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출처 : 

천주교 서울대교구
홍제동성당의 주임신부이신
유종만 바오로 신부님의 묵상글 중에서

 

            

소설가 박경리씨는 이렇게 말했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홀가분하다." 


 

다음은 박완서씨가 썼던 글이다. 
 

"나이가 드니 마음 놓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 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어 좋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는 자유가
얼마나 좋은데 젊음과 바꾸겠는가.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 

살아오면서 볼꼴, 못 볼꼴 충분히 봤다. 

한번 본거 두번 보고 싶지 않다. 
 

한겹 두겹 책임을 벗고
가벼워지는 느낌을 

음미하면서 살아가고 싶다. 

소설도 써지면 쓰겠지만
안 써져도 그만이다." 

 

두 분은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여류 소설가였다. 

그러면서도
조용한 시골집에서 삶을 마감했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있다.
가장 아름다운 인생은
물처럼 사는 것(若水)이라는 뜻이다. 

 

위의 두 분은 물처럼 살다 간 분이다. 
 

흐르는 물처럼
남과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는 

부쟁(不爭)의 삶을 살았고,
만물을 길러주지만
공을 과시하려 하지 않는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삶을 살았다. 

 

두 분의 삶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자유이다. 

 

흘러가는 강물처럼
부딪치는 모든 것들에서 배우고,
만나는 모든 것들과 소통하며 
장강(長江)의 글을 쓰면서 
그 글 속에서 인생과 사랑을 말했다. 

 

말년의 두 분은
노년의 아름다움을 몸으로 보여 주었다.
후배들에게
이렇게 나이 먹어야 한다고
조용한 몸짓으로 표현했다. 

 

박경리씨는 원주의 산골에서,
박완서씨는 구리의 시골 동네에서
노년의 침묵을 가르쳐 주었다. 

 

천천히 걸어도 빨리 달려도 
이 땅에서의 주어진 시간은
오직 일생뿐이다. 

 

더러는 짧게 살다가, 

더러는 조금 길게 살다 떠나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포성당벽화작업했습니다 1 file 씨앗 2017.05.18 232
공지 매월 첫목요일은 성시간 기도하는 날입니다 file 씨앗 2017.03.28 1238
161 주님공현대축일(1월6일) file 씨앗 2019.01.01 7
160 2019년 덕담 2 초롱 2019.01.02 34
159 흰둥이 강아지 초롱 2019.01.06 19
158 주님세례축일(1월13일) file 씨앗 2019.01.06 5
157 초심 2 초롱 2019.01.10 15
156 연중제2주일포도주기적 2019.1.20 file 씨앗 2019.01.13 4
155 1%의 행복 초롱 2019.01.14 16
154 누구와도 쉽게 통하는 밝은 말투 초롱 2019.01.16 28
153 인상현 신부님 장애인 복지관 관장 취임식 2 file 전포동심 2019.01.16 359
152 연중제3주일 (해외원조주일)2019.1.27 file 씨앗 2019.01.20 7
» 상선약수의 삶 초롱 2019.01.22 91
150 연중제4주일 (19.02.03) file 씨앗 2019.01.28 16
149 설명절을 맞이하여 주님은총 듬북받으세요 file 씨앗 2019.01.28 10
148 자기문제인식 초롱 2019.01.30 21
147 오늘이라는 행복의 선물 꾸러미 초롱 2019.02.04 21
146 꼭 필요한 사람 초롱 2019.02.07 20
145 연중제5주일2019년2월10일 file 씨앗 2019.02.07 5
144 세 가지 여과기 : 진실, 선, 필요 2 초롱 2019.02.11 22
143 상대방 마음을 꿰뚫는 7가지 팁 2 초롱 2019.02.13 25
142 연중제6주일2019년2월17일 file 씨앗 2019.02.15 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