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진실한 예배에 목말라 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무엇 하나 부족한 것이 없으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도와 예배에 목말라 하신다니, 좀 과장된 것 같습니다.

 

왜 일까요? 질문을 읽으면서 뭣 모르고 주일학교에 갔던 제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과연 이 질문에 대한 답처럼, 내 스스로가 진정한 예배자인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사제서품을 받은 후에 흘러간 세월 속에서 과연 주님께 진실한 예배자였는지……? 묻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뜻하지 않았던 유학 생활 10, 본당에 부임했지만 고작 2년여의 짧은 시간을 지내고 이동해야 했을 때의 아쉬움과도 마주했습니다. 이후 신학교 교수직을 맡아서 신학생들과 어울렸던 10년 세월도 새로이 돋아나더군요. 거기에다 교구청에서 선교사목국장으로 지낸 4년이 보태져 어느새 중년의 나이를 훌쩍 넘어선 저와 마주했습니다. 행복하더군요.

이제 월평성당에 짐을 풀고 다시 본당 생활을 시작했는데요. 본당에서 신자들과 함께 미사를 봉헌하며 얻는 기쁨을 만끽하는 중입니다. 본당사제의 행복은 교우분들과 함께 마음모아 미사를 봉헌하는 일이라는 고백으로 글을 열고 싶어졌습니다.

 

사실 세상의 수많은 사람들은 수많은 것을 향하여 예배하며 살아갑니다. 무엇엔가 기대어 예배드리며 소원을 비는 마음이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일 텐데요. 그럼에도 이런 기복적 예배는 그리스도인의 예배와 전혀 다릅니다. 우리에게 예배란 하느님의 영과 인간의 영이 만나서 서로 교제를 나누는 일이며 형식이나 의식을 넘어 진정으로 하느님과 만나 합일되는 시간이니까요.

성경의 마지막, 묵시록은 시작부터 끝까지 예배에 관한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는데요. 하느님나라란 매일 매 순간 하느님을 찬미하고 경배하는 곳임을 알려주지요. 그런 의미에서 예배는 매일 매순간마다 기쁨과 환호로 주님을 찬미드리는 하늘나라의 삶을 연습하는 시간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약에 미사시간이 지루하고 재미없다면 하늘나라 생활도 재미없을 것이란 설명을 덧달겠습니다.

또한 성경은 하느님께 예배를 드렸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카인의 아픈 이야기를 들려주는데요. 이야말로 예배자의 마음이 온전치 못할 때, 주님을 향한 희생 제사가 카인의 예배로 추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엄중하게 경고합니다. 온 재산을 바치고 자신의 전부를 봉헌할지라도 마음이 진실되지 못할 때, 결코 주님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뜻이니까요. 때문에 주님께 합당한 예배가 되기 위해서는 진심으로 그분을 경외하는 마음과 당신께 기쁨을 드리기 위한 정성이 따라야합니다.

하지만 세상의 모든 인간은 거룩하신 주님 앞에 온전히 설 수 없는 존재입니다. 크고 크신 주님 앞에서 몸을 사릴 수밖에 없는 죄인입니다. 그러기에 주님께서는 당신 앞에서 몸을 숨길 수밖에 없는 죄인인 인간의 처지를 가엾이 여기셨습니다. 우리의 온전한 제사를 위해서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희생시키셨습니다. 마침내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높은 벽을 손수 허물어 주셨습니다. 하느님과 인간이 서로 사랑을 표현하는 일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하여 우리가 바치는 예배의 본질이 오직 주님을 향한, 주님에 의한, 주님을 위한 미사가 될 수 있도록 자비를 베푸신 것입니다.

 

사도 요한은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인의 만남을 기록하며 참된 예배의 의미를 잘 설명하고 있는데요. 여기서 그녀의 의문이 주님과의 대화를 통해서 술술 풀려나간 점에 주목하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예배의 장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그녀에게 예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경배의 대상이라는 점을 일깨워 주셨는데요. 이로써 우리는 참된 예배를 위해서 바로 지금이 가장 좋은 시간이라는 것, 바로 여기가 가장 귀한 장소라는 사실을 명심하게 됩니다.

그리스도인에게는 바로 이때, 지금, 내가 자리한 이곳이 예배 장소가 되어야 합니다. 참된 예배란 지금 이 순간을 복음에 비추어 살아가는 거룩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그리스도인에게 예배는 하느님과 깊은 사랑에 빠지는 신비의 행위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예배의 값어치가 하느님을 향한 마음의 간절함에 따라 좌우되는 이유이지요. 그러기에 하느님께 예배를 드린다면서도 사실은 물질과 향락과 권력을 섬기지는 않는지 스스로를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혹여 유한한 것, 없어질 것, 허무한 것, 자기만족을 위해서 예배드린다면 전혀 헛된 것임을 명심해야합니다. 그리스도인의 미사는 소원을 성취하기 위한 기복행위가 아니며 오직 하느님을 섬기는 일이기에 그러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예배를 기뻐하십니다. 우리의 기도와 예배가 참되도록 성령으로 함께 하십니다. 우리 마음이 성령의 이끌림을 받도록 돕고 또 도우십니다. 그 은총에 힘입어 우리는 진심으로 천지의 창조주, 주님께 온전한 경배를 드릴 수 있습니다. 마침내 참되고 진실된 예배에 목말라하시는 그분의 목마름을 해소시켜 드릴 수 있습니다. 이제 주님의 말씀을 깊이 새기고 더 이상 마음이 혼란해지지 않도록 잘 정돈하기 바랍니다.

  • 월평rosa 2019.02.02 21:32
    신부님
    예배라는표현이많이어색합니다
    개신교에서예배드린다라고하고
    천주교에서는미사드린다라는표현을쓰는줄알았습니다.
    예배의참뜻을알고예배드리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주님의기도 2019.02.04 06:36
    주님께 대한 참된 예배의 자세에 대해 놀랍도록 하나 하나 짚어 주시는 신부님 너무 감사드리며 한번도 빠지지 않고 주님을 뵙고 경배해야 겠다는 생각만으로 미사를 드렸습니다만 진정으로 주님을 기뻐게 해 드려야 한다는 것은 조금 소홀히 했던것 같습니다... 매일의 삶속에서 한번이라도 주님을 웃게 해드리는 일을 꼭 기억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2월 8일 말씀일기(사도 12-14)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8 19
36 2월 7일 말씀일기(사도 9-11)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7 15
35 2월 6일 말씀일기(사도 7-8)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6 18
34 2월 5일 말씀일기(사도 4-6)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5 18
33 은경축을 맞이하며 2 file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5 45
32 2월 4일 말씀일기(사도 1-3)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4 14
31 2월 3일 말씀일기(요한 20-21)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3 22
» 경향잡지 연재 글(1월호. 진실한 예배) 2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2 34
29 2월 2일 말씀일기(요한 17-19)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2 11
28 2월 1일 말씀일기(요한 13-16)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2.01 21
27 1월 31일 말씀일기(요한 11-12)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8 57
26 1월 30일 말씀일기(요한 8-10) 2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8 71
25 1월 29일 말씀일기(요한 6-7)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8 22
24 1월 28일 말씀일기(요한 4-5)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8 26
23 1월 27일 말씀일기(요한 1-3)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7 29
22 1월 25일 말씀일기(루카 21-22) 3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5 44
21 1월 24일 말씀일기(루카 18-20)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5 22
20 1월 23일 말씀일기(루카 14-17)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3 38
19 1월 22일 말씀일기(루카 12-13)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3 28
18 1월 21일 말씀일기(루카 10-11) 1 월평장재봉신부 2019.01.21 27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