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40호 2013.10.20 
글쓴이 우리농 본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십자가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사람은 누구나 자연을 지키고 보살펴야 할 책임을 안고 태어났습니다. 비록 신을 믿지 않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자연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으며, 사람이 보듬어줄 수 없는 숱한 상처를 자연 속에서 치유하며 살아가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지구를 살리는 일은 모든 나라의 종교와 정당, 다양한 문화와 직업, 인종과 남녀노소를 무릅쓰고 가장 높은 가치를 두고 해야 합니다.

고즈넉한 가을 저녁에 홀로 숲길을 걸으며 숲에서 들려오는 새소리, 벌레 소리, 바람 소리를 들어보셨는지요? 길가에 핀 들꽃들의 냄새를 맡아보셨는지요? 바닷가에 서서 철썩철썩 부딪히는 파도 소리를 들어보셨는지요. 노란 은행잎이 뚝뚝 떨어지는 공원을 걸어보셨는지요? 자연이 없으면 바쁘고 고된 삶을 어디에 기대어 잠시라도 쉴 수 있을까요? 이렇게 자연은 사람과 떼어놓을 수 없습니다. 자연이 곧 우리 몸이요 혼인 것입니다.

이렇게 잠시라도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자연을 종교인들이 앞장서서 지키고 보살펴야 합니다. 종교인들은 물질에 대한 탐욕이 에너지 소비로 이어져 우리 삶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제대로 말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몇 년째 온갖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밀양 송전탑 문제입니다. 결코 남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오늘 우리에게 주어진 십자가입니다. 양심을 가진 종교인이라면 누구나 함께 그 아픔을 나누고 함께 길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큰 전구를 작은 전구로 바꾸는 일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일지 모르나, 이것 또한 종교나 자연에 대한 깨달음이 없고서야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선택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5 2094호 2011.02.27  구제역과 ‘우리 소 키우기 운동’ 생명환경사목  131
24 2198호 2013.01.13  건강 보조 식품을 드십니까 우리농 본부  131
23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31
22 2077호 2010.11.21  햄과 소씨지 생명환경사목  133
21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34
20 2182호 2012.10.07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우리농 본부  143
19 2018호 2009.10.22  만땅, 혹은 가득 채워주세요 생명환경사목  144
18 2110호 2011.06.19  보리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생명환경사목  146
17 2062호 2010.08.15  무쇠로 만든 프라이팬 생명환경사목  150
16 2108호 2011.06.05  토마토가 빨갛게 익으면 생명환경사목  157
15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57
14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13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12 2290호 2014.09.07  추석, 덜 익은 과일의 잔치! 우리농 본부  164
11 2138호 2011.12.18  밥이 곧 내 몸이라 우리농본부  192
10 2401호 2016.09.25  호배추와 GMO 우리농 본부  194
9 1977호 2009.01.25  와리바시, 소독저, 나무젓가락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97
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4
7 2449호 2017.08.27  어디에나 모세의 떨기나무가! 우리농 본부  214
6 2022호 2009.11.19  장난감 살 때는 KPS 마크를 확인하세요 생명환경사목  2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