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마음으로

가톨릭부산 2015.11.03 09:48 조회 수 : 15

호수 2079호 2010.12.05 
글쓴이 김종일 

어머니의 마음으로

김종일 노동사목사무국장

며칠 전 자동차 회사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던 한 노동자가 분신을 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나마 생명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라 하니 다행입니다. 저는 이처럼 사회의 이목을 끄는 자살문제가 생기면 인터넷 기사에 달리는 댓글을 유심히 들여다봅니다. 보통은 상반된 의견으로 나뉘더군요. 한쪽은 이유 불문하고 자살은 비겁한 자나 실패자가 선택하는 최악의 회피라는 의견이고 또 다른 한쪽은 자살한 사람의 입장에 동조하여 동정론 내지 옹호론을 펴는 의견입니다. 덧붙이자면, 노동자들의 분신에 대한 반응에는 유독 사회 불안 조성이나 국가전복을 노리는 불순한 자들의 선동이라는 극단적 의견들도 심심찮게 나오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는 정치색이나 이념색이 덧칠해진 결과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하느님을 믿는 사람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주변에서 만나는 신자분들 생각을 들어보면, 자살 또한 하느님께서 주신 고귀한 생명을 죽이는 것이니 ‘살인하지 말라’는 십계명을 어긴 용서받지 못할 대죄에 해당된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더군요. 실제로 옛날 교회법에는 장례미사를 드리지 못하는 사람으로 이단자, 이교자, 배교자와 더불어 자살한 사람도 포함되었습니다. 하지만 1983년에 교회는 자살한 사람을 이 조항에서 삭제함으로써 자살한 사람을 위한 장례미사나 사도예절를 허용하였습니다. 교회의 이러한 변화는 자살한 사람에 대한 교회의 인식이 많이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의 은사였던 심상태 신부님께서는 “우리가 바리사이인들의 잘못된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윤리의 잣대는 엄격하고 공정하게 적용하되 윤리를 어길 수밖에 없었던 당사자의 입장 또는 상황을 충분히 살펴야 한다.”는 점을 늘 강조했습니다.

OECD 국가 중 한국의 자살률이 1위라는 수치가 보여주듯 한국에서 자살하는 사람은 매년 늘어나고 있고, 자살의 이유도 성적 비관, 가정 경제의 어려움, 직장에서의 해고 등 여러 가지입니다. 하지만 편견 없이 그 상황을 유심히 들여다 보면, 개인이 전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자살이란 없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느 한 사람의 자살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심각한 병을 앓고 있다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 비로소 우리는 자살을 막을 수 있는 참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믿습니다. 

이번에 분신을 한 황씨는 비정규직이란 이유로 차별 받는 사회를 고발하고 떳떳한 노동자로 대접받는 사회를 만들고 싶었다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따뜻하고 열린 마음으로 이들의 아픈 이야기를 들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교회는 세상의 어머니이기 때문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509호 2018.10.07  묵주기도 하기 좋은 날 조수선 안나 
2510호 2018.10.14  딸의 느린 엽서 박주영 첼레스티노 
2511호 2018.10.21  당신은 누구십니까? 성지민 그라시아 
2512호 2018.10.28  산티아고 순례길 정경수 대건안드레아 
2513호 2018.11.04  “식사 한 번 하시죠” 탁은수 베드로 
2514호 2018.11.11  “과연 우리에게 신앙생활은 몇 순위일까요?” 차광준 신부 
2515호 2018.11.18  여권 하창식 프란치스코 
2516호 2018.11.25  동방의 예루살렘-북한? 김상진 요한 
2517호 2018.12.2  모든 것에는 때가 있다 (코헬렛 3장) ~ 어느날의 인사 김효희 젤뚜르다 
2519호 2018.12.16  제 마구간에 말구유가 있었으면… 박주영 첼레스티노 
2520호 2018.12.23  가난한 이웃에게도 인권이 있습니다. 김검회 엘리사벳 
2522호 2018.12.30  가정 성화의 길로 김재원 세실리아 
2522호 2018.12.30  하느님 안에 붙어있는 다섯 손가락 김종남 신부 
2524호 2019.1.6  기도는 최고의 동아줄 윤경일 아오스딩 
2525호 2019.01.13  아기 예수님, ‘자녀 잃은 부모’에게 오소서 이영훈 신부 
2526호 2019.01.20  믿음과 기적 배계선 브루노 
2527호 2019.01.27  군종병 요한이 박종석 신부 
2528호 2019.02.03  나눔의 기쁨을... 강송환 마르코 
2529호 2019.02.10  백억 짜리 동전 이정윤 소화데레사 
2530호 2019.02.17  고통의 모서리에 입을 맞추다 최옥 마르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