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생존 전략

가톨릭부산 2015.10.20 19:43 조회 수 : 17

호수 2279호 2014.06.29 
글쓴이 우리농 본부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지난 2008년 6월 15일, 언론은 이탈리아 정부가 나폴리에 최대 2,500여 명의 병력을 투입할 계획을 세웠다는 보도를 전하였습니다. 그것은 3대 미항 중 하나라는 나폴리의‘쓰레기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극약 처방의 일환이었습니다. 수십만 톤의 나폴리 쓰레기가 길거리에 방치되고, 급기야는 악취가 풍기는 쓰레기에 대한 방화가 성행하며 끊임없이 소방차가 출동하는 사태가 벌어졌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나폴리 부근 소도시는 나폴리의 쓰레기를 반입하지 않겠다고 저항하며 쓰레기 소각장과 매립장 반대시위를 하며 큰 충돌이 발생하였던 것입니다. 수개월, 아니 구조적으로는 몇 년을 끌어온 이 문제의 발단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극도의 과소비에 찌든 도시 문명과 그것을 떠안아야 할 농촌의 반발이었습니다.

이처럼 쓰레기 문제 하나만을 보더라도 도시는 농촌의 도움 없이는 단 1주일도 버틸 수 없는 대단히 취약한 기반 위에 선,휘청거리는 시스템입니다. 더군다나 쓰레기 외에 물, 먹거리, 전기 등 생존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것에서까지도 도시는 절대적으로 농촌에 의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부산시의 경우 양곡 중 쌀소비량의 82.7%를 타지에서 반입하는 실정임을 두고 보더라도 도시의 생존은 직접적으로 건강한 농촌을 필요로 합니다. 그러기에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하는 것은 교회가 우리농촌살리기운동을 하는 이유가 더욱 깨끗한 환경 속에서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한 것이 첫 번째 목적이 아니라, 그저 먹고 살아가는 기초적인 생존을 위한 자구책이라는 점, 농촌 없는 도시는 멸망할 시스템이라는 점을 깨닫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애쓰기 위한 것이라는 점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34
204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203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31
202 2198호 2013.01.13  건강 보조 식품을 드십니까 우리농 본부  131
201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200 2397호 2016.08.28  김영란법과 농민 우리농 본부  130
199 2079호 2010.12.05  형광등과 형광증백제 생명환경사목  129
198 2087호 2011.01.16  감기와 항생제 생명환경사목  123
197 2056호 2010.07.04  피라미드의 신비, 양파의 신비 생명환경사목  123
196 2259호 2014.02.09  유기농이 아닌 우리농! 우리농 본부  121
195 2002호 2009.07.19  농민주일과 윤봉길 의사의 '농민 독본' 생명환경사목  115
194 2071호 2010.10.10  편리한 건전지, 무서운 건전지 생명환경사목  114
193 2112호 2011.07.03  통밀과 백밀 생명환경사목  113
192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191 2263호 2014.03.09  우리농은 “우리 교회 각 사제관의 부엌에서부터” 우리농 본부  109
190 2106호 2011.05.22  곰국을 끓이면 생명환경사목  108
189 2355호 2015.11.22  작은 것에서 출발하기 우리농 본부  107
188 2296호 2014.10.19  우리농과 가톨릭 유아생태교육 우리농 본부  107
187 2128호 2011.10.09  위험한 피어싱 우리농본부  106
186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