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86호 2012.11.04 
글쓴이 우리농 본부 

이 많은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우리농 본부 051-464-8495 woori-pusan@hanmail.net

쓰레기란 못쓰게 되어 내버릴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먼지처럼 내다 버릴 것을 말하는 것이지요. ‘쓰레기’를 떠올리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십니까? 쓰레기통, 쓰레기봉투, 쓰레기 냄새, 쓰레기 수거차, 쓰레기 만두 따위가 떠오르십니까? 아니면 날마다 수세식 화장실에 버려져 강과 바다를 오염시키는 똥오줌, 부엌이나 세탁기에서 나온 화학 세제가 잔뜩 섞인 물, 뷔페와 여러 식당에서 먹다 남은 음식, 유행 따라 쉽게 버려지는 휴대전화와 스마트폰, 옷장 안에 한해 내내 입지 않고 걸린 옷, 몇 년 타지도 않고 바꾸는 승용차, 숱하게 쏟아지는 거짓부렁이로 가득 찬 책과 연속극과 영화, 아이들을 질서와 예의와 효와 도덕을 가르치지 못하고 ‘입시지옥’으로 몰아넣는 학교, 제 목숨을 살려주고 아이들의 미래를 살릴 농촌과 자연에 관심이 없는 정치인과 지식인들이 생각나십니까?
간디는 “무소유는 훔치지 않는 것이다. 필요하지도 않으면서 어떤 것을 계속 가지고 있다는 것은 훔친 물건이 아니라 하더라도 훔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필요하지도 않으면서 어떤 것(돈과 재산 따위)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도 쓰레기를 가진 것입니다.
어쨌든 사람이 많이 가지고 있으면 많이 쓰고 많이 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지구에는 쓰레기만 쌓여 갈 것입니다. 우리가 쓰는 모든 자원은 언젠가, 반드시, 쓰레기가 됩니다. 더 늦기 전에 쓰레기를 줄여야 합니다. 쓰레기가 지구 밖으로 나가는 일은 결코 없을 테니까요.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05 2244호 2013.11.17  ‘나 하나쯤이’ 아니라 ‘나 하나라도’ 우리농 본부  40
104 2379호 2016.04.24  선물인 세상 우리농 본부  39
103 2000호 2009.07.05  환경호르몬의 피해 예방법 생명환경사목  39
102 1998호 2009.06.21  환경호르몬의 공포 생명환경사목  38
101 2427호 2017.03.26  안식 없는 사회 우리농 본부  37
» 2186호 2012.11.04  이 많은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우리농 본부  37
99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98 2096호 2011.03.13  사순 시기와 언플러그 운동 생명환경사목  36
97 2316호 2015.02.22  94명을 위한 6명의 노고 우리농 본부  35
96 2132호 2011.11.06  소리없는 살인자, 석면 2 우리농본부  35
95 2009호 2009.08.27  에너지를 절약하는 자동차 정비 생명환경사목  35
94 2338호 2015.07.26  때론 잘 먹으려고 살아야 할 우리 우리농 본부  34
93 2069호 2010.09.26  중국산 불량 수입 식품은 누구 탓인가요? 생명환경사목  34
92 2418호 2017.01.22  생명을 위한 안식 우리농 본부  33
91 2173호 2012.08.12  큰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우리농 본부  33
90 2066호 2010.09.12  밀에는 있고 쌀에는 없는 것 생명환경사목  33
89 2007호 2009.08.16  천렵과 낚시 생명환경사목  33
88 2254호 2014.01.12  일회용품 사용과 형제의 설거지 우리농 본부  32
87 2236호 2013.09.22  정성이 가득한 잔치 우리농 본부  31
86 2176호 2012.08.26  오늘은 채식 식당에 가볼까요? 우리농 본부  31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