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226호 2013.07.28 
글쓴이 우리농 본부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여름휴가철이 다가왔습니다. 단 며칠이라도 삭막한 도시 콘크리트 숲을 벗어나, 하느님이 손수 만드신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는 때입니다. 우리에게 자연은 휴가철에나 잠시 다녀가는 하찮은 곳이 아닙니다. 자연은 늘 우리와 함께 더불어 살아가고 있으며, 자연이 없으면 어떠한 생명도 살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올여름 휴가는 자연을 내 몸이라 여기고 섬기는 마음으로 친환경 휴가 계획을 세워봅시다. 아무리 작은 일이라도 가족들이 둘러앉아 함께 토론하고 결정하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집안에 웃음꽃이 저절로 필 것입니다. 더구나 민주 시민으로 성숙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가 바로 ‘가족회의’입니다.

먼 곳보다는 가까운 곳으로, 승용차보다는 대중교통으로, 간식은 가능한 가공품보다 감자와 옥수수로, 쓰레기는 함부로 버리지 말고 되가져오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마음만 먹으면 지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휴가를 보낼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휴가는 골짝이나 바다에서 놀아야만 피로가 풀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사람과 자연을 섬기는 휴가는 없을까요?

농촌에 부모님이 계신다면, 아니면 잘 알고 지내는 분이 계신다면 그곳 가까운 숲이나 냇가에 텐트를 칠 수 있겠지요. 식구들이 모두 일찍 일어나 두세 시간이라도 논밭에 제멋대로 자란 풀을 매고 아침밥을 먹으면 얼마나 밥맛이 좋겠습니까? 사람은 노동을 통해서 참을성을 기르고, 배려하는 마음도 생기고, 부모와 이웃이 귀하다는 걸 저절로 깨닫게 될 테니까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05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104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90
103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102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8
101 2473호 2018.01.28  환경, 믿음의 영역 우리농 본부  64
100 2477호 2018.02.25  마지막 나무를 자른 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우리농 본부  65
99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98 2485호 2018.04.22  우리가 가진 열쇠 우리농 본부  61
97 2490호 2018.05.27  시장과 문명 우리농 본부  42
96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95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34
94 2507호 2018.09.23  청소 시간 우리농 본부  90
93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31
92 2494호 2018.06.24  겸손과 순명 우리농 본부  93
91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57
90 1963호 2008.11.02  먹으면 죽는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89
89 1964호 2008.11.09  만지면 위험한 비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46
88 1965호 2008.11.16  약 먹을 때 돼지고기 못 먹는 이유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55
87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86 1968호 2008.12.07  귤은 껍질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78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