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1871호 2007.2.25 
글쓴이 장재봉 신부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냉담은 어떤 계기로 생겨난 것이든 하느님과의 관계가 메마른 상태를 말합니다. 영혼이 하느님의 사랑에서 멀어지면 죄에 대한 감각이 무뎌지기 때문에 하느님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게 됩니다. 그러나 소원했던 관계를 회복하고 이제 나를 사랑하고 기다리시는 아버지께로 돌아가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표현함으로써 화해할 수 있습니다. 고해성사는 진정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느낀 인간이 그 사랑에 충분히 답해드리지 못했던 자신의 삶을 깨닫고 하느님자비의 품에 뛰어드는 일입니다. 돌아가겠다고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참으로 돌아와서 아버지의 품에 안기는 일입니다. 죄에 걸려 넘어지고 실망하고 남을 탓하고 원망했던 그 모든 죄를 버리겠다고 다짐하는 자리이며 그 동안 죄의 무게에 힘들고 지친 자신을 예수님께 내어 드리는 행위인 것입니다. 고해성사는 죄의식이나 죄책감을 뼈저리게 느끼라고 주시는 형벌의 자리가 아니라 아직도 나를 사랑하고 기다리시는 하느님께서 손수 펼쳐 놓으시고 손수 사랑의 작업을 펼치시는 사랑의 장소라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인간은 죄에서 자유로울 때에 행복합니다. 하느님의 사랑을 깨닫고 아버지의 사랑 안에서 살겠다고 맹세하는 자리, 고해성사에서 쏟아지는 은총은 엄청난 것입니다. 하느님과 그분을 따르는 자녀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이어주는 자리이기에 냉담후의 고해성사는 꼭 필요합니다

.


-----------------------------------------------------------------------------------------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

기일 제사와 명절 차례

- 주교회의 2012년 춘계 정기총회 승인 -

 

제1장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지침

 
 

1. 한국 천주교 제례의 의미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는 “제사의 근본 정신은 선조에게 효를 실천하고, 생명의 존엄성과 뿌리 의식을 깊이 인식하며 선조의 유지에 따라 진실된 삶을 살아가고 가족 공동체의 화목과 유대를 이루게 하는 데 있다. 한국 주교회의는 이러한 정신을 이해하고 가톨릭 신자들에게 제례를 지낼 수 있도록 허락한 사도좌의 결정을 재확인한다.”(제134조 1항)고 명시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가 허락한 제례는 유교식 조상 제사를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조상에 대한 효성과 추모의 전통 문화를 계승하는 차원에서 그리스도교적으로 재해석한 예식이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 제례의 의미가 조상 숭배의 개념으로 오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가정 제례의 필요성

신자 가정들 가운데는 가풍으로 제례를 지내오는 경우가 많고, 특히 나이가 들어서 입교한 성인 신자 중에는 다종교 가정에서 생활하여 오랫동안 제례를 지내온 경우가 많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이들을 위한 사목적 배려 차원에서 신자들이 조상의 기일이나 명절에 가정이나 묘지에서 제례를 지낼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제134조 1항 참조).

 

3. 가정 제례와 미사

신자 가정에서 의무적으로 제례를 지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신자 가정에서는 기일 등 선조를 특별히 기억해야 하는 날에는 가정의 제례보다 우선하여 위령 미사를 봉헌한다(「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제135조 1항).

그러나 여러 가지 필요로 기일 제사나 명절 차례를 지내야 하는 가정은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을 기준으로 제례를 지낼 수 있다.

 

4. 가정 제례의 준비

제례를 드리기 전에 신자들은 다음과 같은 준비를 한다.

(마음과 몸의 준비) 제례 전에는 고해성사를 통해 마음을 깨끗이 하며, 제례 때에는 복장을 단정하게 갖추어 입는다.

(상차림) 제례상은 음식을 차리지 않고 단순하게 추모 예절만을 위한 상을 차릴 수도 있다. 상 위에는 십자가와 조상(고인)의 사진이나 이름을 모시며, 촛불을 켜고 향을 피운다. 그 외에 「성경」, 「가톨릭 성가」, 「상장 예식(또는 「위령 기도」) 등을 준비한다. 음식상을 차릴 때에는 형식을 갖추려 하지 말고 소박하게 평소에 가족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차린다.

 

5. 가정 제례의 내용

가정 제례의 내용은 시작 예식, 말씀 예절, 추모 예절, 마침 예식으로 구성하며, 특히 추모 예절에서는 분향과 절,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해 바치는 한국 교회의 전통적 기도인 위령 기도를 주요 예식으로 구성한다(「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제133조 참조).

 

6. 제례 용어

기일 제사와 명절 차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제례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신위(神位), 신주(神主), 위패(位牌), 지방(紙榜)이라는 유교식 제례 용어는 조상 숭배의 의미를 연상시킬 소지가 있어, “조상(고인)의 이름”, “조상(고인)의 사진” 등의 용어로 대치하였다.

