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가톨릭부산 2015.10.20 17:43 조회 수 : 57

호수 2182호 2012.11.18 
글쓴이 우리농 본부 

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늦가을이라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누구나 하루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따뜻한 물에 샤워하고 싶습니다. 온몸에 쌓인 피로가 풀리면 마음도 편안해지니까요. 그러나 샤워를 할 때는 짧게 하는 버릇을 들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20분 남짓 샤워를 하면 욕조 한 통을 혼자서 다 쓰는 셈이 되기 때문입니다. 샤워 물을 아껴 쓰면 이산화탄소 방출을 예방할 수 있고, 지구 온실가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에너지 비용도 줄일 수 있으니 ‘도랑 치고 가재 잡는’ 것이지요. 그러니 샤워는 2∼3분 남짓 짧게 하는 버릇을 들여야 합니다. 더구나 어떤 가정에서는 빨래할 때도 따뜻한 물을 마구 쓰기도 합니다. 공장에서 기름때 잔뜩 묻은 작업복이 아닌, 보통 빨래는 찬물에 빨아도 때가 잘 빠집니다. 따뜻한 물은 꼭 필요할 때에만 써야 합니다.
그리고 샤워를 하거나 머리를 감고 나서, 몸을 닦고 머리를 말리다 보면 수건이 다 젖습니다. 젖은 수건은 손으로 물에 헹구어서 방에 걸어두면, 가습기 역할도 하여 숨쉬기가 훨씬 편하고 잠도 깊이 들어 피로가 싹 풀립니다. 그런데 아이고 어른이고 아무 생각도 없이 세탁기에 집어넣습니다. 세탁기에 들어간 수건은 아무 때도 없는데, 다른 빨래와 섞여 화학 세제 범벅이 되어 돌고 돌다가 밖으로 나옵니다. 우리가 생각도 없이 마구 쓰는 화학 세제, 기름, 전기, 가스 따위는 결국 사람과 자연을 병들게 합니다. 자라나는 아이들 앞에 덜 부끄럽게 사는 길은, 좋은 말이 아니라 작은 실천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2387호 2016.06.19  오래된 소명 우리농 본부  59
144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143 1984호 2009.03.12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생명환경사목  58
142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 2182호 2012.11.18  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우리농 본부  57
140 2444호 2017.07.23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우리농 본부  56
139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56
138 2361호 2015.12.27  도시를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농촌 우리농 본부  54
137 2157호 2012.04.22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농부 우리농 본부  54
136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135 2238호 2013.10.06  조금 불편하게 살 수 있는 용기만 있으면 우리농 본부  53
134 2242호 2013.11.03  단 하나밖에 없는 가장 소중한 우리 집 우리농 본부  52
133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32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131 2036호 2010.02.14  된장, 최고의 발효식품 생명환경사목  52
130 1970호 2008.12.21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2
129 2436호 2017.05.28  아무도, 아무것도 우리농 본부  51
128 2233호 2013.09.08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아름다운 가게 우리농 본부  51
127 2283호 2014.07.27  유기농 커피가 없는 우리농매장 우리농 본부  50
126 1978호 2009.02.01  질병을 일으키는 공기청정기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