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가톨릭부산 2015.10.20 19:51 조회 수 : 23

호수 2320호 2015.03.22 
글쓴이 우리농 본부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몇 가지 통계를 보겠습니다. 적당한 시차를 두고 1990년과 2013년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먼저 이 두 시간대 사이에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은 43%에서 23.1%로 반 토막이 났습니다. 농업인구는 666만 명에서 285만 명으로 확 줄었습니다. 도시가구소득 대비 농가소득은 97.2%에서 62.5%로 농민의 주머니가 훨씬 홀쭉해져 버렸습니다. 여기에다 대도시보다 농가인구의 절대빈곤률은 두 배가 넘습니다. 다시 말하면 도시민과 비교하여 농민이 상대적으로 박탈감이 큰 게 아니라 절대적인 경제적 고통을 상시로 받고 있는 절박한 실정이라는 것입니다. 혹은 달리 말하면 우리의 농촌이 사람 살만한 곳이 못 되는 막장의 공간으로 기울어져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쯤 되면 과연 우리 가운데 가장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를 누구라고 불러야 할지 명백하지 않을까요? 그런 와중에 우리농촌살리기운동부산본부는 본당의 수많은 활동가, 본부와 직매장의 실무자가 한마음 한몸으로 똘똘 뭉쳐 농촌을 사람 살만한 곳으로 만들고,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참여하여 우리의 생명을 보장해주는 농민의 노고를 덜어주기 위해 미약하나마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끔 우리농 매장은 가난한 사람들은 꿈도 꾸지 못하는 부유한 사람들, 그들만의 전용공간으로 오해를 받고 욕을 먹기도 합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농약을 치는 많은 농민이 농약 중독으로 죽기도 하고, 오랜 시간 농약을 살포하다 수많은 질병을 앓게 되어 병원 신세를 지고 있다는 사실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런데 또한 그렇게 농약을 치고, 화학비료를 뿌려도 살림살이는 더 악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거기다 그것을 거부하고 유기농 농사를 짓는 가톨릭농민들은 그보다 더 큰 고통을 받고도 꿋꿋이 버티고 계시다는 점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이제 우리가 내밀어야 할 손이 가톨릭농민에게 가 닿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85 2046호 2010.04.25  맑은 실개천을 다시 볼 수 있을까? 생명환경사목  49
184 2048호 2010.05.09  할미꽃과 아카시아 생명환경사목  27
183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6
182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56
181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180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179 2058호 2010.07.18  생명의 밥상과 농민주일 생명환경사목  63
178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177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176 2064호 2010.08.29  일회용 기저귀, 천 기저귀 생명환경사목  66
175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174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173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172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171 2075호 2010.11.07  도토리와 다람쥐 생명환경사목  45
170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169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168 2081호 2010.12.19  전기 흡혈귀 생명환경사목  20
167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166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