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 유감

가톨릭부산 2015.10.20 19:39 조회 수 : 20

호수 2265호 2014.03.23 
글쓴이 우리농 본부 

음식물 쓰레기 유감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현대의 도시 문명이 만들어 낸 신조어 중 고약한 단어가 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음식물 쓰레기’라는 단어입니다. 사람이나 가축, 혹은 식물에 영양분을 제공하는‘음식물’이 그저 폐기되어 우리가 거주하는 공간에서 영구적으로 추방해야만 할 ‘쓰레기’와 연달아 쓰이는 기막힌 사정은 우리가 발 딛고 서 있는 그 기반을 흔들어 놓는 심각한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하느님이 창조하신 피조물은 모두 탄생과 성장, 그리고 죽음의 과정을 거쳐 가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자연이라는 시스템 속에서 그것은 죽음을 넘어서 다른 피조물의 영양분이 되어 순환하면서 생명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도와줍니다. 과거 우리 민족에게는 음식물 쓰레기라는 것이 없었습니다. 사람이 먹고 남은 것은 가축이나 식물을 위한 유용한 사료가 되었습니다. 아침녘 소죽을 끓이고, 개밥을 마련하는가 하면, 밭의 한구석에 땅을 파서 묻고는 거름을 만들고 나면, 도대체 쓰레기로 취급하며 버려야 할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분명 음식물 쓰레기는 동물이나 식물의 사료로 쓰이기 위해서 따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동물성 성분이나 염분 등의 문제로 모든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 그중 일부의 부산물이 사료나 퇴비로 재사용되고, 나머지는 결국엔 버려지는 것입니다. 이처럼 유감스럽기 짝이 없이 쓰레기 취급을 당하는 음식물을 없애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남기지 않는 요리 및 식습관, 텃밭 가꾸기 등 도시농업 참여 등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음식물에 쓰레기라는 말을 덧붙이고도 아무렇지 않은 우리의 사고를 걷어내기 위해서라도 농업과 먹거리에 대한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2296호 2014.10.19  우리농과 가톨릭 유아생태교육 우리농 본부  107
144 2298호 2014.11.02  ‘퓨전’과 ‘궁합’의 미묘한 차이 우리농 본부  20
143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142 2302호 2014.11.30  숨어 계신 하느님, 숨어 있는 우리쌀 우리농 본부  30
141 2307호 2014.12.28  가장 오래된 직업 = 농부 우리농 본부  91
140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139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138 2320호 2015.03.22  이 시대의 가난한 이, 농민 우리농 본부  23
137 2321호 2015.03.29  새벽형 인간 우리농 본부  19
136 2325호 2015.04.26  농사의 農 (농) 우리농 본부  21
135 2334호 2015.06.28  우리를 위한 선택 우리농 본부  25
134 2338호 2015.07.26  때론 잘 먹으려고 살아야 할 우리 우리농 본부  34
133 2343호 2015.08.30  생명의 선교사 우리농 본부  29
132 2329호 2015.05.24  새로운 시대의 정결례 우리농 본부  30
131 2330호 2015.05.31  농업의 예외성 우리농 본부  47
130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29 2347호 2015.09.27  동상이몽(同床異夢) 우리농 본부  19
128 2355호 2015.11.22  작은 것에서 출발하기 우리농 본부  107
127 2356호 2015.11.29  ‘농업(農業)’유감 우리농 본부  24
126 2361호 2015.12.27  도시를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농촌 우리농 본부  54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