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양형 영성체는 어떻게 하나요?

by petersong posted Jan 03,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빵의 형상만으로 영성체를 하더라도 성체성사의 은총의 모든 열매를 받을 수 있습니다만, 사목적인 이유로 주례자는 세례, 견진, 혼인,서품,서원,각종 피정이나 회합미사 때 그 해당자들에게, 병자의 집에서 미사를 집전할 때 거기 참석한 신자들에게 양형 영성체를 해 줄 수 있습니다.
필자가 수도회 재속회원이 되어 매월 첫 주일이면 고성의 한 수도원에 다닌 적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미사를 참례하면 양형 영성체로 성체를 영 했습니다성체와 성혈을 함께 영해 주는 양형 영성체는 성체를 받아 모신 뒤 성혈을 성작에서 직접 마시는 방법과, 성체를 성혈에 적셔 모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이하 미사 총지침’], 286-287항 참조).

성체와 성혈을 모두 받아 모시는 양형 영성체는 가장 완전한 영성체 형태입니다. 왜냐하면 양형 영성체로써 성찬의 표징이 더욱 완전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미사 총지침 281항 참조).

 

성혈을 성작에서 직접 마시는 경우에는 보통 부제가 성작을 들며, 부제가 없으면 사제 자신이나 정식으로 직무를 받은 시종 또는 영성체의 다른 비정규 봉사자가 성작을 듭니다. 필요한 경우 이 임무를 그때에만 신자에게 맡길 수 있습니다. 영성체할 사람이 그리스도의 몸을 모신 다음에 성작 봉사자에게 가서 그 앞에 서면, “그리스도의 피하고 말하고 영성체하는 사람은 아멘하고 응답합니다.이어 봉사자가 성작을 건네주면 영성체하는 사람은 두 손으로 성작을 잡아 입에 대고 조금 마십니다. 그 다음 성작을 봉사자에게 돌려주고 물러나면 봉사자는 성작 수건으로 입을 댄 곳을 닦습니다(미사 총지침 286항 참조). 과거에 필자도 남은 성혈을 모두 모신 경험이 있는데, 만일 성혈이 남으면 사제나 부제, 또는 정식으로 직무를 받아 성작을 든 시종이 제대에서 모셔야 합니다




 

성체를 성혈에 적셔서 모실 경우에는 사제가 성합을 들고, 그 옆에 봉사자가 성작을 들고 섭니다. 사제는 성체를 집어 한 부분을 성혈에 적신 다음 그것을 보이면서 그리스도의 몸과 피라고 말하면, 영성체하는 사람은 아멘하고 응답하고 입으로 모신 다음 뒤로 물러 납니다.(미사 총지침 287항 참조) 어떤 경우든지 사제만이 스스로 성체를 모실 수 있고, 평신도 스스로 성체를 모시거나 다른 이에게 건네 주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