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적 빚

가톨릭부산 2015.10.20 16:10 조회 수 : 74

호수 2351호 2015.10.25 
글쓴이 우리농 본부 

생태적 빚

 

우리농본부 051-464-8495 / woori-pusan@hanmail.net

 

  생태적 빚, 이 말은 자연환경의 파괴로 인해 피해자와 가해자가 갈리는 와중에, 특별히 가해자인 선진국이 피해자인 남반구의 개발 도상국에게 지고 있는 책무를 가리키는 교황님의 언어입니다.(『찬미받으소서』51항 참조) 과연 그렇습니다. 개별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전 지구적으로 확대된 환경문제, 특별히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과 홍수 등의 이상기온 현상, 대기 및 수질오염, 열대림 파괴 및 여타의 다양한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 파괴는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더 가난한 국가, 그 안에서도 더 가난한 사람에게 더 위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마련입니다.

 

  어쩌면 이처럼 전 지구적 규모에서 보지 않더라도 오늘날 대한민국 안에서 우리 도시민은 농민에게 이‘생태적 빚’을 지고 있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농민 중 특별히 가톨릭 농민에게는 그 빚이 더 크다고 하겠습니다. 얼마 전 가톨릭농민회 정현찬 미카엘 전국회장님께서는 가톨릭 농민이 생산한 유기농 농산물이 절반도 소비되지 못하는 문제를 안타까워하시면서 넋 놓고 기다릴 것이 아니라 가톨릭 농민이 먼저, 유기농 벼농사를 지은 농민회원은 과수농사를 지은 농민회원의 과일을 먹고, 과수농사를 지은 농민회원은 벼농사를 지은 농민회원의 쌀로 밥상을 차리자고 제안하셨습니다. 사실 이 모든 문제의 원인은 우리 도시민에게도 있건만 그 문제를 농민들이 스스로 먼저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이 우리를 부끄럽게 만듭니다. 얼마 전 부여에서는 433개 마을 이장, 7개 지역농협, 농업단체, 시민단체 등이 모여‘밥쌀용 쌀수입 반대 우리쌀먹기 부여군 운동본부’가 발족하였습니다. 우리가 지고 있는 생태적 빚을 만분의 일이라도 갚는 그 길에 우리쌀을 먹는 것, 이것이 그 첫걸음이 될 수 있다면 농민들의 노력도 그리 헛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어봅니다.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25 2508호 2018.09.30  가장 큰 거짓말 감물생태학습관  291
224 2367호 2016.01.31  감물에서 온 편지 - 미래를 위한 스펙 김준한 신부  161
223 2384호 2016.05.29  감물에서 온 편지 - 주님을 만나는 들녘 김준한 신부  75
222 2393호 2016.07.31  감물에서 온 편지 - 군식구는 없다 김준한 신부  163
221 2406호 2016.10.30  벼가을은 다 했나? 김준한 신부  77
220 2419호 2017.01.29  감물에서 온 편지 - 겨울 단상 김준한 신부  79
219 2432호 2017.04.30  감물에서 온 편지 - 원자시계와 하늘의 징조 김준한 신부  53
218 2458호 2017.10.29  감물에서 온 편지 - 불편한 동거, 생명의 창문 김준한 신부  204
217 2468호 2017.12.31  먹는 신앙 김준한 신부  69
216 2499호 2018.07.29  감물에서 온 편지 - 여름의 의미 김준한 신부  82
215 2486호 2018.04.29  감물에서 온 편지 - 농부의 시간 김준한 신부  98
214 1982호 2009.03.01  녹색 성인 힐데가르트와 초록 회개 생명환경사목  20
213 1984호 2009.03.12  세상에서 가장 쉬운 환경운동 다섯 가지! 생명환경사목  58
21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211 1990호 2009.04.26  우리농 시민 초청 강연회 생명환경사목  41
210 1992호 2009.05.10  벌새 크리킨디 이야기 생명환경사목  269
209 1994호 2009.05.24  5월, 우리 아이 몸속 수은 줄이기 생명환경사목  47
208 1996호 2009.06.14  환경의 날 - 당신은 지금 무얼 하고 계십니까? 생명환경사목  97
207 1998호 2009.06.21  환경호르몬의 공포 생명환경사목  38
206 2000호 2009.07.05  환경호르몬의 피해 예방법 생명환경사목  3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