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위령성월 전대사| 전례와 교리상식

주님 안에 잠든 이들을 기억하는 '위령 성월'

 

 

 

'오늘은 나에게, 내일은 너에게',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는 11월

 

 

 

천주교 대구대교구청 내에 있는 성직자 묘지 입구의 양쪽 기둥에는 "Hodie mihi Cras tibi(오늘은 나에게 내일은 너에게)"라는 라틴어가 새겨져 있다.

 

죽음이 멀리 있지 않고 언제나 우리 곁에 있다는 뜻이다.

 

죽음은 이 세상 누구에게나 두려움과 불안을 주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 죽음은 단순히 모든 것이 끝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새로운 삶으로 옮아간다는 고귀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계시하신 진리, 즉 죽음이 모든 것의 끝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으로 이어진다는 진리를 믿고 고백하는 교회는 세상을 떠난 영혼들을 위해 잊지 않고 기도합니다.

 

죽은 이들이 하느님 안에서 부활의 기쁨을 누리도록 도와주는 이 신심은 가톨릭 교회의 가장 큰 신심 중의 하나로서, 11월을 위령성월로 정하고 교회 전체가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11월중에서도 '모든 성인의 날'

 

다음날인 112일을 특별히 '위령의 날(All Soul'S Day)'로 정해놓고

(주일과 겹치는 경우는 113일에 지냅니다),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해 기도하며 그들을 기억합니다.

 

모든 사제들에게는 이날 미사 3대를 드릴 수 있는 특권이 주어져 있습니다.

 

998년 일년에 한번씩 위령의 날을 지키도록 명령한 클뤼니수도원의 오딜로의 영향으로 보편화되었고, 1748년 교황 베네딕도 14세에 의해 인준되었습니다.

 

위령의 날에 드리는 세 대의 미사 중에서 한 대는 미사를 봉헌하는 사제의 지향으로, 또 한 대는 죽은 이들을 위해, 다른 한 대는 교황님의 지향에 따라 봉헌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회는 111일부터 8일까지 열심한 마음으로 묘지를 방문하고 병자들을 위하여 기도하기를 권고합니다.

 

위령성월에 죽은 이들을 위해서 기도한다는 것은 우리자신의 성화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죽은 이들을 위하여 기도하면 자연스럽게 하느님 나라에 대해 묵상하게 되고, 자신의 생활을 반성하게 됨으로써, 더욱 성실한 신앙생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회학자인 성 암브로시오 주교님께서도 "눈물을 줄이고 기도에 힘쓰십시오. 운다는 것은 잘못은 아니지만 당신을 떠난 영혼을 위해 기도해주는 것이 더 필요합니다."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가톨릭인터넷 굿뉴스에서-

 

 

    

모든 성인의 통공'이란?

    

 

우리는 사도신경을 바칠 때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으며..."하고 신앙을 고백합니다.

 

여기서 통공(通功)이란, ()이 서로 통()한다는 뜻입니다.

즉 공로와 선행이 서로 통한다는 의미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세상에 살고 있는 신자들과 천국에서 영광을 누리는 이들,

그리고 연옥에서 단련 받고 있는 이들이 모두 교회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기도와 희생과 선행으로 서로 도울 수 있게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통공의 신비는 우리가 죽은 이들을 위하여 기도하고 속죄함으로써

그들이 죄를 용서받을 수 있게 하고, 또 천국에 있는 성인들을 공경하며

우리도 그들의 영광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청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또 이미 돌아가신 성인들께 기도를 부탁드릴 수 있는 것은

"성인들의 통공"을 믿고 고백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연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하여 지상 교회가 기도와 희생을 바치면 그 공()으로 빨리 승천하게 되고 또한 이 공()으로 승천한 영혼은 이 지상 교회를 위하여 하느님께 기도합니다.

돌아가신 분들을 위해 바치는 연도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도나 선행의 대가가 당사자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천국이나 연옥의 다른 이에게도 통하기에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으며'하고 신앙을 고백하고 기도를 드리는 것입니다.

 

도미니꼬 성인은 임종하면서 "울지들 마시오. 죽은 후에 나는 여러분에게 더 유익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살아 있을 때보다 더 효과적으로 여러분을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하였고,

 

소화 데레사 성녀도 임종 때에 '저는 하늘로 올라가 땅을 위해 유익한 일을 하겠습니다."하였습니다.

 

가톨릭교회는 모든 성인의 통공에 대한 믿음에서 11월을 위령성월로 지내며 특히 111일을 모든 성인 대축일로 기념합니다.

 

 

 

<111일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7세기 초부터 지켜졌으며, 837년 그레고리오 4세 교황이 의무 축일로 제정하였다.

특별히 이날은 축일이 알려지지 않은 성인들과 순교자들을 위해 기도하는 날이다.

 

영국에서는 중세 때부터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s)을 큰 축제일로 지냈고,

전날에는 할로윈’(Halloween)이라는 전야제를 가졌다.

