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을 받을 자격

가톨릭부산 2015.10.20 17:36 조회 수 : 5

호수 2163호 2012.06.03 
글쓴이 우리농 본부 

밥상을 받을 자격

생명이 깃든 밥상을 차리고 싶은 분들은
첫째, 누가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우리 식구들을 살려주는 음식인데, 누가 농사지었는지 알아야 고마운 마음으로 맛있게 먹지 않겠습니까.
둘째, 어떤 방법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농약을 쳤으면 왜 쳤는지 그리고 몇 번이나 쳤는지, 농약을 치지 않았으면 어떤 방법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서로 믿고 살아갈 수 있으니까요.
셋째, 어떤 마음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농사를 지었다고 해서 건강한 농산물이라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농부는 사람과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만일 오직 돈을 벌기 위해 농사짓는 농부라면, 그 돈 때문에 앞으로 어떤 짓을 할지 모릅니다. 짜증스런 얼굴로 밥상을 차리면 모든 음식에 독이 들어간다는 말이 있듯이, 평화롭고 기쁜 마음으로 농사를 지어야만 농산물도 약이 되는 것입니다. 오직 돈을 벌기 위해 농사를 짓는다면 얼마나 삶이 힘들고 고달프며, 그 가운데서 어찌 기쁜 마음이 일 수 있겠습니까.
넷째, 건강한 밥상을 차리고 싶은 사람은 식구들과 함께 밥상을 차릴 수 있도록 애써준 농부의 집에 자주 찾아가야 합니다. 찾아가서 함께 일을 하고 삶을 나누어야 합니다. 우리 식구들의 목숨을 지켜주는 농부를 한 식구라 생각하지 않고,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지 사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미 ‘사람의 마음’을 떠난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밥상을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2030호 2010.01.03  2010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2
224 2073호 2010.10.24  배추대란과 정부의 4대강 사업 생명환경사목  4
» 2163호 2012.06.03  밥상을 받을 자격 우리농 본부  5
222 2050호 2010.05.23  4대강 생명 평화 미사 강론 생명환경사목  6
221 2208호 2013.03.24  참 편리한 그러나 참 ‘불편한’ 우리농 본부  7
220 2155호 2012.04.08  부활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우리농본부  8
219 2240호 2013.10.20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십자가 우리농 본부  8
218 2269호 2014.04.20  가족농, 농촌의 미래 우리농 본부  8
217 2312호 2015.01.25  강 건너 불구경 우리농 본부  8
216 2116호 2011.07.31  더위가 찾아오네요 생명환경사목  9
215 2147호 2012.02.12  다시 우리밀 살리기 운동을… 우리농본부  9
214 2251호 2013.12.29  새해에는 절망을 희망으로 우리농 본부  9
213 2085호 2011.01.02  2011년,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  10
212 2092호 2011.02.13  공장식 축산과 구제역 생명환경사목  10
211 2134호 2011.11.20  석면 없는 세상을 바라며 우리농본부  10
210 2178호 2012.09.09  함께 잘 살 수 있는 지름길 우리농 본부  10
209 2214호 2013.05.05  내일이면 늦습니다 우리농 본부  10
208 2300호 2014.11.16  저당 잡힌 풍년 우리농 본부  10
207 2114호 2011.07.17  농민의 주님 생명환경사목  11
206 1974호 2009.01.04  또다시, 새해 결심 생명환경사목위원회(우리농본부)  1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