 

※ 제2장 한국 천주교 가정 제례 예식은 첨부 파일 참조 하시길 바랍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356 2238호 2013.10.06  흔히 기복신앙은 잘못된 것이라고 합니다. 약하고 부족한 인간이라면 살아가면서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을 하느님께 청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그걸 왜 잘못되었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홍경완 신부  1420
355 2474호 2018.02.04  천주교는 기도 끝에“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비나이다.”라고 하고 개신교는“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라고 합니다. 의미는 같겠지만 천주교의 표현‘비나이다’의 어감이 왠지 범신론적 신앙대상에게 하는 샤머니즘적 표현 같습니다. 개신교 측 표현이 좀 더 그리스도적이지 않나요? 성경에서 기도하라고 말씀하셨지 빌어라(비나이다)는 표현은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장재봉 신부  655
354 2426호 2017.03.19  마음 속으로 상대를 비교하며 수없이 판단했습니다. 죄는 밖으로 드러나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하던데, 마음 속으로 짓는 생각의 죄는 어떻게 됩니까? 혹시 죄가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646
353 2421호 2017.02.12  그럴듯한 명분으로 자신의 일을 돕도록 레지오의 활동을 강요합니다. 안면에 거절도 못합니다. 이런 활동도 봉사인지, 또 레지오 활동보고가 가능한지 여쭙습니다. 장재봉 신부  644
352 2349호 2015.10.11  그 뜻이‘크게하다’는 의미를 지닌 마니피캇(magnificat)을 한국어로는 성모찬가라고 하는데 번역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장재봉 신부  579
351 2381호 2016.05.08  본당에 신부님이 새로 부임하면 늘 긴장하게 됩니다. 이런저런 분들을 겪으면서 이제는“사제는 지나치는 객”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달래지요. 솔직히 본당의 주인은 본당 신자들이지 않습니까? 이 점을 신부님들께서 유념해주신다면 서로 행복한 본당을 꾸릴 수 있지 않을까요? 장재봉 신부  578
350 2406호 2016.10.30  만일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셨다면, 어째서 죄악이 이렇게 맹위를 떨치는가요? 장재봉 신부  565
349 2371호 2016.02.28  전대사를 받을 때마다 고해성사를 새로 봐야 하나요? 장재봉 신부  561
» 1871호 2007.2.25  냉담 후 다시 성당을 나가려 할 때 반드시 고해성사를 봐야 하는지요? 장재봉 신부  547
347 2178호 2012.09.09  가톨릭성가 287번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노래’ 가사에서 “서라벌 옛 터전에 연꽃이 이울어라”는 부분에 의문이 듭니다. 경주 김씨가 아니라 김해 김씨인 김대건 신부님과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이 무슨 관계인지요? 장재봉 신부  537
346 2228호 2013.08.11  신부님께서 연도(제사)를 망자의 사망일에 맞춰 지내라 하십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제사는 사망 하루 전날에 지내지 않습니까? 장재봉 신부  509
345 2377호 2016.04.10  어떤 이는 마지막까지 모든 것 다 누리다가 하느님 품으로 가고, 어떤 이는 가난과 질병의 고통 속에서 때 이른 죽음을 맞이합니다. 이런 현실에서 하느님의 공평하심을 믿기가 매우 힘이 듭니다. 홍경완 신부  493
344 2425호 2017.03.12  요즘 제 모습이 못난이 같아 속상합니다. 일도 마음대로 안 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꾸 못난 모습이 드러나 우울합니다. 이런 기분이 들 때마다 기도도 하지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홍성민 신부  491
343 2386호 2016.06.12  막내며느리가 될 집안은 독실한 개신교입니다. 결혼하면 격주로 번갈아서 교회와 성당을 가자고 언약했다는데, 관면 혼배 등 어떻게 해야 가장 현명한 일일지 몰라 문을 두드립니다. 장재봉 신부  489
342 2185호 2012.10.28  인터넷으로 야한 동영상을 내려받아 보는 것이 습관이 되어 버렸습니다. 몇 번씩이나 저장된 파일을 다 지우고 다신 보지 않겠다고 다짐도 했지만, 다시 제자리입니다. 어떻게야 할까요? 홍성민 신부  486
341 2262호 2014.03.02  개신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한 신자입니다. 개신교에서는 제사를 우상숭배로 금지하는 데 천주교에서 아닌 것 같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요? 권순호 신부  485
340 2376호 2016.04.03  기도 중에 어떤 생각이 자꾸 떠오릅니다. 그럴 때 그것이 제 뜻인지 하느님의 뜻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래서 제 뜻이라면 제발 그 생각을 멈추게 해달라고 기도합니다. 그런데 멈추어지지가 않고 이제는 기도 때만 아니라 하루 종일 생각할 때도 있습니다. 제 뜻과 주님의 뜻을 어떻게 구분할 수가 있을까요? 장재봉 신부  483
339 2433호 2017.05.07  하느님께서는 왜 저에게는 은총을 베풀어 주시지 않으시나요? 다른 사람처럼, 자녀들이 성적이 좋기를, 남편 사업 잘되기를, 돈 많이 벌고, 건강하기를 기도하는데, 하느님께서는 저의 기도를 하나도 안 들어 주시는 듯합니다. 하느님은 참 불공평하신 듯합니다. 권순호 신부  477
338 2441호 2017.07.02  세례받지 않은 사람이 성체를 영했을 때,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합니까? 장재봉 신부  475
337 2418호 2017.01.22  우리는 종교를 선택할 때도 돈을 많이 벌고 성공하기를 바라며, 자신의 자식이 잘 되기를, 부모님이 건강하기를, 성공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순수하게 예수님의 삶을 따르기 위해서 이웃에 봉사하고 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 종교를 가지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자신의 성공과 소망을 위해서 종교를 가지는 것이 과연 잘못된 것일까요? 권순호 신부  47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