965

단독 주택

16

2만불

복천동(동래)

8차

1966

아파트

15

2만불

복천동(동래)

----------------------------------------------------------------------------------
1) <가톨릭시보> 제242호, 1960. 8. 21 ;《경향잡지》제52권 제10호, 1960. 10 ; 金九鼎,『천주교 경남발전사』191~192쪽
2) 金九鼎,『천주교 경남발전사』192쪽 및《경향잡지》제52권 제10호, 1960. 10
3) 金九鼎,『천주교 경남발전사』192~195쪽 및 <가톨릭시보> 제242호, 1960. 8. 21 ; 257호, 1960. 12. 4 ; 342호, 1962. 9. 9 ; 제358호, 1963. 9. 1 ; 제544호, 1966. 11. 20 ;《경향잡지》제52권 제10호, 1960. 10 ; 제54권 제10호, 1962. 10 ; 제55권 제2호, 1963. 2 ; 제56권 제6호, 1964. 6.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 2459호 2017.11.05  새 미사 경본 소개 특집 (1) 신호철 신부  123
19 2455호 2017.10.08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가두선교’라는 말보다‘찾아가는 선교’ 성영숙 소화데레사  92
18 2454호 2017.10.01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어메이징 성모마리아 김민영 로사리아  24
17 2450호 2017.09.03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길 위에서 찾은 잃은 양 가족 정해숙 멜라  38
16 2445호 2017.07.30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황호성 비오  103
15 2444호 2017.07.23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행복하이소~ 이영창 신부  49
14 2439호 2017.06.18  본당 복음화의 해 - 무엇이 신자를 성당에서 멀어지게 하는가? 정미라 베네딕다  50
13 2438호 2017.06.11  천주교부산교구 교구설정 60주년 기념 교황청 시스티나 성당 합창단 내한 공연 file 가톨릭부산  117
12 2434호 2017.05.14  2017년 성가정 축복미사 가톨릭부산  122
11 2430호 2017.04.16  본당 복음화의 해 - 우리 가정은 매일 함께 기도합니다 김정숙 율리아나  44
10 2429호 2017.04.09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지속적인 성체조배회 김말수 소피아  56
9 2425호 2017.03.12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문화와 친교를 지역 주민과 나누는 본당 강동주 안젤라  95
8 2424호 2017.03.05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복음화와 성령 이병주 신부  51
7 2420호 2017.02.05  본당 복음화의 해 특집 - 교회 안의 모든 여성이 성모님의 모습이기를 소망합니다 남영자 마리아  94
6 2419호 2017.01.29  본당 복음화의 해 - 나는 왜 매일 성당을 향해 종종걸음을 치는가? 정혜원 세실리아  95
5 2417호 2017.01.15  2016년 새 사제 다짐·감사 인사 file 가톨릭부산  55
4 2416호 2017.01.08  해운대 소재 천주교 부산교구 - 자선 아파트 부지 보상금 30억, 전액을 가난한 이웃을 위해 사용 가톨릭부산  91
» 2415호 2017.01.01  『교구 30년사』에 나오는 교구 자선아파트의 역사 가톨릭부산  127
2 2415호 2017.01.01  본당 복음화의 해 - 아빠, 함께 기도해요! 이선정 이레네  76
1 2023  2023년 부산교구 사목지침 file 교구장 손삼석 주교님  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