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가톨릭부산 2015.10.20 06:35 조회 수 : 18

호수 2136호 2011.12.04 
글쓴이 우리농본부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사람들에게 “키가 큰 사람이 환경오염을 많이 시키겠습니까? 키가 작은 사람이 환경오염을 많이 시키겠습니까?” 하고 물었더니 쉽게 대답을 하지 못하더군요. 그래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느님이 주신 생명인데 키가 크면 어떻고 작으면 어떻습니까? 그래도 꼭 대답해야 한다면 아무래도 키가 큰 사람이 환경오염을 많이 시키지 않겠습니까? 키가 크면 신발과 옷 따위를 만드는 재료도 많이 들어가고…….”
농담이지만 어쨌든 사람이든 물건이든 작을수록 환경오염을 적게 시킬 수 있습니다. 집이 크면 전기와 물과 가스와 모든 에너지를 많이 써야 하고, 자동차도 크면 기름을 많이 써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결국 크다는 것은 대부분 환경을 살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무엇이든 클수록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지요. 지구 온난화로 말미암아 농부들은 날이 갈수록 농사짓기가 어렵고, 도시 생활인들도 가뭄, 홍수, 지진, 해일, 폭우, 폭설 따위로 마음 편할 날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크다는 것은 사람과 자연한테 해를 끼치는 것입니다.
일본에서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큰 부자가 일곱 평짜리 아파트에서 산다고 합니다. 자라나는 아이들한테 조금이라도 깨끗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물려주려고, 일부러 작은 아파트에서 산답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작은 것이 사람을 살리고 환경을 살리는 지름길이구나 싶습니다. 대림 시기에 ‘작은 것’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작은 꽃, 작은 풀, 작은 나무, 작은 벌레, 작은 새, 작은 물고기, 작은 집, 작은 차, 작은 텔레비전, 작은 냉장고, 작은 가게(우리농 매장)

번호 호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205 2044호 2010.04.11  이스터 섬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2
204 2089호 2011.01.30  겨울 한파, 구제역 그리고 우리농 운동 생명환경사목  12
203 2098호 2011.03.27  나무 한 그루 생명환경사목  12
202 2161호 2012.05.20  육식은 이제 그만 우리농 본부  12
201 2034호 2010.01.31  평화의 날 담화문과 4대강 개발 사업 생명환경사목  13
200 2149호 2012.02.26  농민들의 아픔을 우리들의 아픔으로 우리농본부  13
199 2226호 2013.07.28  우리 모두 여름휴가를 친환경 휴가로 우리농 본부  13
198 2228호 2013.08.11  쓰레기통에 넣기 전에 우리농 본부  14
197 2231호 2013.08.25  함께 걸어보실까요? 우리농 본부  15
196 2288호 2014.08.24  음식은 과학이 아닙니다! 우리농 본부  16
195 2342호 2015.08.23  인간을 품고도 넉넉한 자연 우리농 본부  16
194 2279호 2014.06.29  도시의 생존 전략 우리농 본부  17
193 2281호 2014.07.13  쌀에 대한 단상 우리농 본부  17
192 1988호 2009.04.12  생태적 예수의 부활 생명환경사목  18
191 2011호 2009.09.11  4대강 개발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 생명환경사목  18
» 2136호 2011.12.04  작은 것이 아름답습니다 우리농본부  18
189 2145호 2012.01.29  2012년, 이 시대 진정한 영웅 우리농본부  18
188 2206호 2013.03.10  망설이지 마시고 우리농 본부  19
187 2222호 2013.06.30  올 여름은 자연과 이웃과 더불어 우리농 본부  19
186 2294호 2014.10.05  한 뼘 더 소중한 것 우리농 본부  19
색칠하며묵상하기
공동의집돌보기