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67호 2012.07.01 
글쓴이 우리농 본부 

작은 실천이 모여 지구를 살립니다

대전교구 천안 신방동 본당(주임 : 윤병권 신부)은 성당 마당에 ‘인공 텃밭’을 만들어 신자 가정에 분양했더니, 예상 밖으로 큰 호응을 얻어 2차 분양까지 이어졌다고 합니다. 그리고 누구나 성당에 들르기 쉽도록 꾸며, 신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 ‘찾아가고 싶은 성당, 머무르고 싶은 성당’이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 가운데 식량 자급률이 가장 낮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선진국일수록 식량 자급률이 높습니다. 미국 172%, 오스트레일리아 416%, 캐나다 147%, 영국 113%, 덴마크 136%, 이에 반면 한국은 고작 25%밖에 안 됩니다. 더구나 날이 갈수록 벼 면적마저 많이 줄어들고 있어, 주식인 쌀의 자급도 위협받고 있지요. 앞으로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경작지 감소 따위로 나라마다 식량이 모자랄 것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로 인한 농어업분야 재해가 급증해 2008년 한해 1,088억 원이던 재해 복구비가 2011년 8월 말 기준으로 2조 원에 육박하는 등 3년 사이에 무려 18배나 증가했다.”(2011. 9. 21. 한겨레)고 밝혔습니다. 이런 어려운 때에 본당 빈자리마다 텃밭 상자를 만든다면, 이상기후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그만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본당뿐만 아니라 집집이, 사무실마다, 여기저기 빈자리마다, 텃밭 상자를 만들어 작물을 가꾸어 함께 나누어 먹다 보면 서로 정이 새록새록 들 것입니다. 분명 하느님이 만드신 ‘창조질서’와 ‘생명의 신비’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145 1965호 2008.11.16  약 먹을 때 돼지고기 못 먹는 이유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55
144 1966호 2008.11.23  껍질 옆에서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31
143 1968호 2008.12.07  귤은 껍질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78
142 1969호 2008.12.14  약은 약사에게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23
141 1970호 2008.12.21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2
140 1974호 2009.01.04  또다시,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2
139 1975호 2009.01.11  야채와 친해지는 법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20
138 1977호 2009.01.25  와리바시, 소독저, 나무젓가락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97
137 1978호 2009.02.01  질병을 일으키는 공기청정기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50
136 1980호 2009.02.15  잘 탄다, 번개탄! 속 탄다, 번개탄!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96
135 2351호 2015.10.25  생태적 빚 우리농 본부  74
134 2157호 2012.04.22  땅을 갈고 씨를 뿌리는 농부 우리농 본부  54
133 2159호 2012.05.06  오월, 지금은 모종을 심을 때 우리농 본부  96
13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131 2163호 2012.06.03  밥상을 받을 자격 우리농 본부  5
130 2165호 2012.06.17  살림살이에 보탬이 되는 길 우리농 본부  30
» 2167호 2012.07.01  작은 실천이 모여 지구를 살립니다 우리농 본부  20
128 2169호 2012.07.15  농민이 없는 농민 주일 우리농 본부  26
127 2171호 2012.07.29  우리가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농 본부  44
126 2173호 2012.08.12  큰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우리농 본부  33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