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 2149호 2012.02.26 
글쓴이 우리농본부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어느 대통령 후보는 농민단체 지도부를 만나 농민은 지난 40년 동안의 숨은 공로자이면서 가장 큰 피해자라면서, 사회정책 차원에서 농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런데 그는 대통령이 되고 나서, 경남도청에서 열린 경남도민 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시장을 거역하면 손해를 봅니다. 지도자가 시장을 거역하면 그 지도자를 따르는 사람들이 손해를 봅니다. 저도 시장이 좋아 따라가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을 따라가지 않으면 많은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우리 농업과 농촌이 무너진 가장 큰 까닭은 많은 사람들이 농업 문제를 시장논리로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농업은 공기, 물, 해와 같이 생명과 이어지는 산업이기 때문에 시장논리로만 봐서는 안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도 농산물을 개방한 대가로 공산품을 수출해서 나라 경제를 살리자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것도 돈이 많거나 잘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하니, 어찌 우리 농업 정책이 바른길로 나아갈 수 있겠습니까. 우선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위해서 우리 농업과 농촌을 구렁텅이로 몰아넣는 이런 사람들이 들끓고 있으니 농부들은 일할 힘을 잃는 것입니다.
“농촌을 잃으면 곧 우리는 고향을 잃습니다. 농촌이 망하면 우리 자신이 망하는 것과 같습니다. 때문에 이 시간 우리 모두는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과 같이 생각해야 합니다.”(故 김수환 추기경, 1993년 12월 12일 ‘나라를 위한 기도회’ 강론 중)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204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203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0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20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199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9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197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196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95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94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9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9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19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190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189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18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187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8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