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가톨릭부산 2015.10.20 20:01 조회 수 : 16

호수 2342호 2015.08.23 
글쓴이 우리농 본부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태생적으로 제거해 마땅한 악한 피조물이 있을까요? 한 과학잡지에 모기와 관련한 글이 실렸습니다. 모기가 없는 세상엔 어떤 일이 벌어질 것이냐는 논쟁입니다. 인간에게 병을 옮기고, 급기야는 생명마저 앗아갈 수 있는 모기가 박멸되면 인간에게 더 안전한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는 한쪽 주장과 또 한편에서는 모기는 벌 다음으로 많이 꽃의 수분을 위해 꽃가루를 나르는가 하면, 모기의 유충은 물고기, 곤충, 거미, 도롱뇽, 도마뱀, 개구리 등의 먹이가 되어주고, 또 그 모기 유충은 썩은 나뭇잎이나 유기물 찌꺼기, 미생물을 먹어치워 수중생태계를 깨끗이 해주는 역할도 한다고 하며 전 세계에 골고루 분포된 모기가 없어지면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가 올 수도 있다고 반박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모기를 박멸해야 한다는 주장들 중 대단히 위험한 주장을 하는 과학자도 있었습니다. 모기가 수분을 하는 식물 중 인간에게 필요한 작물은 없다는 것입니다. 곧 인간의 양식이 되지 않는 꽃은 피든 말든, 열매를 맺든 말든 중요하지 않다는 말입니다. 지독한 인간 중심적인 환경주의는 오늘날의 심각한 환경 파괴의 주범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더더구나 모기를 박멸하겠다면 그 방법은 무엇일까요? 결국 화학약품을 무차별적으로 살포하여 모기의 멸종을 도모하겠다는 것이겠죠. 과연 그런 방법이 모기만의 멸종을 불러올까요? 전 세계인이 즐겨 먹는 토마토는 원래 남미 사람들의 주식인 옥수수밭에 자라던 잡초의 일종이었다고 합니다. 지금과는 달리 완두콩 크기의 토마토는 만약 그 당시 사람들이 쓸데없는 것이라 제거했다면 오늘날 우린 토마토라는 자연이 주는 선물을 맛볼 즐거움을 잃고 말았을 겁니다. 자연은 이처럼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넓고 풍요로우며 더 복잡하고 신비로운 것으로 인간의 짧은 생각으로 어찌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204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203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0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20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200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199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9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197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196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94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9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9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19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190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189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18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187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8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