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출처 : 

천주교 서울대교구
홍제동성당의 주임신부이신
유종만 바오로 신부님의 묵상글 중에서

 

            

소설가 박경리씨는 이렇게 말했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홀가분하다." 


 

다음은 박완서씨가 썼던 글이다. 
 

"나이가 드니 마음 놓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 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어 좋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는 자유가
얼마나 좋은데 젊음과 바꾸겠는가.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 

살아오면서 볼꼴, 못 볼꼴 충분히 봤다. 

한번 본거 두번 보고 싶지 않다. 
 

한겹 두겹 책임을 벗고
가벼워지는 느낌을 

음미하면서 살아가고 싶다. 

소설도 써지면 쓰겠지만
안 써져도 그만이다." 

 

두 분은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여류 소설가였다. 

그러면서도
조용한 시골집에서 삶을 마감했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있다.
가장 아름다운 인생은
물처럼 사는 것(若水)이라는 뜻이다. 

 

위의 두 분은 물처럼 살다 간 분이다. 
 

흐르는 물처럼
남과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는 

부쟁(不爭)의 삶을 살았고,
만물을 길러주지만
공을 과시하려 하지 않는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살았다. 

 

두 분의 삶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자유이다. 

 

흘러가는 강물처럼
부딪치는 모든 것들에서 배우고,
만나는 모든 것들과 소통하며 
장강(長江)의 글을 쓰면서 
그 글 속에서 인생과 사랑을 말했다. 

 

말년의 두 분은
노년의 아름다움을 몸으로 보여 주었다.
후배들에게
이렇게 나이 먹어야 한다고
조용한 몸짓으로 표현했다. 

 

박경리씨는 원주의 산골에서,
박완서씨는 구리의 시골 동네에서
노년의 침묵을 가르쳐 주었다. 

 

천천히 걸어도 빨리 달려도 
이 땅에서의 주어진 시간은
오직 일생뿐이다. 

 

더러는 짧게 살다가, 

더러는 조금 길게 살다 떠나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포성당벽화작업했습니다 1 file 씨앗 2017.05.18 232
공지 매월 첫목요일은 성시간 기도하는 날입니다 file 씨앗 2017.03.28 1238
181 상덕부덕 초롱 2019.02.18 24
180 연중제6주일2019년2월17일 file 씨앗 2019.02.15 5
179 상대방 마음을 꿰뚫는 7가지 팁 2 초롱 2019.02.13 25
178 세 가지 여과기 : 진실, 선, 필요 2 초롱 2019.02.11 22
177 연중제5주일2019년2월10일 file 씨앗 2019.02.07 5
176 꼭 필요한 사람 초롱 2019.02.07 20
175 오늘이라는 행복의 선물 꾸러미 초롱 2019.02.04 21
174 자기문제인식 초롱 2019.01.30 21
173 설명절을 맞이하여 주님은총 듬북받으세요 file 씨앗 2019.01.28 10
172 연중제4주일 (19.02.03) file 씨앗 2019.01.28 16
» 상선약수의 삶 초롱 2019.01.22 91
170 연중제3주일 (해외원조주일)2019.1.27 file 씨앗 2019.01.20 7
169 인상현 신부님 장애인 복지관 관장 취임식 2 file 전포동심 2019.01.16 359
168 누구와도 쉽게 통하는 밝은 말투 초롱 2019.01.16 28
167 1%의 행복 초롱 2019.01.14 16
166 연중제2주일포도주기적 2019.1.20 file 씨앗 2019.01.13 4
165 초심 2 초롱 2019.01.10 15
164 주님세례축일(1월13일) file 씨앗 2019.01.06 5
163 흰둥이 강아지 초롱 2019.01.06 19
162 2019년 덕담 2 초롱 2019.01.02 34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