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67호 2012.07.01 
글쓴이 우리농 본부 

작은 실천이 모여 지구를 살립니다

대전교구 천안 신방동 본당(주임 : 윤병권 신부)은 성당 마당에 ‘인공 텃밭’을 만들어 신자 가정에 분양했더니, 예상 밖으로 큰 호응을 얻어 2차 분양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누구나 성당에 들르기 쉽도록 꾸며, 신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 ‘찾아가고 싶은 성당, 머무르고 싶은 성당’이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가운데 식량 자급률이 가장 낮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선진국일수록 식량 자급률이 높습니다. 미국 172%, 오스트레일리아 416%, 캐나다 147%, 영국 113%, 덴마크 136%, 이에 반면 한국은 고작 25%밖에 안 됩니다. 더구나 날이 갈수록 벼 면적마저 많이 줄어들고 있어, 주식인 쌀의 자급도 위협받고 있지요. 앞으로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경작지 감소 따위로 나라마다 식량이 모자랄 것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로 인한 농어업분야 재해가 급증해 2008년 한해 1,088억 원이던 재해 복구비가 2011년 8월 말 기준으로 2조 원에 육박하는 등 3년 사이에 무려 18배나 증가했다.”(2011. 9. 21. 한겨레)고 밝혔습니다. 이런 어려운 때에 본당 빈자리마다 텃밭 상자를 만든다면, 이상기후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그만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본당뿐만 아니라 집집이, 사무실마다, 여기저기 빈자리마다, 텃밭 상자를 만들어 작물을 가꾸어 함께 나누어 먹다 보면 서로 정이 새록새록 들 것입니다. 분명 하느님이 만드신 ‘창조질서’와 ‘생명의 신비’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2387호 2016.06.19  오래된 소명 우리농 본부  59
144 2060호 2010.08.01  시원한 감잎차와 야채효소 생명환경사목  59
143 1984호 2009.03.12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생명환경사목  58
142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141 2182호 2012.11.18  따뜻한 물 적게 쓰기 운동 우리농 본부  57
140 2444호 2017.07.23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우리농 본부  56
139 2052호 2010.06.06  참나무는 없다 생명환경사목  56
138 2361호 2015.12.27  도시를 위한 또 하나의 가능성, 농촌 우리농 본부  54
137 2157호 2012.04.22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농부 우리농 본부  54
136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135 2238호 2013.10.06  조금 불편하게 살 수 있는 용기만 있으면 우리농 본부  53
134 2242호 2013.11.03  단 하나밖에 없는 가장 소중한 우리 집 우리농 본부  52
133 2121호 2011.08.28  안약은 가정상비약이 아닙니다 생명환경사목  52
132 2054호 2010.06.20  나무를 심은 사람 생명환경사목  52
131 2036호 2010.02.14  된장, 최고의 발효식품 생명환경사목  52
130 1970호 2008.12.21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2
129 2436호 2017.05.28  아무도, 아무것도 우리농 본부  51
128 2233호 2013.09.08  사람과 자연을 살리는 아름다운 가게 우리농 본부  51
127 2283호 2014.07.27  유기농 커피가 없는 우리농매장 우리농 본부  50
126 1978호 2009.02.01  질병을 일으키는 공기청정기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0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