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가톨릭부산 2015.10.20 19:47 조회 수 : 25

호수 2292호 2014.09.21 
글쓴이 우리농 본부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성경에는“그러므로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마태 7, 12) 라는 황금률이 있습니다. 이 황금률을 이해하는 방식은 각자가 처한 현실과 지금까지의 삶 속에서 다양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입니다. 19년째 언양 직동리 신화마을에서 농약도 화학비료도 거부하고 창조주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친환경 방식으로 고집스럽고 바보처럼 쌀농사를 짓는 가톨릭농민회 소속 13농가의 어르신들은 참으로 오묘한 방식으로 이 황금률을 삶 속에서 체험하셨습니다. 처음 안동에서 유기농법을 배울 때, 분명 창조주 하느님께 대한 믿음으로 신념을 지켜오다가 심한 병충해 앞에서 농약을 한 번 친 것을 뉘우치고 고해성사를 보았다고 고백하는 한 농민의 이야기를 듣고 큰 충격을 받게 되었습니다. 농약의 피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지만 남들도 다 그러하니, 굳이 그분을 욕할 사람이 없을 것이 분명한데도 단 한 번의 농약 살포행위에 대해서조차도 진심 어린 고해성사로 자신의 죄를 뉘우치는 그 농부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요? 아무리 일반적인 상식이고 관행이라고 하더라도, 하느님이 허락하신 양심에 비추어 남에게 피해를 주게 된 것에 대해 가슴 깊이 부끄러워하며 죄를 뉘우치고 다시는 반복하지 않겠다고 결단하는 것은 어쩌면 이 시대의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황금률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랑의 황금률은 관계 속에서 빛나게 됩니다. 농민이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는 이유가 소비자에게 농약으로부터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신앙고백에서 비롯된 것처럼, 소비자가 유기농 농산물을 선택하는 것 또한 농약 살포로 본의 아니게 농약병에 걸려 신음하게 될 위험이 있는 농민의 영육간의 건강을 지켜주기 위한 거룩한 행위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처럼 우리농은 농민과 소비자가 주거니 받는 아름다운 사랑의 대화를 지향하는 운동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164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163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162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61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160 2100호 2011.04.10  친환경 재생용지 생명환경사목  251
159 2102호 2011.04.24  부활의 기도 생명환경사목  23
158 2104호 2011.05.08  방사능을 예방하는 게 가능할까? 생명환경사목  26
157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56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5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54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53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152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151 2118호 2011.08.14  냉장고 속 의약품 생명환경사목  23
150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49 2123호 2011.09.11  도자기! 알고 씁시다. 생명환경사목  76
148 2126호 2011.09.25  위험한 헤나 생명환경사목  99
147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146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