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6일은 성녀 말가리다, 젤뚜르다, 축일입니다.
우리 양정성당에는 인자하신모후pr의 강혜경(말가리다), 자모회 이경하(젤뚜르다), 천상은총의어머니pr의 허화선(말가리다), 황정숙(말가리다)님이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헝가리의 레스카(Reska)에서 앵글로 색슨 왕조 최후의 왕 에드워드 애틀링(Edward Atheling)과 헝가리의 왕비 아가타 사이에서 태어난 성녀 마르가리타(Margarita)는 헝가리의 성왕 스테파누스(Stephanus, 8월 16일)의 조카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성 스테파누스 왕의 궁중에서 보냈으며, 부왕이 세상을 떠난 후 헤이스팅스(Hastings) 전투에서 패하자 가족과 함께 헝가리로 피난을 가려고 했지만 배가 표류하여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 그녀는 여기서 스코틀랜드의 왕 말콤 3세(Malcolm III)와 결혼하였다. 왕비가 된 성녀 마르가리타는 여섯 명의 왕자와 두 명의 공주를 낳고 직접 훌륭하게 교육하였는데, 스코틀랜드의 성 다윗 1세(David I, 5월 24일)가 바로 그녀의 아들이다.
그녀의 성덕은 더욱 널리 알려졌다. 특히 기도와 고행과 단식에서 철저하였고, 가난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에 대한 애정은 놀라웠다. 뿐만 아니라 그 당시에 만연하던 성직남용과 성직매매를 금지하려는 시노드(Synod)를 적극 지원하였다. 또한 그녀는 남편과 함께 예술과 교육의 진흥을 위하여 적극 활동하였고, 던펌린(Dunfermline)에 성삼위 대수도원을 세우는 등 교회 안팎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성녀 마르가리타는 1093년 11월 16일 에든버러(Edinburgh)에서 선종하였고, 1249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4세(Innocentius IV)에 의해 시성되었으며, 교황 클레멘스 10세(Clemens X)에 의해 스코틀랜드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우리 양정성당에는 인자하신모후pr의 강혜경(말가리다), 자모회 이경하(젤뚜르다), 천상은총의어머니pr의 허화선(말가리다), 황정숙(말가리다)님이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헝가리의 레스카(Reska)에서 앵글로 색슨 왕조 최후의 왕 에드워드 애틀링(Edward Atheling)과 헝가리의 왕비 아가타 사이에서 태어난 성녀 마르가리타(Margarita)는 헝가리의 성왕 스테파누스(Stephanus, 8월 16일)의 조카이다. 그녀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성 스테파누스 왕의 궁중에서 보냈으며, 부왕이 세상을 떠난 후 헤이스팅스(Hastings) 전투에서 패하자 가족과 함께 헝가리로 피난을 가려고 했지만 배가 표류하여 스코틀랜드에 도착했다. 그녀는 여기서 스코틀랜드의 왕 말콤 3세(Malcolm III)와 결혼하였다. 왕비가 된 성녀 마르가리타는 여섯 명의 왕자와 두 명의 공주를 낳고 직접 훌륭하게 교육하였는데, 스코틀랜드의 성 다윗 1세(David I, 5월 24일)가 바로 그녀의 아들이다.
그녀의 성덕은 더욱 널리 알려졌다. 특히 기도와 고행과 단식에서 철저하였고, 가난하고 버림받은 사람들에 대한 애정은 놀라웠다. 뿐만 아니라 그 당시에 만연하던 성직남용과 성직매매를 금지하려는 시노드(Synod)를 적극 지원하였다. 또한 그녀는 남편과 함께 예술과 교육의 진흥을 위하여 적극 활동하였고, 던펌린(Dunfermline)에 성삼위 대수도원을 세우는 등 교회 안팎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성녀 마르가리타는 1093년 11월 16일 에든버러(Edinburgh)에서 선종하였고, 1249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4세(Innocentius IV)에 의해 시성되었으며, 교황 클레멘스 10세(Clemens X)에 의해 스코틀랜드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