오늘날 할로윈은 미국의 대표적인 어린이 축제일이다.

 

 

<112일 위령의 날>

 

 

위령의 날은 연옥 영혼들을 기억하며 기도하는 날이다.

모든 사제는 그들이 어서 빨리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도록 특별 지향으로 미사를 봉헌한다.

전통적으로 오늘은 세 대의 위령 미사를 봉헌해 왔다.

교회는 111일부터 8일까지 경건한 마음으로 묘지를 방문하고,

세상을 떠난 이들을 위해 기도할 것을 권하고 있다.

 

 

:: 대사

 

 

공동체(하느님, 사람, 피조물)서로의 관계회복을 위해 특히 사람과 사람 사이릐 관계회복을 위해 교회는 교회 공동체의 이름으로 합당한 마음 자세로 규정된 일정한 조건들을 채우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그리스도와 성인들의 보속 공로들을 나누어 주며 그 보속을 사면해 줍니다.그것이 대사(大赦, Indulgentia 혹은 은사)입니다.

 

(교회법 992조 참조)

 

대사는 잠벌(보속)의 면제 효과가 있지만 죄 자체를 사하는 효력은 없습니다.

따라서 대사를 얻기 위해 반드시 고해성사를 보아야합니다.

일부분의 사면을 부분대사(한대사),

전부에 대한 사면을 전대사라고 하며

한대사는 특별히 정한 바가 없으면 하루에도 여러 번 받을 수 있지만,

전대사는 하루에 한번만 받을 수 있습니다.

대사는 자신이 직접 받을 수도 있고

죽은 이들(연옥 영혼)을 위해서 대신 얻어 줄 수도 있습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제14711479항 참조)

 

 

위령성월 전대사 (111~118)

 

 

열심한 마음으로 묘지방문 고해성사 영성체

 

교황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주님의기도, 사도신경

 

 

111일부터 8일까지 열심한 마음으로 묘지를 방문하고 죽은자들을 위하여 기도하면

날마다 한 번씩 연령들에게만 양도할 수 있는 전대사(全大赦)를 받을 수 있다.

한 번 고해성사를 받음으로써 여러 번 전대사를 받을 수 있으나, 한 번 영성체하고 한 번 교황의 뜻대로 기도함으로써는 한 번만 전대사를 받을 수 있다.

 

연옥(煉獄, purgatorium)

    

성경에는 '연옥'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지만 하느님의 심판에 대해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된 사람들이 죽은 후 하느님과의 영원한 일치를 이루도록 정화되는, 곧 천국과 지옥(地獄, infernum)과의 사이에 있는 상태 또는 장소를 말한다.

연옥의 영혼은 각자의 죄에 상응하는 벌을 견디는 것만으로 정화와 속죄가 된다.

그 기간과 고통은 신자들의 기도와 희생에 의해서 단축 또는 경감된다. 정화가 끝난 영혼은 곧장 천국으로 들어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2 [펌]성삼일 의미와 전례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3.01 93
281 [스크렙]성녀 비르짓다의 예수님 수난 15 기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1.03.05 90
280 [스크렙]천주교 교리 및 교회상식(다시 한번 공부합시다)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0.02.22 90
279 [스크렙]성령강림대축일 전 9일 기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0.05.27 88
278 [스크렙]성 김대건 신부 탄생 200주년 희년 전대사 조건(성지 순례자용)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1.09.21 87
277 [스크렙] 위령성월 전대사 / 11월 1일~8일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10.25 87
276 카치니의 / 아베마리아 / 리베라 소년 합창단 / 이네사 갈란데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29 83
275 2019년 4월 7일 사순 제5주일 / 오늘의 성무일도[Catholic Good News]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07 83
274 [펌] 성무일도 / 2019년 4월 14일 사순 6주간 주일[주님 수난 성지 주일]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12 82
273 [펌]주님 봉헌 축일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2.03 82
272 [펌] 묵상글/위령성월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8.10.31 82
271 5월 성모성월 / 유래와 의미,올바른 성모 신심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28 81
270 [펌] 성주간 / 교황청의 보호를 받던 그 곡, 알레그리(Allegri)의 미제레레(" Miserere ")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16 81
269 [옮겨온 글] 어느 교리교사가 안내하는 전례상식 / 미사 안의 직무 및 봉사(2)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7.29 80
268 자유 게시판입니다. 가톨릭부산 2017.03.09 80
267 부산교구 사제인사[2023년 8월 8일]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3.08.09 79
» [펌]11월은 주님 안에 잠든 이들을 기억하는 "위령성월"[전대사]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8.10.18 77
265 [펌] 파티마(Fatima.포르투칼)의 성모 발현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4.15 75
264 [스크렙] 2021년 전국 교구 교구장 사목교서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20.12.05 74
263 [펌] 2019년 06/09 성령 강림 대축일 개금체칠리아성가대박그레고리오 2019.06.08 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