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516호 2018.11.25 
글쓴이 조성문 신부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조성문 마르티노 신부 / 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오늘 복음에 해당하는 수난기에서 예수님께서 빌라도 앞에서 사형선고를 받는 장면이 극적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복음은 예수님께서 참된 왕이심을 드러내기 위해, 빌라도와 예수님을 대조시킵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공생활 동안 당신 스스로를 왕이라 칭하지 않으셨습니다. 이제 주님의 공생활의 막바지에 이르러, 다른 사람의 입을 빌어 주님을 왕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요한 18,37) 식민지배를 받던 이스라엘을 통치하는 통치자의 입을 통해 예수님께서는 왕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입니다.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 예수님께서는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진리’에 관해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그분의 다스리심이 하느님의 구원 계획에 대한 당신의 충실함을 드러내는 것 이상이 아님을 알려줍니다. 그렇기에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아버지의 뜻에 대한 “성실한 증인”인 것입니다. 이같은 아버지께 대한 충실함으로써 그분께서는 우리가 제 능력으로는 스스로 진리에 도달할 수 없는 모자란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사랑하시어 당신 피로 우리를 죄에서 풀어 주셨습니다.

   빌라도와 대조되는, 빌라도의 입을 통해 표현되는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참된 평화, 사랑의 왕이십니다. 세속의 절대 권력으로 심문하는 빌라도와 체포된 상태로 심문을 당하셔야 하는 예수님의 왕권은 대조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이 두 왕권의 결정적 차이는 ‘진리’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왕권은 빌라도의 모습처럼 무력과 권력이 아닌 바로 ‘진리’를 통해서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빌라도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진리를 증언하려고 태어났으며, 진리를 증언하려고 세상에 왔다. 진리에 속한 사람은 누구나 내 목소리를 듣는다.”(요한 18,37) 우리들도 그분의 목소리를 알아 들음으로써,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진리에 속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주님의 목소리를 알아 들을 때, 우리는 참으로 섬김을 받으러 오지 않으시고 섬기러 세상에 오신 그분의 제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할 때 우리 또한 주님의 제자로서 진리를 증언하게 될 것입니다.
 

호수 제목 글쓴이
2557호 2019.08.25  구원과 그리스도인의 삶(루카 13,22-30) file 조옥진 신부 
2294호 2014.10.05  두 개 혹은 세 개의 세상 조영만 신부 
2506호 2018.09.16  우리들의 자리 file 조영만 신부 
2673호 2021.10.17  욕망과 자유 file 조영만 신부 
2061호 2010.08.08  코페르니쿠스의 대전환 조성제 신부 
2211호 2013.04.14  살아있네 조성제 신부 
2416호 2017.01.08  마구간을 선택하신 하느님의 아들 조성제 신부 
2579호 2020.01.12  “이룸”(성취)말고 “만남”(자비)이 전부인 삶 file 조성제 신부 
2760호 2023. 6. 4  삼위일체 신비는 실천교리입니다. file 조성제 신부 
2746호 2023. 3. 5  진정으로 사랑하면 보여주게 되는 것 file 조성윤 신부 
2304호 2014.12.14  주님을 증거하는 이 조성문 신부 
2516호 2018.11.25  “내가 임금이라고 네가 말하고 있다.” file 조성문 신부 
1966호 2008.11.23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는 사람 조동성 신부 
2083호 2010.12.26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조동성 신부 
2233호 2013.09.08  신앙의 열정 조동성 신부 
2435호 2017.05.21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삶 file 조동성 신부 
2598호 2020.05.24  승천은 우리의 희망 file 조동성 신부 
2780호 2023. 10. 22  우리의 사명 file 조동성 신부 
2245호 2013.11.24  사랑하는 아버지의 선물 정호 신부 
2388호 2016.06.26  “예루살렘으로 가시려고 마음을 굳히셨다.”(루카 9, 51) 정호 신부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