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42호 2013.11.03 
글쓴이 우리농 본부 

단 하나밖에 없는 가장 소중한 우리 집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많은 사람들은 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생각합니다. 참 훌륭한 생각입니다. 그러나 지금 이 시대는 쓰레기를 어떻게 하면 줄일 것인가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집은 단 하나밖에 없는 ‘지구’입니다. 지구는 아파트처럼 여러 채를 한꺼번에 짓고 허물 수 있는 소모품이 아니니까요.

집, 학교, 일터, 마을, 성당들을 둘러보시기 바랍니다. 하루하루 얼마나 많은 쓰레기가 쏟아져 나오는지요. 갖가지 쓰레기들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사람으로 태어난 게 참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리가 사는 그리고 자라나는 아이들이 살아가야 할 이 소중한 집(지구)을 환경운동가와 환경전문가들만이 보살피고 지켜야 할까요? 하늘에는 산성비가 내리고 오존층에 구멍이 나고, 지구온난화로 세상 여기저기에서 온갖 무서운 일이 일어나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자, 지금부터 아이고 어른이고 남녀노소 가리지 말고 환경운동가가 되고 환경전문가가 되어야만 합니다. 사람과 자연은 둘이 아니라 하나이니까요. 보기를 들면 전기를 아껴 쓰면 발전소를 줄일 수 있고, 발전소를 줄이면 매연을 줄일 수 있고, 매연을 줄이면 공기와 물이 깨끗해지고, 공기와 물이 깨끗해지면 야생동물들이 살기 좋고, 야생동물들이 살기 좋으면 나무가 잘 자라고, 나무가 잘 자라면 우리 모두의 집인 지구를 살릴 수 있습니다. 이제는 시장바구니를 들고 다닐 것이 아니라, 시장바구니조차 없어도 되는 세상을 함께 꿈꾸어야 할 때입니다. 소중한 우리 집인 지구를 쓰레기장으로 만들어서는 안 되니까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2329호 2015.05.24  새로운 시대의 정결례 우리농 본부  30
144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143 2004호 2009.08.02  하느님, 모기는 왜 만드셨나요? 생명환경사목  31
142 2040호 2010.03.14  사순, 초록 회개와 서약 - 물과 먹을거리 생명환경사목  31
141 2140호 2012.01.01  식량과 무기 그리고 도시 농부 우리농본부  31
140 2176호 2012.08.26  오늘은 채식 식당에 가볼까요? 우리농 본부  31
139 2236호 2013.09.22  정성이 가득한 잔치 우리농 본부  31
138 2254호 2014.01.12  일회용품 사용과 형제의 설거지 우리농 본부  32
137 2007호 2009.08.16  천렵과 낚시 생명환경사목  33
136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135 2173호 2012.08.12  큰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우리농 본부  33
134 2418호 2017.01.22  생명을 위한 안식 우리농 본부  33
133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132 2338호 2015.07.26  때론 잘 먹으려고 살아야 할 우리 우리농 본부  34
131 2009호 2009.08.27  에너지를 절약하는 자동차 정비 생명환경사목  35
130 2132호 2011.11.06  소리없는 살인자, 석면 2 우리농본부  35
129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128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127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126 2186호 2012.11.04  이 많은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우리농 본부  37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