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가톨릭부산 2015.10.20 19:51 조회 수 : 23

호수 2320호 2015.03.22 
글쓴이 우리농 본부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몇 가지 통계를 보겠습니다. 적당한 시차를 두고 1990년과 2013년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먼저 이 두 시간대 사이에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43%에서 23.1%로 반 토막이 났습니다. 농업인구는 666만 명에서 285만 명으로 확 줄었습니다. 도시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은 97.2%에서 62.5%로 농민의 주머니가 훨씬 홀쭉해져 버렸습니다. 여기에다 대도시보다 농가인구의 절대빈곤률은 두 배가 넘습니다. 다시 말하면 도시민과 비교하여 농민이 상대적으로 박탈감이 큰 게 아니라 절대적인 경제적 고통을 상시로 받고 있는 절박한 실정이라는 것입니다. 혹은 달리 말하면 우리의 농촌이 사람 살만한 곳이 못 되는 막장의 공간으로 기울어져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쯤 되면 과연 우리 가운데 가장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를 누구라고 불러야 할지 명백하지 않을까요? 그런 와중에 우리농촌살리기운동부산본부는 본당의 수많은 활동가, 본부와 직매장의 실무자가 한마음 한몸으로 똘똘 뭉쳐 농촌을 사람 살만한 곳으로 만들고,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참여하여 우리의 생명을 보장해주는 농민의 노고를 덜어주기 위해 미약하나마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끔 우리농 매장은 가난한 사람들은 꿈도 꾸지 못하는 부유한 사람들, 그들만의 전용공간으로 오해를 받고 욕을 먹기도 합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농약을 치는 많은 농민이 농약 중독으로 죽기도 하고, 오랜 시간 농약을 살포하다 수많은 질병을 앓게 되어 병원 신세를 지고 있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런데 또한 그렇게 농약을 치고, 화학비료를 뿌려도 살림살이는 더 악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거기다 그것을 거부하고 유기농 농사를 짓는 가톨릭농민들은 그보다 더 큰 고통을 받고도 꿋꿋이 버티고 계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이제 우리가 내밀어야 할 손이 가톨릭농민에게 가 닿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1965호 2008.11.16  약 먹을 때 돼지고기 못 먹는 이유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55
224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1
223 1992호 2009.05.10  벌새 크리킨디 이야기 생명환경사목  269
222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221 2194호 2012.12.30  오늘부터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우리농 본부  242
220 2022호 2009.11.19  장난감 살 때는 KPS 마크를 확인하세요 생명환경사목  219
219 2449호 2017.08.27  어디에나 모세의 떨기나무가! 우리농 본부  214
21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4
217 1977호 2009.01.25  와리바시, 소독저, 나무젓가락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97
216 2401호 2016.09.25  호배추와 GMO 우리농 본부  194
215 2138호 2011.12.18  밥이 곧 내 몸이라 우리농본부  192
214 2290호 2014.09.07  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우리농 본부  164
213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212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211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57
210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209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208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207 2018호 2009.10.22  만땅, 혹은 가득 채워주세요 생명환경사목  144
206 2182호 2012.10.07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우리농 본부  14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