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는

가톨릭부산 2015.11.02 11:35 조회 수 : 6

호수 1993호 2009.05.17 
글쓴이 김양희 레지나 

예수님께서는 잡히시기 전날 게세마니에서 피땀을 흘리시며 간절히 기도하셨다. "내가 이 사람들을 위하여 이 몸을 아버지께 바치는 것은 이 사람들도 참으로 아버지께 자기 몸을 바치게 하려는 것입니다."(요한 17∼19) 성금요일, 무덤 제대 앞에서 봉독하는 제자들을 위한 기도를 새길 때마다 숙연해지는 마음을 어쩔 수가 없다. 목숨을 담보로 한 사랑, 믿음의 힘은 과연 무엇일까.

박해 시대 순교자들은 형틀과 고문에 시달리는 말할 수 없는 고통과 싸우며 주님을 증거하고 죽어갔다. “그냥 있어도 아픈 상처가 감방이 너무 비좁아 움직일 때마다 서로 부딪칩니다. 그러니 다른 사람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려면 움직이고 싶어도 참아야 합니다. 또 온 몸에 상처가 나지 않는 곳이 없는데 그 상처마다 온갖 벌레들이 덤벼 옵니다. 상처가 썩어 들어가는 것도 고통이지만 가장 견딜 수 없는 것은 굶주림입니다. 너무 배가 고파서 내 피고름으로 썩는 냄새가 코를 찌르는 멍석 자락을 뜯어 씹으면서 이 배고픔 때문에 주님을 배반하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순교자들의 전기를 읽을 때마다 우리들의 안일한 신앙심을 뉘우치게 된다. 오늘날의 신앙 생활은 배고픔도 순교도 요구하지 않는다. 목숨은커녕 본당을 두고도 한 발이라도 가까운 성당을 찾고, 희생과 애긍마저 하는 사람들의 것이려니 여기기도 한다. 겸손과 이해, 양보와 애덕을 실천하는 것이 오늘날의 백색순교이건만 우리 사회는 사랑과 감사마저 메말라버렸기에 주님께서는 김수환 추기경을 통하여 우리를 깨우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영적인 몸을 입기에 시간과 공간에 제한 받지 않으며 눈에 보이지도 않는다. 엠마오의 예수님이나, 제자들이 문을 걸어 잠그고 있을 때 "너희에게 평화를!"하며 들어오신 예수님의 모습이 그것이다. 끊임없는 기도 생활로 영적인 눈을 뜨게 될 때만이 물질과 정신의 한계를 제한 없이 넘나드는 예수님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토마스의 고백을 들은 예수님은 "보지 않고도 믿는 이는 행복하다"고 하셨다. 부활하신 예수님이 지금 이 순간 나와 함께 계신다는 믿음만이 우리를 자유롭게 해주실 것이다. 어렵고 힘든 세태라지만 세상을 이기는 것은 바로 믿음이기 때문이다.

호수 제목 글쓴이
2146호 2012.02.05  작은삼촌 하창식 프란치스코 
2154호 2012.04.01  만우절 하창식 프란치스코 
2162호 2012.05.27  외국인 유학생들을 볼 때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2174호 2012.08.15  매일매일의 기적 하창식 프란치스코 
2186호 2012.11.04  아사 가오리! 하창식 프란치스코 
2199호 2013.01.20  책 속에 길이 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2211호 2013.04.14  당신이 있기에 나는 행복합니다 하창식 프란치스코 
2324호 2015.04.19  신호등 하창식 프란치스코 
2364호 2016.01.10  세례의 추억 하창식 프란치스코 
2392호 2016.07.24  신앙의 신비 하창식 프란치스코 
2412호 2016.12.11  콧구멍 집 하창식 프란치스코 
2432호 2017.04.30  부활의 신비 하창식 프란치스코 
2503호 2018.08.26  선택 하창식 프란치스코 
2515호 2018.11.18  여권 하창식 프란치스코 
2808호 2024. 4. 14  “평화가 너희와 함께!” 하창식 프란치스코 
2535호 2019.03.24  제34차 세계청년대회 참가자 수기 -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루카 1,38) 한그린 미카엘라 
2807호 2024. 4. 7  나의 행복 리스트 한미현 에스텔 
2673호 2021.10.17  주어진 소임에 최선을 다하여 한영해 아가다 
2641호 2021.03.07  오후 5시 한옥선 율리아 
2811호 2024. 5. 5  라파엘라, 교사가 되다 허수진 라파엘라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