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가톨릭부산 2015.10.20 19:46 조회 수 : 164

호수 2290호 2014.09.07 
글쓴이 우리농 본부 

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관행농’이란 친환경농사와는 달리 화학비료나 농약, 그리고 농기계에 의존한 농사를 말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발표에서 2012년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비율이 7.3%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절대다수의 농민은 관행농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농민들이 관행농의 틀에 묶이게 된 이유는 도시 소비자의 책임도 크다고 하겠습니다. 속은 어떨지 몰라도 겉만 좋아 보이는 것을 찾는 우리의 짧은 생각이 농약과 화학비료에 기반을 둔 관행농을 짓도록 농민을 몰아세우는 것입니다. 올해 초 언론에서는 중국산 과일 성장촉진제인 지베레린 밀수사건이 대대적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예년보다 보름이나 빠른 추석상에 맞추어 자연적으로는 불가능한, 크고 때깔이 좋은 과일을 억지로라도 만들려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불법유통을 기획했던 것입니다. 과수농가는 채소 농가와 달리 1년에 단 한 번 수확하기에 병충해를 단 한 번만 못 막아도 한해 농사를 망치게 됩니다. 더구나 아무리 추석이 빨라져도 이즈음에 과일을 팔지 못하면 큰 손해를 보기에 어쩔 수 없이 성장촉진제를 씁니다. 당도가 떨어지고, 맛이 없으며 살이 물러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도, 일단 크고 색깔도 예쁘게 나오게 하는 약품과 질산 비료를 씁니다. 일반적으로 한 달이나 성장 속도를 빨리 조절할 수 있는 성장촉진제의 유혹은 농민만이 아니라, 어쨌든 차례상에 알이 굵고 색깔이 좋은 과일을 올리려는 우리의 형식주의에 기대어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햇곡식을 수확하기 직전에 맞는 추석은 화려한 차례상이 아니라 넉넉한 사랑으로 마음이 먼저 풍성한 명절입니다. 모가 나고, 크기가 작고 색깔은 화려하지 않지만 정직하게 생산된 친환경 과일은 진실하게 추석을 풍요롭게 합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65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164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163 2307호 2014.12.28  가장 오래된 직업 = 농부 우리농 본부  91
162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161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160 2298호 2014.11.02  ‘퓨전’과 ‘궁합’의 미묘한 차이 우리농 본부  20
159 2296호 2014.10.19  우리농과 가톨릭 유아생태교육 우리농 본부  107
158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157 2292호 2014.09.21  생태적인 사랑의 계명 우리농 본부  25
» 2290호 2014.09.07  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우리농 본부  164
155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54 2285호 2014.08.10  텃밭의 여유 우리농 본부  49
153 2283호 2014.07.27  유기농 커피가 없는 우리농매장 우리농 본부  50
152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51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50 2277호 2014.06.15  지속가능한 세상을 향한 첫걸음 우리농 본부  20
149 2275호 2014.06.01  시대의 징표? 계절의 징표? 우리농 본부  26
148 2273호 2014.05.18  음식, 사 먹는 것과 해 먹는 것 우리농 본부  21
147 2271호 2014.05.04  “지구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는 교육” 우리농 본부  28
146 2269호 2014.04.20  가족농, 농촌의 미래 우리농 본부  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