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을 받을 자격

가톨릭부산 2015.10.20 17:36 조회 수 : 5

호수 2163호 2012.06.03 
글쓴이 우리농 본부 

밥상을 받을 자격

생명이 깃든 밥상을 차리고 싶은 분들은
첫째, 누가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우리 식구들을 살려주는 음식인데, 누가 농사지었는지 알아야 고마운 마음으로 맛있게 먹지 않겠습니까.
둘째, 어떤 방법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농약을 쳤으면 왜 쳤는지 그리고 몇 번이나 쳤는지, 농약을 치지 않았으면 어떤 방법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서로 믿고 살아갈 수 있으니까요.
셋째, 어떤 마음으로 농사를 지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지 않고 농사를 지었다고 해서 건강한 농산물이라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농부는 사람과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만일 오직 돈을 벌기 위해 농사짓는 농부라면, 그 돈 때문에 앞으로 어떤 짓을 할지 모릅니다. 짜증스런 얼굴로 밥상을 차리면 모든 음식에 독이 들어간다는 말이 있듯이, 평화롭고 기쁜 마음으로 농사를 지어야만 농산물도 약이 되는 것입니다. 오직 돈을 벌기 위해 농사를 짓는다면 얼마나 삶이 힘들고 고달프며, 그 가운데서 어찌 기쁜 마음이 일 수 있겠습니까.
넷째, 건강한 밥상을 차리고 싶은 사람은 식구들과 함께 밥상을 차릴 수 있도록 애써준 농부의 집에 자주 찾아가야 합니다. 찾아가서 함께 일을 하고 삶을 나누어야 합니다. 우리 식구들의 목숨을 지켜주는 농부를 한 식구라 생각하지 않고,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지 사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미 ‘사람의 마음’을 떠난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밥상을 받을 자격이 없습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도시를 위한 농촌의 선택 우리농 본부  131
224 2512호 2018.10.28  논과 밭이 사라진다면 우리농 본부  157
223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1
222 2507호 2018.09.23  청소 시간 우리농 본부  90
221 2503호 2018.08.26  작은 희망 우리농 본부  134
220 2499호 2018.07.29  감물에서 온 편지 - 여름의 의미 김준한 신부  82
219 2498호 2018.07.22  세상은 이미 넘쳐나는데 우리농 본부  36
218 2494호 2018.06.24  겸손과 순명 우리농 본부  93
217 2490호 2018.05.27  시장과 문명 우리농 본부  42
216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98
215 2485호 2018.04.22  우리가 가진 열쇠 우리농 본부  61
214 2481호 2018.03.25  만물을 위한 창조 우리농 본부  57
213 2477호 2018.02.25  마지막 나무를 자른 이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우리농 본부  65
212 2473호 2018.01.28  환경, 믿음의 영역 우리농 본부  64
211 2468호 2017.12.31  먹는 신앙 김준한 신부  69
210 2466호 2017.12.24  낮은 곳에서 높은 곳을 향하여 우리농 본부  78
209 2462호 2017.11.26  흘러넘치는 생명 우리농 본부  109
20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4
207 2457호 2017.10.22  자연에 대한 예의 우리농 본부  90
206 2453호 2017.09.24  가장 많이 피는 꽃 우리농 본부  102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