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 2180호 2012.09.23 |
---|---|
글쓴이 | 우리농 본부 |
유기농 공정무역 커피를
어떤 직장인은 커피를 하루에 두세 잔, 또는 대여섯 잔까지도 마신다고 합니다. 피곤해서 한 잔, 잠이 와서 한 잔, 누가 권해서 한 잔, 그러다 보니 커피 중독이 되다시피 한 사람도 많습니다. 도시에는 시내와 골목까지 온통 스마트폰 가게와 커피 가게가 난리법석이라니…….
커피, 무엇이 문제인가요? 그동안 지구 온난화의 원인인 기계화학적 농업 관행에 의해 커피 재배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래서 커피를 마시는 게, 커피 생산지 노동자와 그 자녀의 건강을 해치는 농약 살포를 후원해 온 셈이 되어버렸습니다. 더구나 기후 안정에 중요한 열대우림을 파괴해온 것이지요. 커피를 생산하려고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를 베는 바람에 숲에서 새들이 사라지고, 커피나무를 공격하는 해충과 진균이 늘어나 수확량이 줄어들자 숱한 독성 살충제를 뿌렸습니다.
커피, 당장 끊을 수 없다면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지금 바로 ‘유기농 공정무역 커피를 사면됩니다. 사는 것만으로도 농약에 찌든 땅이 되살아나고, 지하수가 깨끗해지고, 온갖 동식물이 조화를 이루며 살게 되고, 죽어가던 숲이 살아나고, 유기농업으로 커피를 생산하는 농부들의 삶을 보장해 줄 수 있습니다.
어쩌시렵니까? 한국에서 공정무역 커피로 잘 알려진 아름다운 가게 산하의 ‘아름다운 커피’를 사거나, 믿을 수 있는 가까운 생협이나 유기농 전문점으로 가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번호 | 호수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125 | 2222호 2013.06.30 |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 우리농 본부 | 19 |
124 | 2220호 2013.06.16 |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잔치 | 우리농 본부 | 98 |
123 | 2218호 2013.06.02 | 우리 모두 ‘도시락 싸기 운동’을 | 우리농 본부 | 48 |
122 | 2216호 2013.05.19 | 로컬푸드(Local Food)운동을…… | 우리농 본부 | 20 |
121 | 2214호 2013.05.05 | 내일이면 늦습니다 | 우리농 본부 | 10 |
120 | 2212호 2013.04.21 | 공정무역(fair trade, 公正貿易)을 아십니까 | 우리농 본부 | 65 |
119 | 2210호 2013.04.07 | 아주 작은 일부터 | 우리농 본부 | 23 |
118 | 2208호 2013.03.24 | 참 편리한 그러나 참 ‘불편한’ | 우리농 본부 | 7 |
117 | 2206호 2013.03.10 | 망설이지 마시고 | 우리농 본부 | 19 |
116 | 2204호 2013.02.24 | 봄이 오면 자연의 품으로 | 우리농 본부 | 20 |
115 | 2202호 2013.02.10 | 작은 실천으로 시작합시다. | 우리농 본부 | 75 |
114 | 2200호 2013.01.27 | 플라스틱 생수병 | 우리농 본부 | 91 |
113 | 2198호 2013.01.13 | 건강 보조 식품을 드십니까 | 우리농 본부 | 131 |
112 | 2194호 2012.12.30 | 오늘부터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 우리농 본부 | 242 |
111 | 2192호 2012.12.16 | 새해 선물은 ‘녹색 선물’로 | 우리농 본부 | 21 |
110 | 2190호 2012.12.02 | 친환경 사무실 만들기 | 우리농 본부 | 65 |
109 | 2186호 2012.11.04 | 이 많은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 우리농 본부 | 37 |
108 | 2184호 2012.10.21 | 소농, 지구의 마지막 희망 | 우리농 본부 | 24 |
107 | 2182호 2012.11.18 | 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 우리농 본부 | 57 |
106 | 2182호 2012.10.07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우리농 본부 | 1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